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운동정보

조회 수 58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a.jpg

과체중 아동은 성인이 돼 당뇨병이 생길 확률이 높다. 하지만 13살까지 체중을 감소하면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당뇨병 발생 위험이 크게 낮아졌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덴마크 코펜하겐 대학교 연구팀은 ​유럽 연합(EU)의 지원을 받아 덴마크 남성 6만2565명을 추적 연구했다. 연구팀은 대상자들의 키와 몸무게를 7세와 13세, 그리고 17~26세 사이에 측정했다. 그리고 30~60세에 제2 당뇨병이 유발했는지에 조사했다. 이때 연구팀은 과체중이 당뇨병과 연관됐으며 나이가 들수록 그 연관성이 더 커지는 것으로 보았다.

자료들을 분석한 결과, 7살에 과체중이었으나 13세에 과체중을 극복한 남성은 30~60세에 당뇨병 진단받을 확률이 평생 과체중이 아니었던 사람과 비슷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3세까지 과체중이었던 아이가 성인 초기(사춘기 이후)가 될 때까지 체중감량에 성공했다면, 정상 체중을 유지한 사람에 비해 당뇨병이 발생할 확률은 47% 높았다. 다만 연구팀은 계속해서 과체중이라면, 일생동안 정상 체중이었던 사람에 비해 당뇨병 발생 확률은 4배 이상으로 치솟았다고 밝혔다. 7살에 날씬했지만 성인 초기에 도달했을 때 체중이 늘었다면, 당뇨병 발생률이 상승한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연구팀은 “청소년기의 과체중이 특히 건강에 악영향을 미친다”며 “생리적 특성이 변하는 청소년기에 인슐린 저항성이 더 커지는 만큼, 사춘기 이전 비만 발생을 낮춘다면 미래 당뇨 유발을 예방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는 “뉴잉글랜드 저널 오브 메디슨지(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에 최근 게재됐다.

 

 

 


출처 :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4/06/2018040601383.html

 

 

8세 미만의 비만일지라도 간 기능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미국 컬림비아대학교 연구팀은 635명의 아이를 대상으로 ALT 수치(간세포 내에 많이 함유된 효소로 지방간 등과 같이 간 질환이 발생하면 간이 손상되어 수치가 증가함)와 비만의 관계에 대해 추적연구를 진행했다. 연구팀은 평균 나이 3.2세를 아동기 초기라고 설정한 후 체중, 신장, 피부 두께, 허리둘레 및 엉덩이둘레를 측정했다. 그리고 약 4년 후인 평균 7.7세를 아동기 중기라고 보고 위의 지표들을 다시 한번 측정했다. 혈액 채취도 병행됐는데, 이를 통해 ALT 수치를 분석하고자 했다.

이 자료들을 분석한 결과, 아동기 중기에 도달했을 때 23%의 아동에게서 ALT 수치 상승이 관찰됐다. 하지만 아동기 초기에 비만이었거나 중기로 넘어오면 체중이 과도하게 증가해 비만이 된 경우, 허리둘레가 10cm 늘어날 때마다 ALT 수치가 상승할 확률은 2배 가까이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아동기 중기에 비만인 경우 35%에서 ALT 수치 상승이 관찰됐지만, 정상 체중일 경우 확률은 20%로 낮아졌다.

연구팀은 “최근 아동 비만이 증가함에 따라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앓는 어린이가 늘어나고 있다”며 “비만은 당뇨나 대사성 질환의 주요 원인이지만 심각한 간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을 부모들이 인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비만에서 벗어나는 것이 어린 시절부터 지방간과 같은 간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소아과학 저널(Journal of Pediatrics)'에 최근 게재됐다.

 

 

 


출처 :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4/05/2018040501236.html

  1. notice

    문관장 유투브 채널 바로가기

    유투브 채널 주소 https://www.youtube.com/channel/UCGuN1dYX5SGNCeT3RxhLYlw
    Date2021.10.07 Byflexmun Views3973
    read more
  2. 왜 다이어트는 항상 실패할까?

    바야흐로 다이어트의 계절이다. 겨우내 추위에 웅크려 있던 심신의 기를 펴고 싶어, 또 여름철 피서지에서 날씬한 몸매를 자랑하고 싶어서 3월부터 100일간 고행에 들어가는 이가 많다. 건강 관리나 취업을 위해 살을 빼려는 사람도 항상 많다. 다이어트 산업...
    Date2018.04.18 Byflexmun Views402
    Read More
  3. 과학자도 인정한 뱃살 빼는 법 5

    복부 비만은 보기에도 흉할 뿐 아니라 질병의 원인이 된다. 지금도 뱃살을 움켜쥐며 한숨짓는 사람이 있을 것이다. 복부 비만은 우리나라의 경우 남자는 허리둘레 90㎝ 이상, 여자는 85㎝ 이상을 말한다. 복부 비만은 내장 지방이 쌓이면서 생기는데 과식, 운...
    Date2018.04.08 Byflexmun Views525
    Read More
  4. 일자목·거북목 예방, 교정하는 초간단 스트레칭

    스마트폰과 컴퓨터를 활용한 업무 등이 활발해지고, 보급이 확산되면서 가장 고통받는 신체 부위는 바로 '목'이다. 목을 쭉 뺀채로 스마트폰을 보거나, 컴퓨터 모니터를 보는 습관은 목의 정상적인 C자 커브를 변형시킨다. 이로 인해 거북목이 되거나...
    Date2018.04.08 Byflexmun Views702
    Read More
  5. 무릎 관절염과 자가 진단법

    나이가 들면서 안쪽 무릎 연골이 찢어지고 뼈가 닿게 되면서 퇴행성 관절염(사진1)이 생긴다. 퇴행성 관절염을 앓는 여성 환자 대부분은 다리가 0(오)다리로 휘게 된다. 오다리로 휜 관절은 무릎 안쪽에 힘이 많이 가해지면서 안쪽 관절염이 진행속도가 더 빨...
    Date2018.04.08 Byflexmun Views484
    Read More
  6. 무릎 수술 후 재활 운동

    무릎 인공관절 수술을 하고 나면 수술 직후부터 무릎을 구부리고 펴는 운동 치료를 곧바로 시작해야 한다. 무릎을 자동으로 구부리고 펴주는 기계에 다리를 넣고 치료를 받을 수도 있고 물리치료사가 무릎을 꺾어주는 치료를 하기도 한다. 일주일 정도 지난 ...
    Date2018.04.08 Byflexmun Views1080
    Read More
  7. 비만 아동 13세까지 살을 빼야한다.

    과체중 아동은 성인이 돼 당뇨병이 생길 확률이 높다. 하지만 13살까지 체중을 감소하면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당뇨병 발생 위험이 크게 낮아졌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덴마크 코펜하겐 대학교 연구팀은 ​유럽 연합(EU)의 지원을 받아 덴마크 남성 6만2...
    Date2018.04.08 Byflexmun Views588
    Read More
  8. 다이어트 의지력을 탓하지 마라!!!

    살을 못 빼는 것은 의지력이 약한 탓일까? ​​​​​​​ 마른 사람이 살찌기 어려운 것처럼 뚱뚱한 사람도 살빼기 어려운 이유가 있다. 게으르고 의지력이 약한 탓만은 아니라는 것. 다이어트 광고를 보면 살빼기는 무척 쉬운 일 같아 보인다. 하지만 다이어트가 쉬...
    Date2018.04.05 Byflexmun Views401
    Read More
  9. 뱃살빼는데 배스트 운동

    복부에 쌓여 있는 살을 빼면 건강을 확실하게 개선시킬 수 있다. 연구에 따르면, 뱃살은 심장 질환, 당뇨병, 몇 가지 암 위험 증가와 연관성이 있다.​​​​​​​ 영국의 트레이너이자 작가 줄리 버클리는 "뱃살을 뺄 생각으로 복부를 자극하는 크런치 같은 운동만 ...
    Date2018.04.03 Byflexmun Views428
    Read More
  10. 비만이 젊은 암환자를 늘리고 있다.

    50세 이후의 중장년층에서 많이 발생하던 암이 최근 들어 젊은 층에서 증가하는 이유가 비만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미국 케이스 웨스턴 리저브 대학교 연구팀에 따르면 미국에서 많이 발생하는 암 종류 20가지 중에서 9가지 암이 젊은 연령대에서 늘...
    Date2018.03.30 Byflexmun Views335
    Read More
  11. 자세만 바꿔도 기분이 바뀐다.

    혹독한 추위를 지나 포근한 봄이 찾아왔지만, 계속되는 미세먼지와 황사로 실망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이럴 땐 몸의 자세를 바꿔보자. 자세 변화만으로도 긍정적인 기분을 유도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파워 포즈(power posing)는 발을 적당한 너비로 벌...
    Date2018.03.29 Byflexmun Views44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 102 Next
/ 102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