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포헬스 탄수화물 절제 다이어트 암걸릴수도 있다?

by flexmun posted Mar 06, 202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1.JPG

 

“다이어트하다 암 걸릴 수도?”...저탄수화물 식단의 함정

키토 다이어트 등 주의해야

최근 살을 빼기 위한 저탄수화물 다이어트가 인기를 끌고 있다. 그러나 몸에 특정 대장균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이러한 식단을 지속한다면 대장암 발병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캐나다 토론토대 연구진은 저탄수화물 식단이 특정 대장균의 DNA 손상 효과를 악화시켜 대장암 유발을 촉진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마이크로바이올로지(Nature Microbiology)》에 게재됐다.

연구진은 쥐를 대상으로 대장암을 일으킨다고 알려진 특정 대장균 3종 중 하나를 이식하고 세 가지 식단(일반식, 저탄수화물식, 고지방·고당분의 서구식 식단)을 섭취하게 했다.

그 결과, 한 종의 대장균(pks+ E. coli)과 저탄수화물 식단이 결합했을 때 대장에 용종이 급격히 증가하는 것이 확인됐다. 대장 용종은 대장암으로 발전할 수 있는 전조 단계로 여겨진다.

연구를 이끈 알베르토 마틴(Alberto Martin) 토론토대 의과대학 면역학 교수는 “대장암은 식단, 장내 미생물, 환경, 유전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며 “우리의 연구는 식단이 특정 세균의 발암 능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한 궁금증에서 시작됐다”고 설명했다.

이 특정 대장균(pks+ E. coli)은 대장암 환자에게서 자주 발견되는 병원성 대장균의 일종이다. DNA를 손상시키는 콜리박틴(colibactin)이라는 독소를 생산해 암 유발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탄수화물 식단은 식이섬유가 부족해 장내 염증을 증가시키고 정상적인 미생물 균형을 깨트려 콜리박틴 생성 대장균이 우세해지는 환경을 조성했다.

또한, 저탄수화물 식단을 섭취한 쥐들은 장 점액층(장내 미생물과 장내 상피세포를 분리하는 보호막)도 얇아졌다. 점액층이 약해지자 발암 물질인 콜리박틴이 대장 세포에 쉽게 침투해 DNA를 손상시키고 종양 성장을 촉진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연구진은 이러한 결과가 인간에게도 적용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후속 연구를 진행 중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저탄수화물 식단에 수용성 식이섬유를 추가하면 콜리박틴 생성 대장균의 증식을 억제하고, DNA 손상을 줄이며, 종양 발생을 완화할 수 있다는 점도 밝혀졌다.

박사후 연구원인 부페시 타쿠르(Bhupesh Thakur)는 “식이섬유를 보충했을 때 저탄수화물 식단의 발암 효과가 감소했다”며 “현재 어떤 유형의 식이섬유가 가장 효과적인지 분석하고 있다”고 말했다.

마틴 교수는 “이번 연구는 장기간 저탄수화물, 저섬유질 식단을 섭취하는 것과 관련된 잠재적 위험을 강조한다”며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지만, 이번 연구 결과가 최소한 경각심을 높이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원문보기

https://kormedi.com/27032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