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덕동헬스 근막경선 해부학 표면 전방선

by flexmun posted Jan 11, 202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PNG

공덕동헬스 근막경선 해부학 표면 전방선



걷거나 달리때 주로 사용하고 주로 속근섬유로 되어 있다.

스트레스를 받으면 표면전방선이 타이트해지고 후방선을 느슨해진다.

1.단/장족지신근, 전경골근, 전방하퇴구획

-보행시 발을 바닥에 끌리면 표면 전방선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배측굴곡한상태에서 대퇴사두에 힘주기 편한 이유가 근막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전경골근에 근막은 두껍고 단단한 이유가 비복근/가자미근과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서

-발목은 골반보다 힘이 이득이 높은 2종지레이다.

2.슬개하

3.대퇴직근/대퇴사두근

-대퇴직근 전상장골극 아래 전하장골근에서 기지

-대퇴골이 내회전 된상태에서 앞쪽에 있는 대퇴근막장근이 과활성화 되고 고관절주면 통증을 유발

-대퇴 삼각부 동맥,정맥,신경,림프가 다 지나감 , 앉거나 다리꼬면 압반되어 순환을 방해한다.

4.복직근

-치골부터 검상돌기위치하고 배꼽과 치골부위를 잘 쓰지 못한다.

5.흉골근/흉연골 근막

-앞으로 숙이고 있는 체형은 소흉근과 흉골 옆쪽 대흉근이 타이트한지 확인해본다.

-대흉근 중앙부가 타이트해지면 팔을 수평외전을 방해한다.

-소흉근이 문제가 있는경우가 많지만 강하게 마사지하면 염증이 생길수 있다.

6.흉쇄유돌근

-경추굴곡근으로 몸통위치보다 머리위치가 뒤로가면 더 타이트해진다. 이런경우 회전이 제한된다.

15두피근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