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강동헬스 표면후방선 극근 최장근 장늑근

by flexmun posted Jun 21, 202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90127_094550-512x288.jpg

20190127_093956-512x288.jpg

 

극근(표층근육)

척추기립근 표층근육인 극근이다. 흉추를 신전하기에 가장 이상적인 위치에 있다. 흉추에서 가장 발달되어있지만, 극돌기에 붙어있어 척추를 펼 때 가장 유리한 조건에 있다. 등이 평평하면 극근이 짧고 뻣뻣해져 회전이 안 된다. 회선근과 비슷하다. 흉추 회전 가동범위가 떨어져 정상적 조절이 불가능해 굴곡이 안 된다. 엎드려서 극돌기 주변을 만져보면 뻣뻣할텐데 이걸 다 풀어야 정상 기능이 가능하다. 탱탱볼로 주변을 문지르면 잘 풀린다. 정상적 흉추 굴곡이 가능해져야 회전이나 외측굴곡 가동범위 확보가 가능하다.

 

최장근(표층근육)

길고 두껍고 아주 튼튼한 근육이다. 등을 굽혔을 때 위쪽으로 가장 튀어나와서 중력의 영향을 많이 받는 척추기립근이다. 흉추 영역에서 가장 발달되어 있고, 흉추를 굽혔다 폈다 했을때 가장 많이 발달하는 근육이다. 좌우 불균형이 생길때 가장 큰 크기 변화가 생긴다. 몸통이 회전된 상태에서 힙힌지 동작을 했을때 (루마니안 데드리프트) 한 쪽만 발달했을 가능성이 크다. 

 

장늑근(표층근육)

장골에서 늑근까지 붙어 있다. 척추기립근 중에 두께가 가장 두껍고, 요추의 영역에서 잘 발달되어 있다. 장늑근은 허리쪽에서 가장 잘 발달되어있고, 최장근은 등쪽에서 발달되고, 극근은 흉추와 목쪽에서 발달되어 있다. 목쪽으로는 극근들이 많이 발달되어있다. 목을 세워야 하기 때문이다. 목은 유동적으로 굽혔다 펴야하기 때문에 힘줄이 아닌 근육이 발달되었다. 장늑근은 골반 관절의 굴곡 신전을 할 때 많이 발달된다. 유일하게 요추영역에서 가장 발달된 근육이고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여 회전에 많이 개입한다. 외측굴곡과 회전에 개입한다. 혹자는 장늑근이 요추의 측만에 많은 영향을 준다고 연구하였다. 코어가 불안정할 때 보상적인 수축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