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영양정보

조회 수 64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jpg

일반적으로 ‘짜게 먹는다’는 것과 ‘소금(식염, NaCl, 염화나트륨)을 많이 먹는다’는 말과 동의어로 통용된다. 그리고 흔히 소금이 짠 것은 나트륨이 들어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그런데 염화나트륨 중 짠 맛을 내는 것은 염소이지 나트륨이 아니다. 나트륨은 짜지 않다. 엄밀히 말해서 짜게 먹는 것과 나트륨을 많이 먹는 것은 다르다, 이러한 관점에서 고혈압 환자에게 ‘짜게 먹지 말아라’는 것 보다는 ‘나트륨을 적게 먹어라’가 정확한 표현이다.

 

건강을 위해 나트륨을 적게 먹어야 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나트륨을 많이 섭취하면 혈압이 올라가고 몸이 붓기 때문이다. 나트륨은 우리 몸의 삼투압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원소로서 나트륨을 많이 먹으면 혈중 삼투압이 올라가서 그 결과로 부종이 오고 혈액량이 증가하여 혈압이 올라간다. 혈관이 고혈압에 장기간 노출되면 표적장기의 손상이 일어나게 되는데 대표적인 표적장기가 심장과 심뇌혈관, 신장 등이다. 그 결과로 심장의 좌심실이 비대해지고, 울혈성 심부전이 오고, 만성콩팥병 및 뇌졸중 등의 합병증이 발생된다. 나트륨 과다섭취는 그 외 위암, 신장결석, 골다공증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나트륨은 얼마나 먹는 것이 좋은가 ? 나트륨 권장량은 성인 기준 1일 2,000mg이다. 나트륨 권장량과 소금 권장량을 혼동하시는 분이 많은데 나트륨 2,000 mg은 소금으로는 5,000mg(5그람) 정도이다. 나트륨의 원자량이 23, 염소의 원자량은 35이고 이 둘이 합친 소금은 분자량이 58이므로 나트륨 2,000 mg은 2,000 X 58/23 =5,043 계산식에 의하여 약 5,000 mg에 해당되는 것이다. 우리나라 사람의 나트륨과 소금 섭취량은 최근 줄어들기는 하였지만 아직 권장량보다 2배 정도의 많은 양을 섭취한다고 한다. 나트륨 섭취를 줄이기 위한 기본 팁 중 하나가 국물을 먹지 않는 것이다. 국물에는 음식 전체 나트륨의 70% 이상이 들어 있다고 한다.

 

나트륨 섭취를 줄이기 위하여 ‘저염소금’을 먹는 것은 어떠한가 ? 저염소금을 정확히 표현하면 ‘저나트륨 소금이라고 하는 것이 맞다. 저염소금에는 염화나트륨이 57% 미만으로 적고 나머지는 염화칼륨으로 대체되어 있다. 저염소금의 칼륨은 나트륨의 배설을 돕기 때문에 과도한 나트륨 섭취로 인한 고혈압과 부종 해소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단 만성콩팥병 환자에서는 칼륨 섭취로 인한 고칼륨혈증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주의를 요한다.

 

만성콩팥병 환자는 일반인보다 나트륨 섭취에 더 조심하여야 한다. 특히 만성콩팥병 환자는 콩팥병의 단계가 진행될수록 과다한 나트륨 섭취로 인한 부종이 더 심하게 나타난다. 폐부종으로 인한 호흡곤란도 흔할 수 있다. 또한 나트륨 과다 섭취로 인한 고혈압의 발생이 더 흔하고 혈압 상승 정도도 더 높을 수 있다. 이러한 혈압의 상승은 그나마 조금 남아 있던 콩팥 기능의 감소를 가속화 시킬 뿐 아니라 심장과 심뇌혈관 합병증을 악화시킨다.

 

원문보기

http://kormedi.com/1302669/%eb%82%98%ed%8a%b8%eb%a5%a8-%eb%a7%8e%ec%9d%b4-%eb%a8%b9%eb%8a%94-%ea%b2%83%ea%b3%bc-%ec%a7%9c%ea%b2%8c-%eb%a8%b9%eb%8a%94-%ea%b2%83%ec%9d%80-%ea%b0%99%ec%9d%80-%ea%b2%83%ec%9d%b8%ea%b0%80/

 


  1. 근력운동에 좋은 식물성 음식

    근육 형성을 위해 근력운동을 하는 사람의 식단에 꼭 들어가는 것은 닭 가슴살 등 단백질이 풍부한 고기다. 단백질은 근육을 만드는 데 꼭 필요하면서도 가장 좋은 영양소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고기를 전혀 못 먹거나 좋아하지 않으면 어떻게 해야 할까. 고...
    Date2020.03.14 Byflexmun Views477
    Read More
  2. 소금과 나트륨 같은 의미일까?

    일반적으로 ‘짜게 먹는다’는 것과 ‘소금(식염, NaCl, 염화나트륨)을 많이 먹는다’는 말과 동의어로 통용된다. 그리고 흔히 소금이 짠 것은 나트륨이 들어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그런데 염화나트륨 중 짠 맛을 내는 것은 염소이...
    Date2020.03.12 Byflexmun Views647
    Read More
  3. 땀 흘린후에 물을 보충하는 것과 소금을 보충하는 것중에 뭐가 좋을까?

    땀을 많이 흘린 후 물을 먹어야 하나, 소금을 먹어야 하나 ? 이런 질문을 던지면 답은 물이라는 답이 반, 소금이라는 답이 반으로 갈린다. 무엇이 맞을까? 우선 땀의 정체를 알아야 한다. 일반 성인은 평상시 하루에 약 600~800 mL 정도의 땀을 흘린다. 운동 ...
    Date2020.03.11 Byflexmun Views701
    Read More
  4. 사골국물 과연 뼈에 좋을까?

    따끈따끈한 설렁탕이나 우거지탕이 생각나는 계절이다. 어느 곰탕집에서는 ‘48시간 푹 고아낸 곰탕’이라는 문구와 함께 창에는 가마솥에 사골이 펄펄 끓고 있는 모습이 비친다. 인터넷에 들어가 보면 사골을 푹 고아낸 국물이 단백질, 콜라겐, 콘...
    Date2020.03.11 Byflexmun Views734
    Read More
  5. 건강검진표 보는 방법

    올해 국가건강검진 대상은 만 20세 이상 짝수년도 출생자다. 건강검진 결과는 현재 자신의 건강 상태를 체크할 수 있는 중요한 실마리라는 점에서 꼭 받아야 한다. 그런데 검진표에 적힌 의학 용어들로 내용을 이해하기 쉽지가 않다. 강동경희대병원 건강검진...
    Date2020.03.06 Byflexmun Views772
    Read More
  6. 잠을 못자면 살이 찐다.

    잠을 충분히 자지 않으면 체중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피츠버그대학교 수면의학센터와 노퍽종합병원 수면장애센터 공동 연구팀에 따르면, 수면 부족이 몸무게 증가와 밀접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고 ‘헬스데이’가 보도했다. ...
    Date2020.03.05 Byflexmun Views458
    Read More
  7. 3월 제철음식 먹고 면역력을 기르자

    ‘계절의 여왕’ 봄이 시작되는 3월이지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해 봄의 도래를 느낄 여유조차 없는 상황이다. 신체는 봄이 되면 신진대사가 활발해지면서 각종 영양분을 많이 필요로 하게 된다. 비타민이나 무기질은 평소...
    Date2020.03.03 Byflexmun Views505
    Read More
  8. 코로나 마스크 재사용해도 된다.

    의학전문기자 홍혜걸 박사가 “마스크는 며칠씩 써도 된다”는 견해를 재차 밝혔다. 홍 박사는 그의 유튜브 채널 ‘의학채널 비온뒤’를 통해 이 같은 의견을 전했다. 지금 같은 비상 상황에서는 고육지책으로 마스크 재사용을 해도 된다...
    Date2020.03.01 Byflexmun Views476
    Read More
  9. 늦게 자는 아이 비만이 될 확률이 높다.

    늦은 시간까지 잠자리에 들지 않는 아이는 비만에 이르기 쉽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아이가 밤늦게까지 자지 않고 깨어있으면 어른들은 “늦게 자면 키 안 커”라며 아이를 나무란다. 그런데 늦게 자는 습관은 키뿐 아니라 체중과도 연관을 보인다...
    Date2020.02.26 Byflexmun Views652
    Read More
  10. 햄버거가 정자수를 감소시킨다.

    미국 하버드 대학교 T.H. 챈 보건대학원 등 연구진은 덴마크 남성 3,000명의 식습관과 정자의 수의 관계를 분석했다. 피자, 튀김, 단 음식을 선호하는 남성은 과일, 채소, 생선을 즐기는 남성보다 정자 수가 25%나 적었다. 연구에 따르면 ‘서구식 식단&...
    Date2020.02.24 Byflexmun Views50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 123 Next
/ 123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