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탕물로 입만 헹궈도 힘이 솟는다???

by flexmun posted Feb 09, 201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설탕물을 입에 머금었다가 뱉는 걸로 운동선수들의 기록이 좋아질 수 있을까?
​​​​​​​stock-photo-sport-sprinter-leaving-starting-blocks-on-the-running-track-422100022.jpg

영국 일간지 가디언에 따르면 최근 스포츠 과학자들의 연구 결과 운동 직전에 설탕물로 입을 헹구면 기록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유럽 스포츠 과학 저널(European Journal of Sport Science)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탄수화물 입 헹구기(Carb-Rinsing)’라 일컫는 이 방법을 20대 남성 선수들에게 테스트한 결과 더 무거운 중량을 들 수 있었고, 빨리 달렸으며, 멀리 던지고, 높이 뛰었다. 심지어 경기 집중력도 높아졌다.


지난해 12월 캐나다 스포츠 연구소의 트렌트 스텔링거프 국장에 따르면 운동선수들이 탄수화물 입 헹구기를 한 뒤 다리 훈련을 했더니 최대 운동 능력(peak power)이 증강됐다. 그는 "놀라운 결과였다. 입 헹구기는 즉각적으로 효과를 발휘했다. 선수들이 훈련에 대한 자신감도 높아졌다"고 설명했다.

탄수화물을 실제로 섭취하는 것 역시 운동성과를 높일 수 있다. 그러나 한창 훈련 혹은 경기 중일 때 뭔가를 먹고 소화시킨다는 건 쉽지 않은 일이다. 더군다나 최대 운동 능력을 발휘해야 하는 절정의 순간에는 불가능한 일이다.

먹은 게 아니라 입만 헹구었을 뿐인데 왜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 걸까?

코벤트리 대학교의 스포츠 과학자 닐 클라크는 "입 헹구기는 두뇌의 보상과 각성을 담당하는 부위를 활성화한다"고 말했다. 두뇌 입장에서 '두뇌는 에너지원(탄수화물)이 들어오는구나. 더 힘을 내보자'고 각성상태를 유지한다는 설명이다. 쉽게 말해서 뇌를 속인 셈이다.

입 헹구기 과정에서 '단맛'은 중요한 변수가 아니라는 대목이 흥미롭다. 연구자들이 설탕물 대신 말토덱스트린 용액으로 바꿔도 결과는 유사했다. 말토덱스트린은 녹말을 불완전 가수분해할 때 생성되는 탄수화물이지만 단맛은 없다.

클라크는 "입 헹구기는 미각이 무의식적으로 탄수화물을 알아차리면서 일어나는 잠재적인 반응인 것 같다"고 말했다.

반론도 있다. 지난해 그리스와 남아공의 과학자들의 연구 결과는 입 헹구기가 별 효과가 없다는 것이었다. 15명의 여성 주자에게 입 헹구기 후 60분간 달리기를 시키는 실험이었다.

재반론도 나왔다. 탄수화물 입 헹구기는 마라톤처럼 지구력을 요하는 종목보다, 단거리 달리기, 역도 등 순간적이고 폭발적인 움직임을 요하는 종목에서 효과가 있다는 설명이었다.

입 헹구기로 증진되는 성과는 대략 2~3%로 측정된다. 대단치 않아 보이지만 간발의 차이로 기록이 갱신되고 메달을 가리는 엘리트 선수들에게는 중대하다.

예컨대 2016년 리우 올림픽 100m 달리기 결승에서 10.06초의 기록으로 8위에 랭크됐던 미국의 트레이본 브로멜이 설탕물로 입을 헹궈 3% 가량 기록을 향상시킬 수 있었더라면 9.81초의 기록으로 금메달을 차지했던 우사인 볼트를 이겼을 지도 모른다.


원문보기

http://m.kormedi.com/news/NewsView.aspx?pArtID=1226134&type=HealthNews#backPop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