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영양정보

조회 수 32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jpg

 

혈당을 조절하고 유지하는 호르몬인 인슐린의 기능 이상으로 고혈당이 되는 당뇨병은 꾸준한 관리가 필요한 만성질환이다. 고혈당은 조직 괴사, 뇌졸중, 심혈관질환 같은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는데, 치료를 받으며 생활습관을 교정하면 비교적 건강하게 살 수 있다.

그렇다면 내가 당뇨병이 있는데도 모르거나, 알더라도 제대로 관리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아차릴 수 있는 증상이 있을까. ‘웹 엠디’ 등의 자료를 토대로 이에 대해 알아본다.

1. 빈번한 감염

우선 감염이 빈번하게 일어나는 것은 당뇨병의 신호일 수 있다. 당뇨병은 대개 면역계를 약화시켜 감염에 취약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감염성 질환에 걸려 치료를 받는데 잘 낫지 않을 때도 한번쯤 의심할 필요가 있다. 보고에 따르면 봉와직염, 요로감염, 질염 등이 흔하게 나타난다고 한다.

2. 다뇨증

소변을 자주 많이 보는 다뇨증이 있다면 역시 당뇨를 고려해보아야 한다. 정상적인 성인은 하루 1~2ℓ의 소변을 보지만 당뇨병 환자는 2~3ℓ나 된다.

신체가 소변으로 과도한 당을 배출하려고 하기 때문이다. 다뇨증이 심하면 탈수와 목마름, 피로와 스트레스 등으로 일상생활에 큰 지장이 생길 수 있으니 조심해야 한다.

3. 이유 없는 체중 감소

음식을 많이 먹는 데 체중이 늘지 않는 것도 당뇨병의 위험 신호일 수 있다. 포도당은 우리 몸의 에너지원인데, 당뇨병인 사람은 포도당을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므로 혈당이 높아도 뇌는 계속 포도당을 공급하라고 명령해 배고픔을 느끼게 된다.

심하면 식욕이 비정상적으로 늘어나는 대식증으로 발전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이유 없이 체중이 감소하는 것도 당뇨병 증상일 수 있다. 과식과 체중 감소 모두 몸이 음식으로부터 얻은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해서 발생하기 때문이다.

4. 손, 발의 따끔거리는 증상

손이나 발이 무감각하거나 따끔거리는 것도 당뇨병일 가능성이 있다. 당뇨병은 신경을 손상시키는데, 이는 대개 손이나 발에 있는 감각 신경에 영향을 미친다.

그래서 주로 손과 발에 따끔거리는 전기적 통증이나 불타는 것 같은 신경통을 느끼는 것이다. 이때 혈액순환이 제대로 안 되면 손이나 발에서부터 신경 괴사가 시작될 수 있다. 손과 발에 이상이 있다면 즉각적으로 의사의 진찰을 받아야 한다.

◇혈당 측정 필수

가장 중요한 건 혈당 측정기로 내가 고혈당인지 알아보는 것이다. 증상이 없는 경우 8시간 이상 금식 후에 측정한 혈당이 126mg/dL 이상이거나, 경구 당 부하 검사 2시간 후 혈당이 200mg/dL 이상인 경우를 당뇨병이라 한다.

물을 많이 마시거나 소변이 많아지고 체중이 감소하는 동시에 식사와 무관하게 측정한 혈당이 200mg/dL이상일 때도 당뇨병으로 진단한다. 이처럼 개인의 느낌에 의지하지 말고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꾸준히 측정해 혈당이 계속 상승한다면 혈당 관리계획을 세우고 따르는 것이 좋다.

원문보기

http://kormedi.com/1320302/%eb%a7%8e%ec%9d%b4-%eb%a8%b9%eb%8a%94%eb%8d%b0-%ec%82%b4-%ec%95%88-%ec%b0%90%eb%8b%a4%eb%8b%b9%eb%87%a8%eb%b3%91-%ec%95%8c%eb%a6%ac%eb%8a%94-%ec%a6%9d%ec%83%81-4/


  1. 갱년기 여성 복부비만 이유와 해결책

    여성들은 생리를 시작하고 임신, 출산을 겪은 후에 폐경에 이르기까지 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의 영향을 받는다. 이 여성호르몬은 단순히 여성성의 문제뿐 아니라 노화, 심혈관질환 등 다양한 병적 증상을 유발하는데 영향을 미친다. 한국건강관리협회 자료에 ...
    Date2020.07.23 Byflexmun Views369
    Read More
  2. 콩팥에 좋은 음식 3가지

    콩팥(신장) 질환에 걸리면 신장이 혈액으로부터 더 이상 노폐물을 걸러내지 못하는 심각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콩팥 건강이 나빠지는 가장 큰 원인은 당뇨병과 고혈압이다. 당뇨병과 고혈압은 건강하지 못한 식습관과 생활방식 때문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
    Date2020.07.22 Byflexmun Views338
    Read More
  3. 비타민 습도 높은 곳에 두면 일주일면 효과가 사라져

    비타민은 동물체의 주 영양소가 아니면서 동물의 정상적인 발육과 생리 작용을 유지하는 데 없어서는 안 되는 유기 화합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비교적 소량이 필요하지만 체내에서 생성되지 않는다. 크게 수용성 비타민과 지용성 비타민으로 나눠지고, ...
    Date2020.07.20 Byflexmun Views280
    Read More
  4. 야채만 먹으면 남성호르몬이 줄어 들까?

    고기를 많이 먹어야 남성 호르몬을 유지할 수 있다는 통념이 틀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마이애미 대학교 의대 연구진이 18~75세 남성 191명의 식단과 혈중 테스토스테론 수치를 측정한 결과, 채식을 하든, 육식을 병행하든 호르몬 수치는 차이가 없...
    Date2020.07.19 Byflexmun Views403
    Read More
  5. 오염된 공기로 손상되 뇌 생선으로 살린다.

    각종 오염물질로 가득한 도시의 공기는 건강을 해치는 원인으로 꼽힌다. 여러 연구는 오염된 공기를 들어 마시는 것이 사람의 뇌를 해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하지만 새로운 연구 결과에 따르면, 식습관을 통해 이런 폐해를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규...
    Date2020.07.17 Byflexmun Views361
    Read More
  6. 비알콜성 지방간이 더 위험하다.

    건강 검진에서 흔히 발견되는 질환이 지방간이다. 우리나라 성인 3명 중 1명은 간에 지방이 5% 이상 쌓인 지방간 질환자이다. 주위에 지방간을 가진 사람이 많다보니 지방간 판정을 받아도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지방간을 방치하면 암 등...
    Date2020.07.16 Byflexmun Views301
    Read More
  7. 오후늦게 폭발하는 식욕 뇌의 반응이다.

    건강한 식습관을 갖고 있는 사람들도 저녁만 되면 군것질의 유혹을 견디기 힘들어 한다. 연구에 따르면, 이런 현상은 뇌 반응에 의한 결과이다. 영국 리버풀대학교와 호주 플린더스대학교 공동 연구팀은 300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하루 동안 음식에 대한 욕구...
    Date2020.07.15 Byflexmun Views320
    Read More
  8. 당뇨를 알리는 증상들

    혈당을 조절하고 유지하는 호르몬인 인슐린의 기능 이상으로 고혈당이 되는 당뇨병은 꾸준한 관리가 필요한 만성질환이다. 고혈당은 조직 괴사, 뇌졸중, 심혈관질환 같은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는데, 치료를 받으며 생활습관을 교정하면 비교적 건강하게 살...
    Date2020.07.12 Byflexmun Views325
    Read More
  9. 늦게 자는 청소년 천시과 알레르기 위험

    늦게 자고 늦게 일어나는 청소년은 천식이나 알레르기로 고생하기 쉽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인도의 미드나포어 시티 대학, 스페인의 바르셀로나 세계 보건 연구소, 프랑스의 소르본 대학교 등의 연구진은 13~14세 사이의 인도 청소년 1,684명을 대상으로 ...
    Date2020.07.09 Byflexmun Views279
    Read More
  10. 술을 잘 먹지도 않는데 지방간이니?

    술자리를 자주 갖는 사람들은 건강검진 전에 ‘지방간’을 걱정한다. 술을 많이 마실수록 지방간일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에는 음주를 즐기지 않는데도 ‘지방간’을 진단받는 환자가 증가하고 있다. 이는 술을 마시지 ...
    Date2020.07.08 Byflexmun Views32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 119 Next
/ 119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