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영양정보

조회 수 30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jpg

코로나 19 사태로 인해 모두가 유례없는 스트레스를 받았던 한 해. 따라서 불면으로 고생하는 사람도 크게 늘었다.

숙면을 취하는 데 중요한 건 운동, 규칙적인 취침 습관, 스크린 타임 축소. 그리고 건강한 식단이다. 미국 ‘뉴욕 타임스’에 다르면, 음식은 수면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역으로 수면 패턴 또한 음식 선택에 영향을 미친다.

그간의 연구들에 따르면 숙면을 돕는 건 과일과 채소, 견과류, 콩류, 생선, 올리브 오일 등이다. 즉 지중해식 식단이 강조하는 식품들이다. 반면 설탕, 고기, 버터, 빵 등은 잠을 설치게 만든다.

얼마 전 컬럼비아 대학교 연구진이 발표한 논문은 지속적인 불면으로 고통 받는 사람들이 대개 형편없는 식사를 하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고기나 과일, 채소는 거의 먹지 않는 반면 가당 음료, 디저트 등 설탕이 잔뜩 들어간 음식에 가공 식품이 식단의 중심을 차지했던 것. 하지만 역학적 연구로는 상관관계를 알 수 있을 뿐 원인과 결과를 가려내긴 힘들다.

그래서 많은 과학자들이 식단을 통제하는 실험을 했다. 따뜻한 우유에서 과일 주스에 이르기까지, 개별 식품이 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다양한 논문이 발표되었다. 그러나 여기에도 한계는 있다. 규모가 너무 작고 엄밀성이 떨어진다는 것. 게다가 이런 실험들은 대개 관련 자본의 지원을 받아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키위 업계의 1인자인 제스프리 인터내셔널이 투자한 연구에서는 매일 잠들기 한 시간 전에 키위 두 알을 먹었더니 수면 시간이 늘고 질도 좋아졌다는 결과가 나왔다. 하지만 그 실험에는 대조군이 없었다. 키위가 숙면에 기여한다는 결과는 항산화 성분에 기인한 것이 아니라 위약 효과 덕분이라는 지적도 쏟아졌다.

여러 실험을 통해 두 가지 사실이 뚜렷하게 드러났다. 첫째, 탄수화물이 잠을 좌우한다. 지방이나 단백질을 많이 섭취한 이들에 비해 탄수화물을 많이 섭취한 이들이 밤에 훨씬 빨리 잠들었던 것.

문제는 탄수화물의 질이다. 베이글, 페이스트리, 파스타 같은 단순 탄수화물은 잠을 설치게 만든다. 컬럼비아 대학교의 마리 피에르 생통쥬 교수는 “빨리 잠드는 것뿐 아니라 제대로 자는 것이 중요하다면 섬유질을 함유한 복합 탄수화물을 먹으라”고 조언했다.

둘째, 수면과 음식의 관계는 양방향이어서 잠이 부족하면 나쁜 음식을 찾게 된다. 예를 들어 건강한 성인들을 하루 4~5시간만 재웠더니 평소보다 많이 먹고, 자주 먹는 모습을 보였다. 수면 부족이 5일간 이어지자 남녀 불문하고 누구의 뇌도 당근, 오트밀, 요거트 같은 ‘건강한’ 식품에 반응하지 않았다. 반면 도넛, 사탕, 페퍼로니 피자에 대해 반응은 활발했다. 정크 푸드에 대한 강력한 반응 패턴은 다시 5일을 ‘정상적으로’ 자고 난 다음에야 사라졌다.

요점은 건강에 가장 중요한 두 가지, 잠과 음식이 서로 얽혀 있다는 것. 하버드 대학교의 수잔 레드라인 교수는 “식습관이든 수면 습관이든 한쪽을 개선해 다른 한쪽을 따라오게 만드는 식으로 선순환을 만들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원문보기

http://kormedi.com/1328973/%ec%88%99%eb%a9%b4%ec%97%90-%ec%a2%8b%ec%9d%80-%ec%9d%8c%ec%8b%9d-vs-%eb%82%98%ec%81%9c-%ec%9d%8c%ec%8b%9d/

 


  1. 음식냄새 덜 맡으면 살빠진다.

    맛있는 음식 냄새를 맡으면 침이 고이고, 입맛이 돋는다. 그렇다면 냄새를 차단함으로써 식욕을 통제하고 나아가 살을 빼는 것도 가능하지 않을까? 이스라엘의 텔아비브 대학교, 웨스턴 갈릴리 대학교 등 연구진이 65명의 비만한 성인을 두 그룹으로 나눠 그...
    Date2020.12.29 Byflexmun Views316
    Read More
  2. 콩요리를 많이 먹으면 폐가 건강해진다.

    산업이 발달한 현대 사회에서 가장 시달리는 신체기관 중 하나가 바로 폐다. 호흡을 담당하는 기관인 폐에 각종 공해물질로 오염된 공기와 미세먼지에 더해 코로나바이러스까지 심각한 위협이 가해지고 있다. 이런 외부 환경의 공격에 폐 안쪽에 있는 허파꽈...
    Date2020.12.28 Byflexmun Views405
    Read More
  3. 겨울 실내 온도 비만과 관련있다.

    추운 겨울철에는 실내를 따뜻하게 해야 건강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하지만 보일러를 과하게 가동시켜 온도를 너무 높이는 것도 문제를 발생시킨다. 이와 관련해 겨울철 실내 온도를 너무 높이면 난방비도 많이 들거니와 체중이 증가할 수 있다는 연구 결...
    Date2020.12.27 Byflexmun Views370
    Read More
  4. 물을 먹으면 좋은 경우 7

    물을 충분히 마셔야 건강에 좋다는 상식은 누구나 알고 있다. 물은 소화기관을 비롯, 심장 폐 그리고 뇌의 기능에 필수적이기때문이다. 하루 권장 물 섭취량은 몸무게 등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하루에 1.5~2리터를 조금씩 나눠 마시는 것이 좋다고 전문가들은...
    Date2020.12.23 Byflexmun Views327
    Read More
  5. 임신 수유기 산모의 영양 아이 비만에 영향을 준다.

    임신과 수유 시기 모체의 영양 결핍 또는 과잉이 자식의 성인기 비만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기전이 규명됐다. 모체의 부적절한 영양이 자식의 생애 초기 대사환경 형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성인이 됐을 때도 비만과 대사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것. 서...
    Date2020.12.21 Byflexmun Views258
    Read More
  6. 만성피로 탈출법

    잠자리에서 일어나자마자 피곤함을 느낀다. 종일 머리가 무겁고, 손 하나 까딱하기 싫다. 사람을 무력하게 만드는 만성피로. 어떻게 해야 벗어날 수 있을까. ‘더가디언닷컴’이 소개한 만성피로 탈출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1. 원인을 파악하라 정...
    Date2020.12.20 Byflexmun Views309
    Read More
  7. 비타민 결핍 증상

    혀 궤양이나 두통이 자주 일어나면 심각한 질환의 징후일 수 있다. 하지만 비타민 등 각종 영양소가 부족했을 때에도 이런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 ‘데일리메일’이 소개한 비타민 결핍으로 나타날 수 있는 증상과 이를 해결하는데 도...
    Date2020.12.17 Byflexmun Views302
    Read More
  8. 커피 건강에 이롭게 먹자

    커피 섭취는 장단점이 있다. 간암 예방 등 건강효과가 입증된 면이 있지만 위염, 위궤양 등 위 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 물론 카페인 과다 섭취로 인한 불면증 등도 있다. 커피 섭취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커피에 풍부한 항산화 성분 덕분이다. 커피에 ...
    Date2020.12.16 Byflexmun Views285
    Read More
  9. 숙면을 위한 음식과 아닌음식

    코로나 19 사태로 인해 모두가 유례없는 스트레스를 받았던 한 해. 따라서 불면으로 고생하는 사람도 크게 늘었다. 숙면을 취하는 데 중요한 건 운동, 규칙적인 취침 습관, 스크린 타임 축소. 그리고 건강한 식단이다. 미국 ‘뉴욕 타임스’에 다르...
    Date2020.12.13 Byflexmun Views304
    Read More
  10. 식이 섬유만 잘먹어도 주당 500g은 빠진다.

    체중 감량 목표치를 크게 잡으면 버거워 포기하기 쉽다. 다이어트 비수기인 만큼 조급해하지 말고 목표치를 실천 가능한 수준으로 잡도록 한다. 그러면 다이어트를 실천하기 수월해지고, 자신과의 약속을 지키는 빈도가 늘어나면서 자신감이 붙는다. 스스로를...
    Date2020.12.10 Byflexmun Views25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 119 Next
/ 119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