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교정운동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20180327_182112.jpg

신경생리학 및 해부학 두번째


- 근육의 경우 늘어난 경우는 평소에 아프고  찢어질 리스크가 있고 짦아지고 단축 된  근육은 눌러서 아픈 경향이 있다

- 전완 부상시 삼두를 풀고 견갑을 
  후인 시켜야 한다

[극상근]

▷기시: 견갑골의 극상와

▷정지: 상완골의 대결절의 위쪽 부분, 
       어깨관절의 낭

▷기능

1.어깨(= 팔) 외전시 삼각근 보조

2.상완골을 관절 와 쪽으로 잡아당겨 탈구 방지

3. 상완골이 삼각근에 의해 견봉 위로 올라가는   것을 방지

4. 약한 팔의 굴곡.

▷신경: 견갑 상 신경(= C5)

※ 옆으로 누워 자는 것은 극상근과 극하근에
    좋지 않습니다


[삼각근]

▷기시

전: 쇄골의 외측 1/3의 전면 경계와 위쪽면

중: 견봉의 외측 경계

후: 견갑골의 극(= 가시)의 능(= 이랑)의 
    하연(= 아래 경계)

▷정지: 삼각근 조면, 상완골의 체간의 외측면의
          중간

▷작용

전면: 팔의 굴곡과 내측회전

측면: 팔의 외전

후면: 팔의 신전 + 외측 회전

▷신경: 액와신경(= C5, C6)


- 죽은자는 말이 없으니 명탐정이 되어라

- 보행분석시 나선선에 의해 움직임

- '긴장을 타고 올라간다' 라는 표현

  Ex) 한쪽다리에 근육량이 많으면 긴장을   타고 올라가 허리 통증이 온다

- 정적인 분석은 자세를 의식하게 되어  조작하게 되면 신뢰도가 떨어 질 수 있으니   '확인용도' 로만 사용 할 것

- 단시간 내에 풀어지면 단시간에 다시 불균형이  생긴다

- 지적질 하지 말고 가서 차근차근 물어보라

- 허리가 아프고 걸을 때 엄지발가락이   바닥에 쓸린다면 신경 문제이다

  -> 병원에서 '근 전도
                  (=electromyogram EMG)'
      검사를 받아 볼 것.

- 인체는 206개의 뼈와 300개중 230개의   가동관절과 650개의 근육과 13만km의 혈관  과 72km의 신경으로 구성 되어 있다


- 'Long(= Weak)'은 느슨해져 있고  깨워주어야 한다(= 민감도 up!)

- 'Short(= Tight)'한 근육은 힘을 잘 못쓰고  참여하면 안될때도 참여율이 높다
  (= 근방추의 민감도가 활성화 되어 있다)  풀어주고 감각신경을 억제해 주어야 한다
  (= 무의식, 반사적 사용)

- 모든 근육은 관절을 건너서 있다

- 건, 인대 손상시 회복이 잘 안된다   = 혈관이 있어야 회복이 잘 된다     (= 색깔이 흴 수록 회복 잘 X)

- 구조적 변형에 이르게 되면 교정이 어렵다

- 티타늄 인공관절 강해보이지만 수명 10~15년

- 무릎 연골은 100년을 사용해야 함으로 아껴쓰자


[Reference] : flexmun, 「교정운동 1주차 요약...../체형 교정 운동/......마포구 공덕동 염리동 애오개 래미안 헬스장 - 헬스장 이야기 - 마포구 공덕동 래미안헬스」 http://ptgym.co.kr/?mid=day&page=13&document_srl=6415.



  1. 마포피티 심부전방선 두장근 경장근

    경추는 관절 자체의 가동성이 커서 사이가 매우 느슨하다. 경추를 안정시켜주는 근육들이 약해지면 분절적인 움직임이 잘 일어나지 않아 한꺼번에 움직이게 되고 경추뼈에 압박이 증가하게 된다. 요추 디스크는 사이즈 자체가 크고 섬유륜이 20겹이라 잘 안터...
    Date2024.03.10 Byflexmun Views393
    Read More
  2. 대흥동피티 표면전방선 – 2차 코어 근육 1)복직근 2)흉골근

    표면전방선 – 2차 코어 근육 / 복직근 내외복사근 중둔근 대둔근 척추기립근 무거운 무게를 들어 올릴때 코어를 안정시키기 위한 근육들은 2차 코어 근육이다. 데드리프트도 서서하는 코어 운동이다. 심부에서 안정성을 담당하는 1차 코어 근육이 잘 동...
    Date2024.02.25 Byflexmun Views511
    Read More
  3. 염리동피티 심부전방선 – 늑간근

    심부전방선 – 늑간근 (좌 파랑색) 들이쉬는 호흡(들숨): 보조호흡근과 주호흡근으로 나뉨. (우 빨강색) 내쉬는 호흡(날숨) 액티브 브레이싱을 하면 숨을 내쉴 때 복부의 모든 근육이 참여를 하게 되어 흉곽이 좁아지게 된다. 초보자들은 신장성 수축에 ...
    Date2024.02.25 Byflexmun Views485
    Read More
  4. 공덕동피티 심부전방선 – 1차 코어근육 2)횡경막

    심부전방선 – 1차 코어근육 2)횡경막 대정맥을 통해 아래쪽에서 위로 혈액들이 회귀해야 하는 상황에서 과하게 힘을 주면 횡경막이 대동맥을 눌러서 기절할 수 있다. 척추의 안정성을 위해 발살바 호흡이 필요한 사람은 중량 데드리프트가 가능한 중고급...
    Date2024.02.18 Byflexmun Views443
    Read More
  5. 공덕피티 심부전방선 – 1차 코어근육 1)복횡근

    심부전방선 – 1차 코어근육 1)복횡근 복횡근은 안정성을 담당하는 심부전방선 전체를 활성화시켜주는 스위치이다. 복횡근은 옆구리에 있고 앞 뒤쪽으로는 없다. 복횡근의 비어진 부분의 뒤쪽은 요방형근이, 앞쪽은 복직근이, 그 내부로는 복부건막이 커...
    Date2024.02.18 Byflexmun Views484
    Read More
  6. 아현동 피티 심부전방선 – 1차 코어근육 / 복횡근 횡경막 골반기저근육

    심부전방선 – 1차 코어근육 / 복횡근 횡경막 골반기저근육 코어근육은 원래 무의식적 수축을 하는 근육들이다. 1차 코어 근육들은 몸통 쪽의 뼈가 비어 있는 공간을 채워 풍선효과처럼 일정한 압력을 만들어 골반과 척추 하부쪽을 안정시켜준다. 1차 코...
    Date2024.02.12 Byflexmun Views498
    Read More
  7. 용강동피티 심부전방선 – 고관절 심부 외회전근 2)상쌍자근 3)하쌍자근 4)내폐쇄근 5)외폐쇄근 6) 대퇴방형근

    심부전방선 – 고관절 심부 외회전근 2)상쌍자근 3)하쌍자근 4)내폐쇄근 5)외폐쇄근 내폐쇄근은 고관절을 회전할 때, 특히 발이 고정된 상태에서 방향 전환을 할 때, 어깨에서 회전근 같은 역할을 한다. 이 기능들이 떨어지면 골반관절 안정성도 떨어진다...
    Date2024.02.12 Byflexmun Views488
    Read More
  8. 도화동피티 심부전방선 – 고관절 심부 외회전근1) 이상근

    심부전방선 – 고관절 심부 외회전근1) 이상근 이상근은 어깨 쪽에서 극상근과 같은 위치에 자리한다. 외회전근의 큰형님이다. 이상근쪽 근막이완은 팔꿈치같은 부위로 직접적으로 하면 힘줄이 벗겨져 염증이 생길 수 있으니 딱딱한 근막이완 도구볼로 하...
    Date2024.02.04 Byflexmun Views417
    Read More
  9. 마포피티 심부전방선 – 고관절심부 외회전근 그룹

    심부전방선 – 고관절심부 외회전근 그룹 항문 가까이에 있는 근육들은 골반 기저근육에도 해당된다. 대둔근에 덮여서 잘 안 보이는 근육들이다. 심부에서 안정성을 담당해주는 근육들이라 항상 동원되는데, 고관절 굴곡근들이 대퇴골두를 앞으로 뽑아가...
    Date2024.02.04 Byflexmun Views539
    Read More
  10. 대흥동피티 심부전방선 장요근(장골근 대요근) 탐구

    장요근(장골근+대요근)탐구 장요근 때문에 디스크가 터지진 않는다. 전력질주를 거의 하지 않는 현대인들은 장시간 앉아있어 기능이 떨어진 장요근 때문에 척추가 뒤로 넘어가 허리의 만곡이 사라지고 편평해진다. 가만히 서있을 때 허리에 통증이 발생한다면...
    Date2024.01.28 Byflexmun Views52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2 Next
/ 52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