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몇끼 먹는 것이 좋을까?

by flexmun posted Jul 21, 202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하루 끼니를 세 번에 나눠 먹는 행위는 산업혁명 이후에나 정립된 ‘현대적’ 식습관이다. 즉, 하루 세끼는 진화 혹은 생물학적으로 검증된 섭생법이 아니라, 기껏해야 삼백 년도 안 된 사회문화적 습관에 가깝다.

영국 ‘BBC’가 끼니관련 다양한 의견을 정리했다.

◆ 한 끼 =  “인류사의 대부분 기간 인간은 하루 한 끼만 먹었다”

◆ 두세 끼 = 캘리포니아 소크 생물과학 연구소 에밀리 마누기언 연구원은 하루 한 끼만 먹으면 공복 혈당을 높여 당뇨병에 걸리기 쉽다고 지적했다. 그는 “하루 2, 3끼를 먹되, 섭취한 열량 대부분을 낮에 써버리는 것이 가장 좋다”고 말했다.

◆ 대여섯 끼 =  대사 속도를 높이고, 혈당을 안정하며, 폭식을 막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특히 체중을 늘리고 싶다면 세 끼보다 먹는 횟수를 늘리는 게 좋다.

◆ 규칙 = 결국, 모두에게 적용할 수 있는 최적의 끼니 수라는 건 없다. 다만 몇 끼를 먹든, 규칙적이어야 한다. 위스콘신대 로잘린 앤더슨 교수는 “몸은 패턴으로 작동한다”면서 “인체는 식습관을 예측해 대사를 조절한다”고 말했다. 이 패턴이 불규칙해지면 대사에 엇박자가 생기고 이는 당뇨병 등 질환의 원인이 된다.

http://ptgym.co.kr/index.php?mid=nutrition&document_srl=322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