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S KOREA 교정운동 생리학 및 걷기 분석 2편

by 문종수 posted Jul 14, 201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교정운동 및 기능해부학 정리

1. 골지건(Golgi Tendon Organ)

  • 역할: 근육의 과도한 긴장과 파열을 방지하며, 근방추보다 우세하게 작용.

  • 과민 반응에 따른 통증 및 부상 관리 방법

    • 폼롤러 등 도구로 특정 부위의 골지건을 자극.

    • 통증 유발점을 찾아 압박 및 이완.

    • 정적·동적 스트레칭을 통한 근육 이완.


2. 통증과 피로 메커니즘

  • 강도 높은 훈련은 더 많은 운동 단위를 동원하며, 중추신경계 피로를 유발.

  • 통증 및 회피 반응 단계

    1. 손상 부위 자극

    2. 소뇌편도체 자극

    3. 시상하부 자극

    4. 뇌하수체 자극

    5. 코티졸 및 아드레날린 분비 증가


3. 근막(Fascia)

  1. 구조: 근바깥막 → 근다발막 → 근속막 → 근섬유막

  2. 기능:

    • 전신 정보 전달 및 긴장 통합

    • 신경보다 약 3배 빠른 정보 전달 속도

    • 신체 형태 유지에 중요한 역할


4. 근육 생리와 회복

  • 유산소·무산소 운동 경계: 약 2분 30초 시점

  • 근육세포 특징: 다핵세포로, 운동 경험이 있는 경우 재훈련 시 빠른 변화가 가능

  • 운동 피로 및 초과회복: 충분한 회복이 있어야 근육 성장과 퍼포먼스 향상이 가능

  • 훈련 중단 시 변화: 운동 단위 동원 감소 → 근력 감소 → 근육 크기 감소 → 약 8개월 후 초기화 수준으로 회귀


The-Importance-of-Muscle-Recovery.png

muslce-fiber-type-chart.jpg

 

5. 체성분 측정 시 유의점

  • 참고용으로만 활용할 것(오차가 큼)

  • 측정 원리 및 유의사항:

    • 수분 비율에 따라 측정 결과 변동

    • 운동 직후 세포 내 수분 증가로 근육량이 높게 나옴

    • 저녁에 하체 수분 집중

    • 뼈 밀도에 따라 지방 비율 계산에 오차 발생

    • 염증 및 부종은 수분 증가로 나타남


6. 보행 분석(Gait Analysis)

보행 요소

  1. 항중력근의 안정성

  2. 평형 유지 반응

  3. 소뇌에 의한 발 동작 패턴화

보행 주기

  • 입각기(stance period): 보행의 약 60% 차지

    1. 발뒤꿈치 닿기(Initial Contact)

    2. 발바닥 닿기(Loading Response)

    3. 입각 중기(Mid Stance)

    4. 입각 말기(Terminal Stance)

    5. 발끝 떼기(Pre-Swing)


7. 발·무릎·골반·상체의 기능 이상 패턴

  • 모음(내전)

    • 과활동: 종아리근복합체, 대퇴근막장근 등

    • 저활동: 전·후경골근, 중둔근 등

  • 외회전

    • 과활동: 가자미근, 대퇴이두 등

    • 저활동: 내측 장딴지근, 대·중둔근 등

무릎

  • 내회전

    • 과활동: 내전근복합체, 대퇴근막장근 등

    • 저활동: 내측광근, 전·후경골근 등

허리·골반·엉덩이(LPHC)

  • 과도한 허리 아치

    • 과활동: 장요근, 대퇴직근, 기립근 등

    • 저활동: 내재적 중심 안정근, 햄스트링 등

  • 과도한 골반 회전

    • 과활동: 외복사근, 내전근복합체 등

    • 저활동: 대·중둔근, 안정근

  • 엉덩이 비대칭 회전

    • 과활동: 요방형근, 대퇴근막장근 등

    • 저활동: 내전근, 중둔근 등

상체

 

  • 어깨 말림

    • 과활동: 대흉근, 광배근

    • 저활동: 중·하부 승모근, 회전근개

  • 머리 전방 돌출

    • 과활동: 상부승모근, 목빗근 등

    • 저활동: 깊은 목 굽힘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