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분에 15걸음도 혈당조절에 도움이 된다.

by flexmun posted Sep 09, 202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1.jpg

의자나 소파에 앉는 건 현대인의 기본 자세가 됐다. 그러나 장시간 앉아 지내는 건 ‘제2의 흡연’이라 불릴 정도로 건강에 해롭다.

스웨덴 카롤린스카 연구소에 따르면 30분에 한 번씩 일어나 3분 정도 몸을 움직이면 혈당, 콜레스테롤 조절 등 신진대사에 미치는 악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거창한 운동이 아니어도 좋다. 서너 층 정도 계단을 오르거나, 스쿼트, 심지어 15보 정도 걷는 것만으로도 효과가 있다.

앉아있으면 다리 근육을 쓸 일이 없다. 신체의 가장 큰 근육이 축 늘어져 멈추면 혈액 속 당분을 소모하지 않고, 지방을 분해하는 생화학 물질도 분비하지 않는다. 장시간 앉아 지내면 혈당과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아지는 이유다. 장기화하면 당뇨병 등 대사성 질환 위험이 커진다.

이번 연구는 스톡홀름에 거주하는 중년의 남녀 사무직 노동자 16명을 상대로 한 소규모 연구다. 그러나 분석 기간이 3주에 달해 기존 연구들(1~2일)보다 훨씬 길었다.

참가자 절반은 스마트 워치 앱의 설정에 맞춰 30분마다 일어나 3분간 운동했다. 나머지 절반은 평소처럼 지냈다. 3주 뒤 혈액 샘플을 분석한 결과, 30분마다 몸을 움직인 그룹은 아침 공복 혈당이 더 낮고, 낮 혈당도 급등락 없이 안정적이었다. 몸에 좋은 콜레스테롤 수치는 높아졌다. 효과는 운동을 덜 빼먹을수록, 강도가 높을수록 좋았다.

이 연구(Three weeks of interrupting sitting lowers fasting glucose and glycemic variability, but not glucose tolerance, in free-living women and men with obesity)는 《미국 생리학 저널(The American Journal of Physiology : Endocrinology and Metabolism)》에 게재됐으며, ‘뉴욕타임스’가 소개했다.

원문보기

http://kormedi.com/1355365/30%eb%b6%84%eb%a7%88%eb%8b%a4-15%ea%b1%b8%ec%9d%8c-%ed%98%88%eb%8b%b9-%ec%a1%b0%ec%a0%88%ec%97%90-%eb%8f%84%ec%9b%80-%ec%97%b0%ea%b5%a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