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흥동헬스 표면전방선과 심부전방선의 관계

by flexmun posted Aug 27, 202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1.JPG

 

표면전방선과 심부전방선의 관계

표면전방선:

발 > 무릎> 골반 > 척추의 앞 쪽 전체를 연결. 몸의 앞쪽에서 뒤로 젖혀지지 않게 잡아준다.

심부전방선:

모든 코어 머슬의 연결. 모든 관절의 안정성을 담당한다.

심부전방선의 기능이 떨어지면, 표면전방선이 과활성된다. 

ex:) 복횡근(심부전방선)의 기능이 떨어져 복강의 압력을 조절해주지 못하면 복직근(표면전방선)이 과활성화 되어 쥐가 날 수 있다.

심부에서 안정성 담당한 근육들이 제대로 동원되지 않으면 가동성을 담당하는 표층근육들이 동원된다. 심부 근육들은 낮은 강도의 운동서부터 동원되어 관절이 원래 자리에서 이탈하지 않게 잡아주는 것을 담당한다. 힘이 세지만 섬세한 조절이 되지 않은 표층 근육들은 속근 섬유를 포함해서 잘 지치고 관절에 스트레스를 주게 된다. 

비정상적인 근육의 동원 이유 2가지:

1) 운동을 안 해서: 표층 근육들이 제 때 동원되지 않아 심부근육들이 동원되게 하여 불필요한 기타 표층 근육들까지 사용되게 한다.

2) 고강도 운동을 많이 해서: 대흉근 긴장도가 높아 심부근육이 사용되기도 전에 대흉근을 사용하여 팔을 들어 올릴 때 어깨 통증이 발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