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흥 피티 PT [상지선] 심부전방상지선 – 대흉근

by flexmun posted Sep 14, 202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상지선] 심부전방상지선  – 대흉근

대흉근은 광배근과 길항관계로 성립되는 구간이 생각보다 적고 오히려 승모근과 길항관계가 많이 성립된다. 광배근과 다르게 타고나게 두꺼운 근육이다. 뒤의 팔을 앞으로 움직일 수 있게 앞에위치하지만 근섬유 방향은 좌우의 결이다. 팔은 앞 뒤로 움직이기 때문에 몸통이 클수록 역학적 이득이 크다. 그래서 옆통이 두꺼운 사람이 몸을 잘 쓴다.

1.JPG

대흉근은 매우 세세하게 나뉘어져 쇄골 상부섬유, 1~7번 늑골까지 연결되어 있다. 기시부가 매우 넓어서 내전, 굴곡,수평내전과 같은 다양한 움직임을 만들어 낸다. 45도 외전 각도에서 대흉근을 가장 많이 쓰게 된다. 대흉근 상부섬유와 하부섬유는 정지부가 서로 달라 꼬여있다고 표현하기도 한다. 꼬여있는 부분은 그림과 같이 오목하게 들어가 있다. 상부섬유는 팔을 뒤로 많이 젖혀 아래로 잡아당길 때 개입되고, 하부섬유는 팔이 위쪽으로 많이 올릴 때 쓰인다. 이 때 상완과 가깝게 위치하면 근육이 팽팽하게 당겨져 팔을 위로 많이 올릴 수가 없기 때문에 역학적 이득을 위해 상완골두 가까이 정지부가 붙어있는 구조이다. 진화하는 과정에서 던지는 동작을 하기 위해 상부섬유보단 하부섬유가 많이 써져서 하부섬유가 더 발달하게 되었다.  

 2.JPG

 

흉골뼈가 위에서 아래쪽으로 더 길게 발달되면, 면적이 넓어져 대흉근의 개입이 더 커진다. 벤치프레스를 할 때 사용되는 근육은 흉골 가운데에 있는데, 이 근육은 얇고 힘이 별로 없다. 흉추가 펴지고 등이 편평해야 제대로 쓸 수 있어 플랫벤치 벤치프레스를 할 때 대흉근 하부섬유가 더 개입하게 된다. 근비대 목적으로 할 때는 흉추를 많이 펴지 않고 근섬유 길이 변화를 최대한 많이 주는 것이 좋다. 전거근 하부섬유의 동원을 증가시키고 가동범위도 짧아져 어깨관절의 안정성도 높아지고 더 무거운 무게를 들 수 있다.

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