[신경생리학]
- 교정운동에 접근하는 모든 방법을 이해하여야 함
= 무의식적인 자세 불균형에 대해 이해
-> 모든 불균형은 '무의식'적 이기 때문이다
- 어깨는 대부분 '극상근'이나 '회전근개 건염'이다
※ '외/내회전 운동은 비벼질 수 있기때문에
무조건 좋은 것이 아니다
-> 1차적 접근법임으로 근본적 문제를 찾기!
- 엄지를 손으로 잡고 들어 올리는 것
-> '상완이두' 단축 확인법
- 발을 Inversion/Eversion 하고 서서 호흡 하였을 경우 '내번'으로 서서 호흡시 호흡이 잘 되지 않는다
-> 후공골근이 아래쪽으로 내려가게 되고
(+ 내전근, 장요근, 요방형근, 횡격막) 끌려내려가 숨이 잘 안 쉬어 진다
- 견갑이 전인되면 부상 위험이 높아진다
- 근본적 문제는 '발' 일 수도 있다
- 병원을 벗어난 곳에서는 치료목적의 행위를 할 수 없다
- 툴에는 감각신경이 없다 손이 Good!
- 보고 분석하고 풀고 운동을 지도 한다
이 과정중 중요한 것은 설득 이다
- '러시안 트위스트' 동작시 큰 쪽(= 강한쪽)으로
회전이 반대쪽 보다 제한된다 반대쪽으로 더 잘 돌아가는 이유는 근력이 잘 바텨주기 때문이다
- '오른손 잡이'의 경우 '러시안 트위스트' 동작시 왼쪽으로 잘 안돌아 가는 경향이 있다 이는 왼쪽 기립근의 우세를 의미하며 투수가 공을 던지는 동작을 생각하면 이해가 빠를 것이다
- 자세유지근은 지구성 근육이며 지근이 담당한다 '30% 이하' 강도의 운동을 할 때 사용된다
※ A타입 속근은 70%미만일때, 운동강도가 70%를 넘어가면 B타입 속근이 사용된다
- 속근 근섬유를 자유자재로 사용 할 수 있어야
한다
- 체중이 앞으로 쏠려 있으면 트레이드밀 시
쿵쿵 소리가 난다
- 숨을 잘 쉬어야 산소섭취가 잘 되고 이는 근육속에 산소를 더 잘 공급해 줄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줄 것이기 때문에
(+ 젖산 분해 능력)
'심폐지구력' -> '근 지구력' 순으로 운동하자
- 어깨 내회전 운동시 근육의 동원 순서는 지근인 '견갑하근'이 먼저 이용되어야 하고 그 뒤 속근인 '대흉근' 이 사용되어야 한다
동작을 해보면서 '대흉근의 근방추 민감도가 상승해 있지 않은가' 를 느껴보자
※'견갑하근' 은 어깨 내회전의 역할을 수행한다
- 운동강도가 60~70%는 되어야 아드레날린이 나오고 이때 흥분율이 증가하게 되는데
'교정운동'은 주로 낮은강도에서 지근을 사용하기
위한 목적이기때문에 재미가 없다
- 측면 삼각근이 개입이 되지 않으면 극상근이 개입 된다
Ex) 주부들 빨래털거나 마트에서 장보다
어깨가 않좋아 지는 경우
[Reference] : flexmun, 「교정운동 1주차 요약...../체형 교정 운동/......마포구 공덕동 염리동 애오개 래미안 헬스장 - 헬스장 이야기 - 마포구 공덕동 래미안헬스」 http://ptgym.co.kr/?mid=day&page=13&document_srl=6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