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S KOREA 교정운동 생리학 1편 (2편은 운동게시판)

by 문종수 posted Jul 05, 201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앞으로 10주간 교육을 받으면서 복습 겸  그 주 배운 내용을 요약하여 올리겠습니다.



 



그림을 첨부하면 좋은데 저작권 문제로 고생한 적이 있어서 개인적으로 연락하면 관련 이미지를 보내 드릴께요.



 



서론



교정운동은 아래와 같은 범주로 나눌수 있다



재활운동 < 교정운동 < 강화운동 < 선수트레이닝



 



과연 무엇을 교정 할것인가



교정에 최종적인 목표는 올바른 정렬이지만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무의식적 움직임을 관장하는 소뇌를 다시 세팅해야 한다.



 



대뇌 전전두피질은 의식적인 움직임을 통제하며 전체 움직임에 10%정도이지만 에너지가 많이 필요하다 소되는 무의적인 움직임을 통제하면 전체 움직임에 90%를 차지한다.



 



교정운동을 위해서는



병원 재활운동(최대운동강도에 30%미만)인 프로그램과



최대운동강도 50%에 교정운동 프로그램을 통해 고정은 70~80%수준에 강도가 되어야 원래 수준으로 회귀하는 것을 막을수 있다



 



♧ 뉴런은 320km/h에 초고속으로 온몸에 신경을 전달한다.



♧ 체중*0.7 = 혈액양



 



 



신경계와 운동과의 관계



중추신경계(뇌/척수(척추속신경)



 



1.뇌



Input



근육/피부/관절:근방추, 골지건기관,관절수용기등 체성 감각신경



내부장기 : 내장 감각신경



 



뇌를 거친 Output



운동신경을 통한 신호전달 : 골격근



교감신경과 부교관신경을 통해서 신호전달 : 내분비선, 심장/내장근



 



뇌의 역할



-대뇌 전전 두피질 : 의식적인(이성) 행동을 만든다, 새로운 것을 배우기 위한 집중, 과거의 기억을 떠올려 행동 여부 결정, 외배부 자극을 토대로 감정적 변화



-두성부 : 대뇌의 윗부분에 위치 감각신호를 이해 해석



-후두부 : 시각기능에 관여



-측배엽 : 청각기능에 관여



-소뇌 : 운동동작을 계획하고 척수를 통해서 명령을 전달하는 운동의 중심, 무의식적인 행동, 중심을 잡고 정상적인 움직임을 만듦



-변연계의 기능:동작학습과 높은 상관성을 가지고 있다. 기억과 관련된 뇌의 국방부 직할부대 및 기관들을 연결하고 있는 시스템, 호르몬반응들과 신경반응들을 조절한다.



 



2.척수



 



반사신경에 관여



감각 뿌리 / 운동 뿌리/ 사이신경 / 회백질



 



총31쌍 : 목신경 8쌍/ 가슴신경 12쌍/ 허리신경 5쌍/ 엉치신경 5쌍/ 꼬리신경1쌍



 



말초신경의 이해



 



1.운동신경



-체성신경계:몸을 움직이기 위한 신경



- 감각신경(정보를 중추로 전달)



- 운동신경(중추신호를 골격근에 전달)



 



-자율신경계



 



2.뉴런



-핵부분은 뇌또는 척수에 연결



-snapse : 신경을 연결하여 네트워크형성



-myeline sheath : 지방으로 두꺼울수록 빠른 신호전달(운동으로 강화가능)



-node of ranvier : 도약전도를 가능하게 함



 



운동 단위 : 1개의 운동신경이 지배하는 근섬유에 합계



-지근:10-180개, 대부분심근으로 조절이 중요, 섬세한 움직임, 근비대는 어려움



-속근:300-1200개, 대퇴사두등, 에너지 과소모, 지근신경보다 두꺼움



근력 : 운동단위를 얼만큼 많이 동원하느냐(중추신경은 근육을 담당하는 감각신경의 보고에 따라서 운동단위를 조절한다.



 



♧ 다열근 (직립보행에 가장 중요, 운동신경 1개당 10개의 근섬유, 가장 섬세한움직임)



 



3.척수의 회백질 부분



-흥분성 뉴런 : 수축과 긴장, 근방추



-억제성 뉴런 : 이완(스트레칭한 자세로 장력을 준다/신장성 수축),



골지건, 불필요한 자극을 통제



 



4.실무율(all or none)



- 지근이 속근보다 더 작은 전기적 자극에도 반응



- 일단 역치를 넘긴 자극에 의한 수축힘은 동일



 



5. 근수축



연축(twitch) : 근육이 한번 축하는 현상 / 불응기가 있다.



가중(sumation) : 불응기가 끝나기 전에 연이은 자극으로 수축력이 점저 강해지는 현상



강축(tetanus) : 가중현상의 반복으로 “근수축이 연속되는 현상”



 



♧ 레그컬 후 종아리 쥐날 것 같음=>종아리근육이 짧아져서 강축이 일어남 운동전스트레칭으로 협력근이 참여하지 못하도록 한다.



 



6. 힘의 생성 측면에서 시/공간적 가중



시간적 가중 : 역치 이하의 자극이 연달아 일어나면 두 개가 합쳐지면서 역치 이상의



자극으로 바뀐다. 수면중 불편함+불편하=움찔



공간적 가중 : 운동단위의 수가 증가할수록 낼수 있는 힘의 크기가증가하게 되는데



근력과 직결된다. 내측상과 안쪽을 때리면 손끝이 찌릿하는 현상



 



운동 초기의 근력증가 속도가 빠른 이유



사용하지 않아서 차단되 운동단위가 활성화 된다.



 



♧ Trigger point : 실체가 없다 / 근방추 가설론이 존재



♧ 운동간 느낌을 못찾을 때 단축성 수축으로 근방추를 활성화 후에 다시 해본다.



♧ 근육이 활성화 > 체온상승 > 면역력 증가



♧ 운동신경 두께가 두꺼우면 근횡단면적에 비해 발휘하는 근력수준이 높다.



 



 



말초신경 2



 



1 감각 신경



체성신경 중 감각신경 : 반사작용 muscle spindle(통증 유발점/압통점)



-근육의 길이 변화와 변화의 속도를 감지하는 역할(신전에 대한 감지가 주요역활)



-근방추가 대표적 양끝단에 감마 운동 신경



-방추내 근섬유(감각신경)은 수축을 못하며 양쪽 끝단만 강한 수축이 가능(수축>민감도상승)



-근방추가 신전에 민감한 이유는 수축을 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너무 느슨한 경우 운동느낌이 없다 절정수축/단축성수축 후 본운동



 



2. 원리에 적용 (근방추)



-체성신경 중 감각신경 : 반사작용 – muscle spindle



a.신전반사작용을 이용한 훈련과 => 플라이오 매트릭(스피드/순발력/평형/혐응/반응시간)



-Eccentric contrection



-Amortization(멈추는시간)



-Concentric contrection



b. 근비대를 위한 근방추 촉진 트레이닝



-최대 수축형태의 Concentric contraction 15회 부분반복 2~3세트



-주요운동 최대강도 프리웨이트 위주 종목부터 실행



-케이블플라이후 벤치, 힙 abduction 후 스퀏



 



c. Trigger Point : 지나친 민감도 증가에 의한 가장 많은 통증원인 / 운동 단위로 뭉치는



형태가 생긴다. / 명확한 원인 모름 / 근육이 많은 부위 /



인대나 건위주의 손발목은 거의 없음



- 같은 동작을 반복적으로 해서 발생



- 컨디션저하/ 스트레스



- 만성적 근장력 증가



- 수면부족 / 스트레스



- 잘못된 근무환경



- 철,D,B 부족/ 부신피질 저하증/ 당뇨 / 혈색소병증/ 갑상선기능저하증



 



 



♧ 낮시간에 강한 햇빛을 많이 쬐면 멜라토닌 분비가 촉진된다.



♧ 경추 스트레칭은 누워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