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리동헬스 표면후방선 햄스트링 (대퇴이두 장두 단두/ 반막양근 반건양근) 2

by flexmun posted May 29, 202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80602_223936.jpg

20210124_135739559_copy_576x432_1.jpg

햄스트링>대퇴이두 장두

대퇴이두의 장두는 정지부(무릎)쪽으로 갈수록 힘줄이 발달된다. 힘줄은 에너지를 절약하며 쓸 수 있지만 해당 관절의 디테일한 조절은 어렵다. 그래서 미세한 조절을 담당하는 것은 대퇴이두의 단두이다. 

대퇴이두의 장두는 사선방향으로 주행하여 앞뒤로 움직이는 단순한 동작보다 고관절을 많이 굴곡 많이 신전하는 달리기를 할 때, 고관절 신전후에 무릎을 굽혀서 다시 가지고 오는 것이 메인 역할이다.

고관절은 타원형의 움직임이 발생한다. 앞뒤쪽으로 이동하는 것보다 타원형의 움직임으로 움직일때 근육이 덜 쓰이는데 인간은 에너지를 적게 쓰는 쪽으로 진화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고관절의 움직임은 약간의 회전을 포함해서 움직인다.

고관절을 신전하면 약간의 외전과 외회전이 같이 일어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대퇴이두의 장두가 뒤쪽으로 움직이게 된다. 대퇴이두가 고관절을 많이 신전하게 되면서 고관절 신전근으로 많이 쓰게 된다. 

달리기를 많이 하지 않아 대퇴이두의 쓰임새가 적어지면 내측 햄스트링이 더 활성화 되고 외측은 더 안쓰게 되면서 내외측의 불균형이 생긴다. 내외측 균형을 맞추려면 고관절을 외회전 시킨 상태에서 무릎을 굴곡하는 형태의 운동이 필요하다. 

 

햄스트링> 대퇴이두 단두

대퇴이두의 단두는 무릎쪽 가까이에 근육이 잘 발달되어있다. 정지부쪽을 보강해서 무릎관절의 외측의 안정성을 만들어준다. 대퇴이두 장두와 마찬가지로 고관절의 외회전시 활성화되고, 1관절 근육이라 고관절 신전과는 관련이 없고 무릎을 굽히는 것에 더 많이 개입한다. 무릎 쪽 가까이일수록 장두보다 단두가 횡단면이 더 두껍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