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산소 운동에 대한 오해

by flexmun posted Aug 28, 201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아래 글은 

공복간 유산소를 권장하는 의미로 오인 할수 있는데

공복간 유산소에 유용성은 현재도 계속 놀란 중이라 

뭐가 맞다 틀리다 말할 수 없습니다.

아래 의견은 박기석 선수 개인적인 의견으로 해석하는 것이 맞겠습니다.

decision-1013752_960_720.jpg

 

 

체지방감소를위한 유산소운동시 무산소 운동(웨이트트레이닝)과 관계된 오해

무산소 운동을 통해 근글리코겐을 소비한 후 유산소 운동을 하면 지방 연소비가 올라간다 라고 많이들 알고있다.
의미가 없는 이야기는 아니나 인체가 가진 글리코겐의 양을 생각하면 큰 의미는 없는 이야기이다.
통상적으로 인체가 가진 글리코겐의 양은 24시간 금식을 해도 전혀 무리가 없는 양으로


마라톤 같은 고강도 장시간 운동을 통해서도 겨우 고갈이 일어날 정도의 양이다.
몇십분 남짓의 무산소 운동을 통해 근글리코겐을 소비해도 소비량이 많지 않고 혈당과 간글리코겐을 통해 보충이 되기 때문에
무산소 운동 후 유산소 운동을 해도 근글리코겐 고갈에 의한 지방의 추가 소비분은 적다.
무산소 운동 후 유산소 운동을 하면 힘든 이유는 에너지가 부족해서가 아니라 그냥 근육이 피로하기 때문이다.
무산소 운동과 유산소 운동의 어느쪽을 먼져하느냐는 근육의 피로도를 고려해 효율적인 쪽의 운동을 먼져하면 된다.
아니면 무산소 운동과 유산소 운동의 간격을 조정해 적당히 텀을 두면 더욱 좋다.

무산소도 운동강도 경력에 따라 다르다.


무산소로 혈당, 운동 전 식사, 간글리코겐, 근육글리코겐을 태우면 지방을 쓰게 된다.
다만 근육글리코겐은 하체운동을 했을때 하체근육 글리코겐만 빠지게 된다.
그래서 간 글리코겐을 소모하는게 중요하고 유산소 타이밍은 8시간 자고 난후 간 글리코겐이 빠진 상태에서
중간 강도의 유산소를 타게되면 지방을 태우는 것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출처 박기석 선수 페이스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