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S Korea 교정운동 하체

by 문종수 posted Jul 21, 201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강화 순서 코어-하체-당기기-밀기

#족저근막 이완만으로 숙였을때 어깨 높이를 맞출수 있다.

 

해부학 용어

-장골능/전상장골극ASIS/후상장골극PSIS/좌골조면/치골결합/좌골극/천장관절

-천골저부/천골의 이상면/천골 상부관절 돌기

-대퇴골두/대전자/소전자(장요근)/내외측과/관골구/과건구(십자인대)/조선(내전근/반막반건양근부착)

(치골대퇴인대/장골대퇴인대:앞쪽이 열려있어 두 개인대로 지탱, 골반전경상태 이완)

(좌골대퇴인대:앉았을때 긴장, 역도선수가 기울여 자세를 취한때 가장 위험)

 

# 고관절의 최대신전 : 내회전+신전

# 대둔근과 길항관계에 장요근에 균형이 안맞으면 요통이 생긴다.

 

경사각과 전경각

경사각 : 대퇴골두의 125도가 정상 (크면:오다리/내반슬 작으면:X다리/외반슬)

-내외반슬 모두 무릎안쪽에 통증

 

전경각 : 후방의 안정성, 대퇴골과 골반에 각 15도가 정상

-15도보다 크면 toe in 작으면 toe out

-앉아서 발바닥을 맞대고 무릎을 누르면 내전근이 아니라 뒤쪽에 통증이 있을때 확인요

-전경각이 크면 toe in이 되고 둔근 발달이 적고 무릎마모가 심하다, 내전근은 긴장

벽에 등을 대고 상체와 무릎이 90도가 되도록 스퀏을 한다. 보폭은 좁게

-전경각이 작으면 toe out으로 팔자걸음/넓게 스퀏 내전근을 강화한다.

 

#골반에 정렬확인 내과-경골조면-전상장골극(누웠을때와 섰을때가 다르면 섰을때가 기준)

#Inflare:Outflare, 4:1, 벌어짐:모아짐

#속근 비율이 높은 대표적인 우상근 대퇴직근 비복근

#골반이 두꺼울수록 모멘트암의 길이가 길어진다.

 

고관절 굴곡

-대퇴직근 : 우상근/내려가면서 커진다/11자걸음/약화되면 전경골근이 긴장/

주로 앉아서 생활하기 때문에 기지부가 타이트

-장요근(대요/장골) : 대퇴부를 위로 바로 드는형태(초강력굴곡근)/외회전위주/V자 걸음

-봉공근/대퇴근막장근

-X형태의 다리는 대내전극이 굴곡에 많이 참여한다.

-대요근의 문제는 레그레이즈 중 허리통증을 유발한다.

 

고관절 신전

-대둔근 : 초강력신전/기시점이 길면 1.5배/둔근이 기능저하되면 외측광근이 발달

 

#외측광근 대퇴이두 대둔근 이완시 장경인대를 같이 이완한다.

#기마자세로 오래 버티면 전형적인 지근이 중간광근이 쓰인다.

#기립을 위한 몸 뒤쪽 근육은 대부분 지근

 

천장관절통

-천골과 장골이 끼이는 현상/ 골반이 벌어진다/ 엉치부터 통증/둔근운동기능저하/ 굴곡에 제한

 

천장관절통과 전면 골반통관련 스트레칭

 

확인자세

누워서 확인할 골반쪽 다리를 반대쪽 무릎위에 놓는다, 전상 장골극과 무릎을 눌러 이완시킨다.

1.뒷쪽이 아프고 천장관절통이 의심이 될 때

- 누운상태에서 요방형근을 견인하듯이 아래쪽으로 이완시켜준다.

- 이때 골반전경이 된 경우 무릎을 들어 원위치시켜준다.

- 양손으로 골반을 감싸고 아래에서 위로 올려서 전상장골극 부분을 모아준다

- 천장관절쪽에 검지를 대고 천골라인을 따라 나머지 손을 대고 올려서 10초정도 유지

 

2.앞쪽이 아플때

- 아픈쪽 다리 발끝을 바깥쪽으로 향하게 대퇴골을 외회전

- 전상장곡근 안쪽 서해인대부분을 눌러서 긴장을 푼다(손바닥을 대고 바깥쪽으로 밀 듯이)

- 확인자세에서 오금사이에 팔을 펴서 지랫대처럼 넣어서 밑으로 이완

- 반대쪽 골반이 많이 움직이는 경우 무릎으로 발을 바치고 반대쪽 골반을 누른 상태로 한다.

 

 

장요근 스트레칭

확인자세

엎드린 상태에서 대퇴부를 10도정도 올렸을 때 골반이 함께 움직이면 긴장상태

1.이완

- 전상장골극 안쪽을 눌러서 이완

- 무릎을 세워서 바깥쪽으로 편하게 기대고 눌려서 긴장정도 파악

- 장요근을 엄지로 지긋시 누르거나 볼로 누른다.

- 누른상태에서 오금을 잡고 서서히 무릎을 펴준다 (이때 누르는 힘도 서서히 빼준다.)

 

2.스트레칭

- 엉덩이에 롤러를 대고 반대쪽 무릎을 당겨 잡도록 하여 허리통증을 줄여준다.

- 편쪽 다리에 무릎이 많이 구부려져 올라가있으면 긴장된 상태

- 이때 발끝이 안쪽을 보고 있으면 대퇴근막장근도 긴장된 상태이다.

- 그 상태에서 양쪽 무릎을 눌러 10초 정도 스트레칭

- 엎드려서 긴장된 쪽의 다리를 약간 벌려 장요근이 수직이 되도록 한다.

- 무릎을 굴곡시킨후 엉덩이를 누르고 대퇴부를 뒤로 잡아당겨 장요근을 스트레칭한다.

 

대퇴근막장근 스트레칭

확인자세

누운상태에서 대퇴 근막장근을 위에서 아랫방향을 눌러서 긴장된곳을 찾는다.

1.이완

- 볼로 눌러 아랫방향으로 힘을 준다. 20초정도

- 팔 배게하여 아픈 곳이 위로향하게 옆으로 누운후에 아래 무릎을 구부려 잡는다.

- 스틱으로 기지부는 아랫방향으로 정지부는 윗방향으로 풀어준다

 

2.스트레칭

- 위 자세에서 뒤쪽으로 이동하여 엉덩이를 무릎으로 받치고

- 근막장근을 손바닥으로 아랫방향으로 누르면서 무릎을 아래로 눌러 뒤로 당긴다.

- 이때 외측광근이 너무 타이트하면 무릎 바깥쪽이 아플수 있다.

 

대퇴직근 스트레칭

확인자세

엎드린 상태에서 무릎을 모으고 발을 엉덩이 쪽으로 밀어 또는 누운상태에서 눌러서 확인한다

1.이완

- 누운 상태에서 긴장된 부위를 기지부는 아랫방향으로 정지부는 윗방향을 눌러 이완

 

2.스트레칭

- 엎드려서 무릎을 구부려 발목을 잡아 고정하고 힘을 주어 등척성 수축을 시킨다.

- 발목과 무릎을 잡고 아래서 위쪽으로 끌어올리듯이 엉덩이 쪽으로 10초정도 스트레칭해준다. 

1437312301395.jpeg1437312316256.jpe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