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현동 피티 교정운동] 근골계 해부학과 정렬평가

by flexmun posted Jan 06, 201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6개의 뼈

33개의 관절

38개의 근육

214개의 인대

20190106_170913-409x230.jpg

-주상골

바닥으로 부터 16mm정도가 보통이다.

내측복사뼈 다음으로 튀어나오 뼈로 낮은 위치면 통증을 유발할수 있다.


종골과 아킬레스건이 수직이 아닌경우 부상에 위험이 있으면 평발일 가능성이 크다

선천적 평발은 수직인 경우도 있다.


종골 아래 지방패드는 평발로 바깥쪽으로 밀릴수 있다.


오다리의 경우 힘이 발목 안쪽으로 쏠리기 때문에 내측비복근과 장경인대가 타이트하다.

20190106_170032-409x230.jpg


내측측부인대

심층(전/후)경거인대

표층: 삼각인대(경주상 섬유,경종섬유)

역화:거퇴관절,거골하관절,거주상관절의 외번을 제한


외측측부인대(3개) 부채꼴 모양

전거비인대,종비인대,후거비인대

Sprain 인대손상

Strain힘줄이나 근육손상

*손상빈도가 가장 높은 전거비인대/외측인대는 더 긴 길이의 외과 때문에 손상 비율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