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교정운동

20180327_002111-613x345.jpg[이끼섬유, Mossy fiber, 단일 분파]

-> 평소 늘 하던 움직임은 이끼섬유를 타고    들어온다(= 구심성)

[오름섬유, Climber fiber,    복합분파(= 멀티스파이크)]

-> 입력장치(= 구심성)


  Ex) 패턴화 된 것이 아닌 처음 동작시       오름 섬유를 타고 다시 올라오게 된다
       (= 위험 신호가 올라오는 것)   트렘블린에서 뛰게되면 지면반력 제거 됨
  -> 놀람 -> 오차수정 -> 신경 전달로 바뀜
  -> 점프가 더 잘될 수 있게 신경전달로 활성화

  ※계속 잘 하고 있다고 칭찬해야 연결로가  바뀌면서 새로운 근육을 사용하며 교정된다

[평행섬유, Parallel fiber]

- 감각들의 이동경로, 시냅스 중심부에 존재하며  소뇌 피질에서 신호를 교환한다

[조롱박 섬유, Purkinje cell]

- 유일한 출력장치, 운동신경을 통해 나가는 신호


※ 새로운 패턴의 움직임을
                 소뇌에서 학습하는 과정 연결.

-> 기존의 무의식적 움직임은 이끼섬유를 타고    올라오다 새로운 패턴이나 자극, 움직임을 
    포착시 오름섬유가 자극되며 감각 연결로가    바뀐다(+ 오차수정시) 바뀐 감각로에서
    평행섬유를 타고 가서 유일한 출력장치인   조롱박 섬유에 도달하게 되면 운동신경을 
    통해 신호가 전달 된다 이는 척수를 따라     신호가 전달하게 된다


[척수의 구조]

- '알고있다' 와 '이해했다' 의 차이를 알것

- 뒷 뿌리(= 뒷 뿔)- 감각신경    + 감각신경 절(= 뭉탱이)  
  = 종합하는 역할을 하며 '신경세포' 와    '핵' 이 있다

- 앞 뿌리(= 앞 뿔)- 운동신경

- 뒤에서 앞으로 나간다   = '감각신경'타고 들어와서 '운동신경'을 타고     나간다

- 몸의 감각은 '척수' 에서 '뇌' 로 이동한다

    = 반사적인 움직임을  통제할 수 있어야 한다

- '감각신경' 과 '운동신경' 사이에 '사이신경'이   있으며 반사적인 움직임을 만들어 낸다

- 무거운 움직임시 잘못된 자세는 '척수반사' 의  문제이다 이는 대뇌에 의해 수정이 가능하다

       -> 무엇을 통제하여야 하는가?




  1. [공덕동헬스 교정운동] 중둔근

    [공덕동헬스 교정운동] 중둔근 중둔근 전섬유+소둔근 전섬유 -앉아있으면 타이트해진다. -대퇴골의 내회전 -외회전과 배측굴곡을 한상태에서 든다면 대퇴근막장근이 가장 타이트 *배측굴곡-전경골근과 대퇴근막장근 링크 걸기 후섬유+대둔근 -골반에 안정성에...
    Date2019.02.16 Byflexmun Views1145
    Read More
  2. [공덕동피티 교정운동]요방형근

    요방형근 심부외측선 장경인대가 타이트해지면 오른쪽 중둔근 오른쪽 치우침 오른쪽 외복사근이 운동을 해야하는데 외복사근이 약하면 요방형근이 대신 일을 하면서 요통을 유발
    Date2019.02.16 Byflexmun Views932
    Read More
  3. [염리동헬스 교정운동] 장경인대 트리거포인트와 풀기

    장경인대 트리거포인트 풀기 무릎을 굴곡해서 서서 좌우로 움직여 굴곡이 적은 쪽은 찾는다 엎드려서 트리거포인트를 찾아서 옆으로 누워서 트위스트를 압박 위쪽은 다리를 들어 올리고 무릎쪽은 굴곡과 신전 반복 대퇴근막장근 긴장도가 높아지면 전대퇴부가...
    Date2019.02.16 Byflexmun Views975
    Read More
  4. [염리동피티 교정운동] 외측선

    [염리동피티 교정운동] 외측선 외측선존재이유 -한쪽다리로 체중을 지탱하고 서있기 위해서 걷거나 뛸때 외측선중 장경인대와 외전근이 중요 한발로 설때 골반중립-한발로서면 중둔근 전방경사-대퇴근막장근 소둔근 후방경사-대둔근 장경인대 대퇴골이 빠지지 ...
    Date2019.02.16 Byflexmun Views796
    Read More
  5. [마포헬스 교정운동] 테이핑 아킬레스 건염

    발바닥 중앙에 고정 50%신축으로 아킬레스건까지 올려부착 통증부위를 지나서 고정 다른부위가 있다면 추가적으로 테이핑 마무리는 신축없이 5cm부착 장력에 활용 25% 팔꿈치나 어깨처럼 활동력이 많은부위 50% 장력 발목이나 무릎 80% 움직임 고정 테이핑간 ...
    Date2019.02.10 Byflexmun Views685
    Read More
  6. [마포피티 교정운동] 테이핑 종아리 통증

    신축성없이 아킬래스건위에서 종아리 안쪽으로 주행 25%장력으로 V자 모양으로 부착한다. 마무리는 신축없이 5cm부착 장력에 활용 25% 팔꿈치나 어깨처럼 활동력이 많은부위 50% 장력 발목이나 무릎 80% 움직임 고정 테이핑간 주의사항 1.활동 시작하기 한시...
    Date2019.02.10 Byflexmun Views1008
    Read More
  7. [아현동헬스 교정운동] 테이핑 외부 무릎통증

    80%신축성으로 중앙을 통증부위를 십자로 덮어서 고정 신축성없이 십자하단사이에 고정 25%신축성으로 장경인대쪽으로 주행 마무리는 신축없이 5cm부착 장력에 활용 25% 팔꿈치나 어깨처럼 활동력이 많은부위 50% 장력 발목이나 무릎 80% 움직임 고정 테이핑...
    Date2019.02.10 Byflexmun Views544
    Read More
  8. [아현동피티 교정운동] 테이핑 족저근막염

    발바닥에 늘림없이 한장 고정 발꿈치 부분 50%정도 장력으로 부탁 발목으로부터 10센티정도 위에서 늘림없이 고정 80%장력으로 발꿈치 끝에서 반대편으로 감싸 부착 80%장력으로 발꿈치 반대편으로 감싸부탁 마무리는 신축없이 5cm부착 장력에 활용 25% 팔꿈...
    Date2019.02.10 Byflexmun Views553
    Read More
  9. [애오개헬스 교정운동] 테이핑 정강이 통증

    정강이통증 신축성없이 정강뼈에 고정 50%신축성으로 통증부위를 덮어 정강이에 테이프를 부착 80%신축성으로 통증부위 위아래로 부착 마무리는 신축없이 5cm부착 장력에 활용 25% 팔꿈치나 어깨처럼 활동력이 많은부위 50% 장력 발목이나 무릎 80% 움직임 고...
    Date2019.02.10 Byflexmun Views1181
    Read More
  10. [애오개피티 교정운동] 테이핑 목&어깨 통증

    목과 어깨 상체를 약간 숙인후 척추방향으로 고정 25%신축성으로 목까지 테이핑 척추 반대편에 고정 25%신축성을 목까지 테이핑 마무리는 신축없이 5cm부착 장력에 활용 25% 팔꿈치나 어깨처럼 활동력이 많은부위 50% 장력 발목이나 무릎 80% 움직임 고정 테...
    Date2019.02.10 Byflexmun Views75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 52 Next
/ 52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