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S Korea 어께관절

by 문종수 posted Oct 04, 201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어깨관절

-견갑근,극상와/극하와,견갑하와,관절와,상각/하각

-흉쇄관절,견쇄관절,견흉관절,견흉관절(윤할막만존재,진성관절X)

-30도 후경, 앞쪽은 인대가 뒤쪽은 근육이 잡고 있다.

-견갑골관절와 5도의 상방경사(처진어깨는 관절와와 직각방향에 스트레스가중)

-견갑대의 정상 정렬

1.상각 하가의 수직선이 척추와 수평

2.척추와 견갑골 사이는 약 3인치정도, 흉추 2~7번사이 위치 (여자는 2인치정도)

3.흉추 1번의 수평축 아래에 견봉의 위치

4.견봉의 중간이 몸통의 중심을 넘지 않는다.

5.상완골두가 견봉의 위치보다 1/3이하 돌출

6.흉추의 정렬이 후만,편평,측만이 있는지 확인(후인팔이A자, 전인팔이V자 걸음)

상완골증후군의 발생빈도순서

-상완골 전방활주 증후군(높은빈도,손바닥이 뒤에서 보인다.)

-상완골 상방활주 증후군

-견관절 내회전 증후군

-견갑와 상완관절 저운동성 증후군

 

#어깨가 팔을 잡고 있는 순서 극상근>이두장두>삼두장두

#어깨관절 안정화 위해 후면삼각근이 중요(기능이 저하되면 극하근 사용빈도가 높아진다.)

#악력>후면삼각근이 뒤로>중부승모와 연결, 스트랩>어깨처짐>전면삼각>상부승모(고중량만 쓴다)

#어깨통증:풀기>코어/하체강화>회전근계/능형근 강화

#견관절의 이상을 호소하는 선수에 비해 증상이 없는 운동선수에게서 상완 후경의 증가가 두드러졌으며, 후경이 없거나 감소되어 있을 경우 내적 충돌증후를 유발할 수 있다

#노인중에 액와낭의 그물침대 기능이 떨어져 팔거상시 통증을 유발하는 경우가 있다.

#극상극의 중요성

-안정성에 매우 큰역할, 측면/후면삼각근,이두장두/삼두장두를 강화하여 스트레스감소시킴

-전인된 견갑과 그사이에 끼는 극상근

-극상근은 어깨의 외전 중 초기 30도까지의 외전에 작용을 하며, 보행중 팔을 앞뒤로 흔들때 상완골두가 하방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상완골두를 견관절와 안쪽으로 당기는 기능을 합니다.

 

 

견갑골 기능 해부학

상방회전(상/중부 승모근, 전거근)

-견관절이 3도 외전할 때 2도는 관절와 상완관절에서 1도는 견흉관절에서 일어난다(2:1법칙)

(견갑골이 50%이상 움직이면 견봉과 상완골두가 충돌)

 

하방회전(견갑거근,능현근,소흉근) 거상(견갑거근,상부승모) 하강(하부승모,소흉근) 전인(전거근,소흉근)

수평내전(대흉근,전면삼각근) 후인(능형근) 흉벽에 고정(전거근)

 

견관절 기능 해부학

신전(광배,대원,후면삼각근,극하근,소원근,삼두장두) 굴곡(전면삼각근,오훼상완근,대흉근,이두단두)

내전(광배,대원,오훼상완,대흉) 외전(측면삼각,극상) 수평외전(후면삼각)

내회전(대흉,광배,대원,전면삼각,견갑하) 외회전(후면삼각,극하,소원)

 

내회전근스트레칭

-누워서 팔꿈치를 구부리고 충돌방지를 위해 상완을 바깥당김 한상태에서 외회전

외회전근 스트레칭

-엎드려서 팔꿈치를 구부리고 손은 허리쯤, 충돌방지를 위해 상완을 바깥당김 한상태에서 내회전

 

팔꿈치관절의 이해

-경첩관절 좌우 인대 보강

-윤상인대(4살이하 팔뽑힘방지 ^^)

굴곡(상완근,상완이두,상완요골,원회내) 신전(삼두,주근) 회외(상완이두,회외) 회내(요축수근굴근,방형회내근)

-지속적인 굽힘 상완근,상완이두의 정지부쪽 단축
-상완근은 상완삼두 내측주와 길항관계로 이두근육은 팔꿈치 안정화에 기여

-삼두내측두(안정근,펴는순간 가장먼저쓰임,푸쉬업에 많이쓰임)

 

손목관절의 이해

-25도의 척측경사, 장측경사

-손가락 굴곡근이 타이트하면 외측상과염유발(테니스엘보),장단요측수근신근이 가장 잘손상

-골프 뒷땅(척측수근굴근), 손목굴곡시 사선방향 통증(요측수근굴근)

 

신전(장단요측수근신근,척측수근신근),외전(장요측수근신근) 굴곡(척측/요측수근굴근)

내전(척측 수근신근/굴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