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운동정보

조회 수 64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jpg

걷기로 운동 효과를 보려면 땀이 날 정도로 속보를 해야 한다는 게 지금까지 건강 상식이었다.

그런 속설을 깨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걸을 때 중요한 건 속도가 아니라 양이라는 것.

미국 국립 암 연구소, 테네시 대학교 등 연구진은 40세 이상 미국인 4,840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사망률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분당 몇 걸음을 걷느냐가 아니라 하루 동안 다해서 몇 걸음을 걷느냐라는 사실을 확인했다.

2003~2006년에 걸친 실험에서 참가자들은 일주일 동안 분당 걸음수를 포함해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는 기기를 착용하고 생활했다. 연구진은 평균 나이 57세의 참가자들을 10년에 걸쳐 추적 관찰했다. 그리고 2015년 12월, 사망자 수를 확인했다.

그 결과 하루 8,000 보를 걷는 이들은 하루 4,000 보를 걷는 이들에 비해 사망할 확률이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암, 심장병 등 모든 원인을 따져도 마찬가지였다.

하지만 속도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하루 8,000 보 정도를 걷는 사람들 중 분당 걸음수가 많은 사람들, 즉 빨리 걷는 사람들이라고 해서 사망률이 더 낮아지지는 않았던 것.

연구진은 “중요한 건 스피드가 아니라 충분한 거리를 걷는 것”이라면서 “건강을 생각한다면 느리더라도 매일 꾸준히 걸으라”고 조언했다.

이번 연구 결과(Association of Daily Step Count and Step Intensity With Mortality Among US Adults)는 ‘미국의사협회지(JAMA)’가 싣고, ‘하버드 헬스 퍼블리싱’ 등이 보도했다.

원문보기

http://kormedi.com/1320169/%ea%b1%b7%ea%b8%b0-%ec%a7%88%eb%b3%b4%eb%8b%a4-%ec%96%91%ec%9d%b4-%ec%a4%91%ec%9a%94%ec%97%b0%ea%b5%ac/

 


  1. notice

    문관장 유투브 채널 바로가기

    유투브 채널 주소 https://www.youtube.com/channel/UCGuN1dYX5SGNCeT3RxhLYlw
    Date2021.10.07 Byflexmun Views6318
    read more
  2. 운동에 잘못된 상식

    건강과 체중 조절을 위해 운동을 하다보면 잘못된 정보를 알려주는 사람들이 있다. “운동하면서 탄수화물 섭취를 줄이면 날씬해 질 거야”, “근력운동을 너무 하면 몸이 남자처럼 된데…”라는 것들이다. 운동을 제대로 해서 여...
    Date2020.07.26 Byflexmun Views541
    Read More
  3. 운동 3종목 가장 좋다.

    세계보건기구(WHO)는 건강을 위해 적어도 일주일에 150분은 운동을 하라고 권한다. 하지만 ‘권장량’을 채우기란 쉽지 않다. 그런데 시간 대신 다양성에 착목한다면 좀 더 쉽게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운동 종목을 세 가지 ...
    Date2020.07.22 Byflexmun Views658
    Read More
  4. 건강하게 장수하기 위해서 걷기와 근력운동이 중요하다.

    코로나19로 인해 집에서 머무는 시간이 많다보니 운동부족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헬스장 출입을 자제하며 본격적인 운동을 쉬는 사람이 많다. 코로나19를 조심하다 비만 등 다른 병을 앓을 수도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운동은 선택이 아닌 필수다. ...
    Date2020.07.14 Byflexmun Views601
    Read More
  5. 걷기는 질보다 양이 중요하다.

    걷기로 운동 효과를 보려면 땀이 날 정도로 속보를 해야 한다는 게 지금까지 건강 상식이었다. 그런 속설을 깨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걸을 때 중요한 건 속도가 아니라 양이라는 것. 미국 국립 암 연구소, 테네시 대학교 등 연구진은 40세 이상 미국인 4,840...
    Date2020.07.10 Byflexmun Views640
    Read More
  6. 운동으로 살을 빼면 인지능력이 다시 좋아진다.

    여러 연구에 따르면, 살이 쪄서 비만한 상태가 되거나 당뇨병에 걸리면 인지능력이 저하된다. 그런데 운동을 해서 비만을 개선하면 나빠졌던 인지능력이 다시 좋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미국 조지아대학교 연구팀이 인간과 동물을 상대로 한 연구 결과...
    Date2020.07.03 Byflexmun Views458
    Read More
  7. 허벅지가 건강에 근원이다.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면서 운동부족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사람들이 모이는 헬스장 출입을 꺼리고 동네 걷기도 소홀히 하면 운동부족이 되기 쉽다. 별다른 운동을 하지 않고 집에만 있다 보면 근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특히 자연적으로 근육이 감...
    Date2020.07.02 Byflexmun Views590
    Read More
  8. 근육유지가 중요한 이유

    코로나19로 인해 집에서 있는 시간이 늘면서 몸의 근력이 예전 같지 않다는 사람이 있다. 활동량이 감소한데다 헬스클럽 출입을 자제하면서 근력운동 시간이 적어졌기 때문일 것이다. 특히 40대 이후는 자연적으로 근육이 줄어들기 때문에 중년, 노년은 근력 ...
    Date2020.06.30 Byflexmun Views471
    Read More
  9. 운동하면 400만명 조기사망 예방

    운동을 하면 전 세계적으로 매년 거의 400만명의 조기사망을 예방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에든버러대학교와 케임브리지대학교 공동 연구팀은 권장량의 운동을 하고 있는 사람들의 비율이 얼마인지를 보여주는 168개국의 자료를 분석했다. 세계...
    Date2020.06.22 Byflexmun Views587
    Read More
  10. 코로나 기간에 얼마나 자주 운동해야하나?

    코로나19 팬데믹이 이어지는 동안에도 운동은 지속해야 한다. 운동을 하는데 여러 제약이 따르는 상황 속에서 얼마나 해야 하는 걸까? 코로나 바이러스에 노출되기 쉬운 공간 중 하나가 헬스시설인 만큼, 올해는 운동에 소홀해진 사람들이 많다. 헬스시설은 ...
    Date2020.06.18 Byflexmun Views504
    Read More
  11. 안좋은 식습관이 여대생 골밀도를 위협한다.

    밤에는 술 마시고, 점심은 라면, 간식은 과자. 누가 봐도 건강에 나쁜 식생활습관이다. 그런데 국내 여대생에게 이런 ‘문제적 식습관’이 두드러진다는 연구가 나왔다. 가천대 교육학과에서 최근 경기 지역 여대생 326명을 대상으로 식생활습관을 ...
    Date2020.06.09 Byflexmun Views41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 105 Next
/ 105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