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영양정보

조회 수 29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jpg

 

‘신체의 엔진’으로 불리는 심장은 보통 자기 주먹보다 약간 크고, 근육으로 이루어진 장기다. 주된 역할은 산소와 영양분을 싣고 있는 혈액을 온몸에 흐르게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분에 60~80회 정도 심장 근육이 수축한다.

이런 심장은 봄에 취약하다. 급격한 온도 변화에 몸이 적응하면서 부담이 가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다양한 심혈관질환 중 돌연사의 주범으로 불리고 있는 부정맥이 우리의 생명을 위협할 수 있다.

◇이유 없는 두근거림, 부정맥 의심해봐야

심장은 2개의 심방과 2개의 심실로 구성되어 있다. 정상 맥박인 경우, 심방과 심실이 규칙적으로 뛴다. 성인 기준, 1분당 60~80회다. 한순간도 쉬지 않는 심장이지만 평소 우리는 심장 박동을 의식하지 못한다.

단, 정상을 벗어나 평소보다 빠르거나 느리게 뛰면 이상함을 느낄 수 있다. 심장 박동의 불규칙함, 바로 부정맥이다. 원인은 유전, 노화, 스트레스, 과음 등 다양하다.

경희대병원 심장혈관센터 김진배 교수는 “직장 상사에게 혼날 때, 마음에 드는 이성과 소개팅을 할 때, 격한 운동을 할 때처럼 특수적인 상황 이외 아무 이유 없이 평소와 다른 두근거림이 느껴진다면 부정맥을 의심해볼 필요가 있다”며 “선천성 심장기형 이외에도 현대인의 고질병인 스트레스로 인한 발병률이 높아지고 있으며 20~30대 젊은 환자 중 5% 정도가 부정맥으로 진단받고 있다”고 말했다.

증상을 방치하면 졸도와 심장마비로 이어질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다행스러운 건, 초기에 진단하면 쉽게 치료할 수 있다는 점이다.

 

◇빠르게 뛰는 빈맥을 더욱 주의해야

부정맥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다. 정상인에게도 흔히 관찰되는 심방조기수축, 심실조기수축 등 위험하지 않은 부정맥이 있는 반면, 뇌졸중의 위험성을 크게 높이는 심방세동, 급사를 일으키는 심실세동도 있다.

경희대병원 심장혈관센터 이정명 교수는 “대부분의 환자는 본인이 부정맥을 앓고 있음을 인식하고 있지만 어떠한 종류의 부정맥인지 정확히 알지 못하고 있다”며 “부정맥의 종류에 따라 나타나는 양상과 치료법 등이 상이하기 때문에 반드시 전문 의료진에게 자세히 물어보고 확실히 알고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부정맥 중 가장 흔한 유형은 심방세동으로 심장 박동이 비정상적으로 빠른 빈맥에 해당한다. 환자의 약 30%는 가슴 두근거림, 어지럼증 등 특별한 증상을 느끼지 못해 진단에 어려움이 있다.

진단에는 24시간 심전도 모니터링 검사와 정기적인 검사가 최우선이다. 진단 후에는 약물치료를 우선 시행하고 필요 시 전극도자 절제술로 치료를 진행한다. 반면, 맥박이 느려 숨이 차거나 실신하는 경우에는 심장 박동기를 삽입하면 증세가 개선될 수 있다.

김진배 교수는 “심실빈맥으로 급성 심정지를 경험했거나 심부전에 대한 약물치료를 3개월 이상 했음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개선되지 않는 환자는 1, 2차 예방을 위해 제세동기 삽입을 권장한다”며 “부정맥으로 인한 심장마비 발생 시 최대한 빠른 시간 내의 제세동이 필요하며 지체될 경우 뇌손상 유발로 장애 후유증 혹은 의식불명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급사의 고 위험 군에게 제세동기 삽입은 필수”라고 강조했다.

 

◇부정맥 예방법

제세동기는 심장에 전기적 충격을 전달해 정상적인 리듬(심장박동)으로 되찾아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현재 상용되고 있는 제세동기는 왼쪽 쇄골에서 가까운 어깨 부위에 삽입한다. 정맥, 즉 혈관을 통해 전극선을 심장 안쪽에 위치시켜 전기충격을 심장에 전달한다.

이정명 교수는 “정맥을 통해 심장 안으로 전극선을 삽입하는 기존 삽입형 제세동기의 경우, 삽입 부위의 피부 감염 위험이 있으며 세균이 전극선을 통해 심장으로 유입되면 전신적인 감염증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시술과 관리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나날이 의료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최근에는 심장이나 혈관 내로 삽입하지 않고, 피부 아래에 전극선을 삽입해 앞서 우려되는 합병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신 의료기기 등이 적극 활용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부정맥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서는 외출 시 보온에 각별히 신경 쓰고, 기온이 낮은 새벽시간대의 야외활동은 주의해야 한다. 또한, 과로와 과음, 흡연 등은 삼가고 심장박동을 급격히 높이는 흥분 상태나 과도한 신체활동은 피해야 한다.

원문보기

http://kormedi.com/1314268/%ec%8b%ac%ec%9e%a5%eb%b4%84%ec%97%90-%ec%95%bd%ed%95%b4%ec%a7%80%eb%8a%94-%ec%9d%b4%ec%9c%a0%ec%99%80-%eb%8c%80%ec%b2%98%eb%b2%95/

 


  1. 녹차가 음식물에 대한 알러지를 줄여준다.

    녹차를 꾸준히 마시면 음식물 알레르기를 완화하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데일리메일’에 따르면, 일본 신슈대학교 연구팀은 녹차에 풍부한 항산화성분이 면역체계를 변화시켜 특별한 음식물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으로부터 보호 작용을...
    Date2020.04.14 Byflexmun Views375
    Read More
  2. 요즘 같은 시기 물은 필수다.

    코로나19 사태로 많은 사람이 '면역력' 강화에 열을 기울이고 있다. 이를 위해 운동하고, 끼니를 잘 챙겨 먹는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는데, '물 섭취'도 잊으면 안 된다. 특히 물은 호흡기점막을 건조하지 않게 하는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Date2020.04.12 Byflexmun Views288
    Read More
  3. 자기전에 단백질 먹어도 지방 분해 방해 안된다.

    다이어트를 할 때 항상 듣는 이야기는 '취침 전 금식'이다. 그런데 최근 발표된 연구 결과에 따르면 고단백 음식의 경우 자기 전에 먹어도 지방 연소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플로리다 주립대 연구팀은 단백질 쉐이크를 마시는 시간에 따라 ...
    Date2020.04.08 Byflexmun Views556
    Read More
  4. 주먹을 쥐어보면 당뇨병을 예측할수 있다.

    악력 측정으로 초기 당뇨병을 예측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오클랜드대 연구팀은 2011~2014년에 미국 국가건강검진에 참여한 성인들의 악력과 건강 상태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체중 대비 악력이 낮은 사람은 당뇨병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
    Date2020.04.08 Byflexmun Views420
    Read More
  5. 오래 걷지도 서있지도 않았는데 발이 붓는 이유

    퉁퉁 부어오른 발은 걷는데 큰 지장을 준다. 대체로 통증도 함께 수반된다. 붓기의 원인은 한 가지로 단정하기 어렵다. 이와 관련해 ‘웹 엠디’가 소개한 발이 붓는 원인 8가지를 알아본다. 1. 부상 발을 헛디디거나 접질리면 인대가 손상을 입거...
    Date2020.04.05 Byflexmun Views575
    Read More
  6. 이유식을 일찍 시작하면 비만확률이 높아진다.

    이유식을 과하게 빨리 시작하면 아이의 비만 위험을 높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존스 홉킨스 블룸버그 공중보건대 연구팀은 67명의 아이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팀은 이들이 이유식을 먹기 시작한 시기를 조사한 후, 3개월 간격으로 대변 ...
    Date2020.04.02 Byflexmun Views293
    Read More
  7. 기억력을 향상시키는 수면법이 있다.

    뇌 기억을 강화할 수 있는 새로운 수면법에 관한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스라엘 텔아비브대와 아이즈만연구소는 30명의 참가자를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했다. 참가자들은 장미 향기를 맡으며 컴퓨터 화면의 왼쪽 또는 오른쪽에 표시되는 단어의 위치를 기억했...
    Date2020.04.01 Byflexmun Views385
    Read More
  8. 봄에 심장이 왜 약해질까?

    ‘신체의 엔진’으로 불리는 심장은 보통 자기 주먹보다 약간 크고, 근육으로 이루어진 장기다. 주된 역할은 산소와 영양분을 싣고 있는 혈액을 온몸에 흐르게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분에 60~80회 정도 심장 근육이 수축한다. 이런 심장은 봄에 ...
    Date2020.03.29 Byflexmun Views292
    Read More
  9. 불규칙한 수면습관 심혈관질환 생긴다.

    잠드는 시간이 불규칙하면 심혈관계 질환에 걸리기 쉽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건강을 지키려면 하루 7시간 이상을 푹 자야 한다. 수면 부족은 당뇨병, 뇌졸중, 그리고 심혈관계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 그런데 미국 노트르담 대학교 연구진에 따르면, 충...
    Date2020.03.26 Byflexmun Views362
    Read More
  10. 대장암에 좋은 엽산이 풍부한 음식

    대장암은 우리나라 뿐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세 번째로 많이 발생하는 암이며, 서구화된 식습관과 관련이 높은 암이다. 서양에서 이미 대장암 예방에 관한 훌륭한 역학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이를 기반으로 대장암과 관련된 생활습관에 대해 알아본다...
    Date2020.03.26 Byflexmun Views45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 119 Next
/ 119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