뼈건강 적신호 3가지

by flexmun posted May 06, 201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골조소증, 뼈엉성증으로도 불리는 골다공증은 뼈에 구멍이 ‘숭숭숭’ 있는 병을 말한다. 이런 골다공증은 노인 질환으로 인식돼 젊은 사람들의 관심 밖 문제가 되곤 한다. 하지만 뼈 건강은 노인만의 문제가 아니다.

5.jpg

 

척추, 엉덩이, 팔 등에서 일어나는 골절은 주로 65세 이상 인구에게서 많다. 하지만 부상이 심각한 상태로 이어지지 않으려면 젊을 때부터 기초 공사를 잘 다져야 한다. 뼈 건강은 나중에 신경 써도 될 문제가 아니라 당장 관심을 둬야 할 문제다.

특히 부모 중 골다골증 환자가 있거나 젊은데도 키가 줄었다거나 하는 사람이라면 보다 신경 써야 한다. 때론 불분명하고 애매모호한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앨기칼닷컴’ 자료를 토대로 뼈 건강에 이상이 있는지 체크해 봐야 할 증상 3가지를 알아본다.

1. 손톱이 잘 깨진다

손톱의 단단한 정도는 사람마다 차이가 있다. 하지만 예전보다 잘 깨진다면 건강 이상 신호로 받아들일 수 있다. 뼈가 약해졌다는 의미로도 해석이 가능하다.

아일랜드에서 나온 연구에 의하면, 손톱의 콜라겐 수치가 떨어진 사람은 뼈의 콜라겐 수치도 부족해지는 경향을 보인다. 손톱이 쉽게 부러진다는 건 뼈를 형성하는 칼슘이 부족하다는 의미로도 볼 수 있다.

이런 경우에는 식습관에 좀 더 신경을 써야 한다. 우유, 코티지치즈, 요구르트, 케일, 브로콜리 등을 통해 칼슘 섭취량을 늘리도록 한다. 칼슘 흡수를 돕는 비타민 D를 얻을 수 있도록 햇볕을 쬐는 것도 중요하다.

2. 잇몸이 약해졌다

턱뼈는 치아를 지탱해주는 힘이다. 이 부위의 뼈가 약해지면 잇몸이 이를 단단하게 지지해주기 어려워진다. 심지어 치아가 빠질 수도 있다. 즉 잇몸이 약해졌다거나 치아가 흔들리는 등 구강 내 건강 적신호가 켜졌다면 뼈에 이상이 생겼다는 신호로 받아들일 수 있다.

특히 골다공증에 대한 가족력, 흡연, 장기간의 스테로이드제 사용, 칼슘 부족 등에 해당하는 사람이 잇몸이 약해졌다면 치과에 방문해 정확한 치아, 잇몸, 뼈 등의 상태를 확인해보는 것이 좋다.

3. 손잡이 등을 돌릴 때 너무 힘이 든다

손잡이를 돌리거나 문을 밀거나 당기는데 어려움을 느낀다면 뼈가 약해졌다는 의미일 수 있다. 악력과 골밀도 사이의 연관성을 밝힌 여러 연구들이 있기 때문이다. 근육이 약해졌거나 몸의 전반적인 균형이 무너졌을 때도 손잡이를 당기기 어려울 수 있다.

이럴 땐 운동을 통해 몸의 균형과 근육을 기른다. 근력 운동을 통해 근육, 고관절 운동 범위, 유연성, 반사 신경, 체력 등을 골고루 향상시키면 약한 뼈 때문에 다칠 가능성이 줄어든다.

원문보기

http://kormedi.com/1292096/%EC%86%90%ED%86%B1%EC%9D%B4-%EC%9E%98-%EA%B9%A8%EC%A7%80%EB%A9%B4%EB%BC%88-%EA%B1%B4%EA%B0%95-%EC%9C%84%ED%97%98-%EC%8B%A0%ED%98%B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