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막경선 해부학 요약 정리

by 문종수 posted Jan 11, 201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3년 전에 처음 토마스 마이어스의 근막경선해부학을 봤을 때 놀랐던 기억을 아직도 기억합니다~ 

 

새로운 개념이었어요! 단일 근육을 하나씩 열심히 외우고 있었는데! 그게 아니라 뭉탱이로 보다니..?

 

그런데 최근에 근막경선해부학이 이슈가 되면서 많은 분들이 찾아보고 있더라구요~ 

 

그래서 복습도 할 겸 정리를 간단하게 5분만에 볼 수 있게! 요약을 해봤습니다 :)

 

핵심 원리는 

 

단일 근육이 근막경선이라는 선으로 이어져있다.

 

근육과 근막을 단일 근육 개념이 아닌 전체개념으로 본다. (신체의 후면을 보면 척추기립근 단일로 보는 것이 아닌 후방근막경선라인 전체를 본다.)

 

근막 정착점(Station)과 근막 주행경로(Track)이 존재한다. 

 

위의 원리를 이해하고 아래의 내용을 읽으면 큰 줄기는 이해했고 핵심은 파악했다고 생각하셔도 무방합니다

 

물론 예외적인 상황과 그에 관련된 운동법이 남았지만~~!

 

시작해볼까요!

 

 

첫번째로 소개할 근막경선은 기능선입니다. 엑스자로 이어져있는데 우리가 걸을 때 특정 움직임을 할 때 사용되죠~




기능선의 근육근막의 주행경로와 근막 정착점입니다 



나선선입니다~ 자세유지에 큰 영향을 미치는 선이죠~



정확히 어디에 있는지 아셔야 접근이 가능하고 보다 정확한 접근법이 생길겁니다!



상지선은 앞과 뒤가 있지요! 그리고 심부, 표면 2가지가 존재합니다



서로가 비슷하지만 약간 다르죠~



근막정착점과 근막 주행경로는 꼭 아셔야합니다



심부전방선입니다. 절대 간과해서 안될 근막선이죠!



그 이유는 바로 횡경막과 장요근, 발아치 모두 영향을 미치는 근막선이라는거죠

 

보편적으로 문제가 생기는 근육들을 모두 포함하고 있습니다 :) 

 

근막까지 함께 보신다면 보다 성공률 높은 대처를 할 수 있을겁니다~



외측선은 측면 움직임과 자세유지에 상당히 중요합니다~



무조건 암기암기암기! 근막경선해부학을 알려면 가장기본기본!



근막경선해부학에서 가장 기본인 표면전방선~



우리가 몸을 앞으로 기울일 때 사용되고 우리 몸의 특성상 표면전방선이 강하게 당기고 있을 확률이 높습니다


표면후방선! 근막경선들이 생각보다 많죠 ?

 

이렇게 근막경선해부학을 간략하게 보았는데요

 

이해하려면 꼭 알고 계셔야해요 ^^

 

5분만에 볼 수 있는 요약을 보셨습니다

 

궁금한점 있으면 댓글달아주세요 ㅎㅎ 

 

출처 : http://m.blog.naver.com/fat_coach/2205458786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