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영양정보

조회 수 43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jpg

날은 점점 더워지는데, 마스크 착용은 여전히 필요한 상황. 숨쉬기 상대적으로 편한 외과용 마스크를 착용해도 될까?

최근 국내 연구진에 의해 외과용 마스크 역시 비말 차단 효과가 있다는 점이 확인됐다.

서울아산병원 진단검사의학과 김미나 교수는 마스크 선택 시 고려해야 할 요소를 △비말이 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유효성) △호흡 등에 문제가 없는 편안한 착용감(안전성) 두 가지로 보았다. 그리고 외과용 마스크가 이러한 점에서 적합하다는 내용의 권고안을 최근 대한의학회지(JKMS)에 소개했다.

김미나 교수는 외과용(덴탈) 마스크, 면 마스크, 공기정화필터 장착 마스크(KF80, KF94, N95)를 대상으로 비말 차단효과와 착용감, 재질, 착용 목적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 공중 마스크로써의 적합성을 판단했다.

그 결과 통풍이 잘 되는 외과용 마스크는 호흡곤란 등의 문제 발생 우려가 적어 장시간 안전하게 사용 가능하다는 점을 확인했다. 또한, 마스크 속감에 들어 있는 필터와 방수 처리된 겉면이 마스크 밖으로 비말이 빠져나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한다는 점을 발견했다.

일반인의 마스크 착용 목적이 비말 접촉을 막는데 있다는 점에서 외과용 마스크의 유효성과 안전성의 균형을 확인한 것이다.

본래 외과용 마스크는 수술하는 의료진이 말을 하거나 기침할 때 무균 상태의 수술대 위로 비말이 튀는 걸 막기 위해 착용한다. 이러한 감염예방 효과는 오랜 기간 의료현장에서 입증돼 왔으며, 호흡기증상이 있는 감염 환자에게도 비말전파 방지용으로 쓰이고 있다.

KF94·N95마스크 등의 공기정화필터(해파필터)가 있는 고성능 마스크는 미세입자의 유입을 차단한다. 주로 황사나 감염성 에어졸과 같이 유해한 성분이 코와 입으로 들어오는 걸 막는다. 안면부와 마스크 접촉면이 완전히 밀착되므로 착용자는 필터를 통해 호흡한다. 밀착도를 잘 유지하면 착용자의 비말을 포획하는 기능이 뛰어나다.

하지만 해파필터가 습기에 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KF94마스크 안쪽에 침방울 크기로 파란색 염료를 세 군데 떨어뜨린 결과, 순식간에 해파필터가 젖어 마스크 겉면에서도 염료가 비쳐 보였다. 반면 외과용 마스크는 바깥 표면에 염료가 비치지 않고 건조한 상태를 유지했다.

호흡기증상이 있는 사람이 KF94마스크를 쓰면, 침방울에 마스크가 젖어 필터기능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는 것. 필터로 호흡하는데, 필터가 망가지면 호흡곤란이 발생할 수 있다. 질식을 피하려면 마스크의 밀착을 깨뜨려야 하는데, 그러면 비말 차단효과의 기대치가 낮아진다. 호흡기 질환자와 함께 임산부, 어린이, 노약자 등은 호흡곤란에 특히 더 주의가 필요하다. 세계보건기구도 의료진이 N95마스크 한 개를 4시간 이상 착용하지 않도록 권장하고 있다.

면 마스크도 착용자의 비말이 타인에게 전파되는 걸 막지만, 효과는 외과용 마스크의 3분의 1에 그친다. 다만 마스크를 쓰는 목적 중 하나인 오염된 손으로 코와 입 만지기를 피할 수 있어 안 쓰는 것보다는 낫다. 위생 면에서도 하루 종일 황사마스크 한 개를 반복해 쓰는 것보다 세탁 가능한 면 마스크를 여러 개 휴대해 교체해가며 쓰는 것이 낫다.

김미나 교수는 “많은 사람들이 외과용 마스크보다 KF80·KF94마스크와 같은 황사마스크가 감염병 예방에 더 효과적이라고 생각한다”며 “하지만 고효율 마스크에만 의존하면 ‘가짜 안전감’이 생겨, 정작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병 예방에 훨씬 도움 되는 손 씻기와 사회적 거리두기를 소홀히 할 우려가 생긴다”고 말했다.

이어 “나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먼저 손위생과 거리두기부터 철저히 지켜야 한다”며 “마스크 착용은 타인을 위한 배려다. 의료진이 아닌 일반인과 호흡기 기능이 떨어진 유증상자는 호흡이 편하고 비말 차단 효과도 있는 외과용 마스크 착용을 권장한다”고 말했다.

 

http://kormedi.com/1317636/kf94-%eb%a7%88%ec%8a%a4%ed%81%ac-%ec%a0%96%ec%9c%bc%eb%a9%b4-%ed%98%b8%ed%9d%a1-%eb%b0%a9%ed%95%b4-%ec%99%b8%ea%b3%bc%ec%9a%a9-%eb%a7%88%ec%8a%a4%ed%81%ac%eb%8f%84-ok/

 


  1. 여성도 근력운동이 중요한 이유

    대부분의 여성들은 다이어트 등을 할 때 유산소운동에만 전념을 한다. 걷고, 뛰고, 달리는 등의 유산소운동을 하면 심장박동 수가 올라가고 더 많은 열량을 소모시킬 수 있다. 하지만 근력운동은 거의 거들떠보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 대부분의 피트니스 전문...
    Date2020.05.31 Byflexmun Views372
    Read More
  2. 스트레스에 좋은 음식

    스트레스 받는다고 과자 봉지를 뜯는 건 좋은 버릇이 아니다. 치킨 같은 튀김 종류를 먹는 것도 마찬가지. 순간적인 쾌락이 지나가고 나면 기분은 먹기 전보다 더 엉망이 되기 마련이다. 그럼 어떤 게 도움이 될까? 미국 ‘헬스닷컴’이 스트레스를...
    Date2020.05.29 Byflexmun Views346
    Read More
  3. 일반보건마스크도 코로나예방에 효과 있다.

    날은 점점 더워지는데, 마스크 착용은 여전히 필요한 상황. 숨쉬기 상대적으로 편한 외과용 마스크를 착용해도 될까? 최근 국내 연구진에 의해 외과용 마스크 역시 비말 차단 효과가 있다는 점이 확인됐다. 서울아산병원 진단검사의학과 김미나 교수는 마스크...
    Date2020.05.27 Byflexmun Views432
    Read More
  4. 나잇살은 의학적인 현상이다.

    '나잇살'은 의학적인 현상이다. 나이가 들수록 살이 잘 찌는 체질이 된다. 나잇살이라고 하면 불룩하게 나온 배를 떠올리기 마련이다. 복부비만은 단순히 복부 자체에 지방이 쌓인 피하지방만 있는 게 아니다. 뱃속 장기 사이사이에 쌓인 내장지방도 ...
    Date2020.05.26 Byflexmun Views339
    Read More
  5. 포화지방이 위와 두뇌에도 나쁜 영향을 미친다.

    패스트 푸드처럼 포화 지방이 많이 든 음식은 혈관, 위장은 물론 두뇌에도 나쁜 영향을 미친다. 뜻밖의 악영향이 또 있다.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학교 연구진에 따르면 포화 지방이 많이 든 음식을 단 한 번만 먹어도 집중력 등 인지 능력이 떨어진다. 연구진...
    Date2020.05.22 Byflexmun Views404
    Read More
  6. 몸속 염증 관리를 위한 음식 선택

    만성 염증은 몸속 이곳저곳을 돌며 질병을 일으킨다. 염증이 발생하는 덴 식습관이 큰 영향을 미친다. 건강한 식사로 몸속을 깨끗하게 청소해야 살이 찌는 것도 막고, 질병이 발생하는 것도 예방할 수 있다. 그렇다면 어떤 음식은 먹고, 어떤 음식은 먹지 않...
    Date2020.05.20 Byflexmun Views387
    Read More
  7. 컬러푸드 색깔별 효능

    빨강, 주황, 노랑, 초록 등 다양한 색깔을 띠는 과일, 채소는 아름다운 색만큼 풍부한 영양소를 갖고 있다. 이른바 컬러푸드의 힘이다. 컬러푸드에는 종류만 약 2500개인 식물영양소 파이토뉴트리언트가 가득 들어 있다. 강력한 항산화 작용 덕분에 탄수화물,...
    Date2020.05.19 Byflexmun Views405
    Read More
  8. 정크푸드 염증성 장질환을 일으킨다.

    전형적인 정크푸드로 분류되는 음식을 즐겨먹는 사람일수록 염증성 장질환이 생길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됐다. 정크푸드는 영양가는 낮고 열량은 높은 인스턴트식품들을 말한다. 건강한 식사를 하는 사람들도 간혹 정크푸드를 먹는다. 전반적으로 ...
    Date2020.05.14 Byflexmun Views367
    Read More
  9. 다이어트 종류보다 질이 중요하다.

    다이어트의 종류보다는 다이어트의 질을 고려할 때 조기 사망률이 낮아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다이어트를 할 때 ‘저탄수화물 다이어트’를 할지, ‘저지방 다이어트’를 할지 고민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런데 최신 연구에 의하면 다...
    Date2020.05.13 Byflexmun Views298
    Read More
  10. TV한시간 보면 심장병 7% 상승

    코로나 사태로 아직도 많은 사람이 '집콕' 생활을 하고 있다. 하지만 실내에 있더라도 최대한 많이 움직이고 운동하는 게 건강에 좋다. 강동경희대병원 심장혈관내과 황희정 교수는 "실내에 주로 있어 활동이 줄어들면 동맥경화 같은 혈관질환 위험이...
    Date2020.05.08 Byflexmun Views38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 119 Next
/ 119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