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운동정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jpg

 

심혈관 건강을 위해서 여성들은 살을 빼는 것보다 근육을 유지하고 늘리는 방향으로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새로운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미국 UCLA 연구팀의 연구에 의하면 남녀 모두 높은 근육량은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체지방은 성별에 따라 각기 다른 영향을 미쳤다. 여성의 경우 높은 체지방이 심혈관 사망위험의 감소와 관련이 있었으나 남성은 그렇지 않았다.

미국에서 지난 50년 동안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은 남녀 공히 감소했다. 하지만 여성의 감소 속도는 남성보다 더딘 편. 실제로 35~54세 여성의 심장마비 발병률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여성의 심혈관 질환 발생률은 남성보다 낮지만 급성 질환에 걸리면 사망률은 더 높고 예후도 좋지 않다.

심혈관 질환이 성별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 만큼, 남녀 환자에게 서로 다른 조언이 필요할 수 있다. 그래서 UCLA 연구팀은 여성들에게 체지방을 빼는 것 보다 근육량 증가를 우선시 할 것을 제안한다. 이번 연구는 미국심장협회 저널에 실렸다.

연구팀은 미국의 보건영양 연구에서 1999~2004년 체성분 데이터, 1999~2014년 심혈관 질환 사망률 데이터를 분석했다. 이 자료는 20세 이상 여성 5627명, 남성 5836명에게서 수집된 것. 이 데이터를 바탕으로 ‘낮은 근육량과 낮은 체지방’ ‘낮은 근육량과 높은 체지방’ ‘높은 근육량과 낮은 체지방’ ‘높은 근육량과 높은 체지방’ 등 4개 그룹을 나눴다.

원 자료에 의하면 남녀 모두 근육량에 상관없이 높은 체지방이 심혈관 질환 사망률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사망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다른 요인들을 고려한 결과 여성에게 있어 체지방과 사망위험 사이의 관계는 완전히 바뀌었다.

연구진은 체지방이 높고 근육량이 많은 여성이, 체지방이 낮고 근육량이 적은 여성에 비해 심혈관 질환 사망 위험이 42%나 낮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와 대조적으로 근육량이 많고 체지방이 높은 남성은, 근육량도 적고 체지방도 낮은 남성에 비해 심혈관질환 사망 위험이 26% 감소했다.

결론적으로 여성에게는 체지방 감소보다 근육량 극대화가 시급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체지방의 효과와, 콜레스테롤 고혈압 등 심혈관 질환의 또 다른 위험요소 사이에는 복잡한 상호작용이 있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예를 들어 비만은 당뇨병 고혈압의 위험을 증가시키고 이로 인해 다시 심혈관 질환의 위험이 커진다. 현재는 심혈관 질환 예방을 위해 체중감소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만큼 추가적인 논의가 뒷받침될 필요가 있다.

원문보기

http://kormedi.com/1336183/%ec%97%ac%ec%84%b1-%ec%8b%ac%ed%98%88%ea%b4%80-%ea%b1%b4%ea%b0%95-%ec%a7%80%ed%82%a4%eb%a0%a4%eb%a9%b4-%ea%b7%bc%ec%9c%a1%eb%9f%89-%eb%8a%98%eb%a0%a4%ec%95%bc-%ec%97%b0%ea%b5%ac/


  1. notice

    문관장 유투브 채널 바로가기

    유투브 채널 주소 https://www.youtube.com/channel/UCGuN1dYX5SGNCeT3RxhLYlw
    Date2021.10.07 Byflexmun Views6319
    read more
  2. 스트레칭 효과

    헬스클럽에서 달리기, 실내자전거타기 등 유산소운동과 기구를 사용한 근력운동만 하는 이가 적지 않다. 스트레칭은 육상 선수나 체조 선수가 경기 전 몸을 풀 듯, 특별한 운동 전 간단히 실시하는 것으로 여기는 사람도 있다. 여기에서 더 나아가 ‘스...
    Date2021.03.25 Byflexmun Views743
    Read More
  3. 여성 심혈관 건강을 위해서는 근력운동을 해라

    심혈관 건강을 위해서 여성들은 살을 빼는 것보다 근육을 유지하고 늘리는 방향으로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새로운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미국 UCLA 연구팀의 연구에 의하면 남녀 모두 높은 근육량은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
    Date2021.03.23 Byflexmun Views423
    Read More
  4. 걸음걸이를 보면 건강상태를 알수 있다.

    올바른 걷기 자세는 다음과 같다. △시선은 15~20m 정도 전방을 주시한다 △상체는 곧게 펴고 턱을 가슴 쪽으로 가볍게 잡아당긴다. △양손은 주먹을 가볍게 쥐고 팔은 자연스럽게 구부리며 앞으로 15도, 뒤로 20도 정도 흔든다 △양발은 11자가 기본이며, 보폭은...
    Date2021.03.20 Byflexmun Views518
    Read More
  5. 수근관증후군이란?

    스마트폰을 자주 사용하는 직장인 A씨는 최근 손에 힘이 없어 물건을 잘 떨어뜨리고 저림과 통증에 잠을 설치기도 했다. 지속되는 증상으로 인해 업무에도 지장을 초래해 병원을 찾은 A씨는 의사로부터 ‘수근관증후군’이라는 진단을 받았다. 수근...
    Date2021.03.17 Byflexmun Views457
    Read More
  6. 싯업말고 복근만들어주는 운동

    짧은 옷을 입는 시기가 다가오면 몸 여기저기에 붙은 군살이 신경 쓰인다. 특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과 그 어느 해보다 추웠던 겨울로 인해 비활동적으로 지내는 바람에 늘어난 허리둘레가 가장 거슬린다. 허리를 두툼하게 만든 복부지방은 ...
    Date2021.03.14 Byflexmun Views528
    Read More
  7. 아플때 운동은 어떻게 해야하나?

    아픈 날 운동을 해야 할지, 말아야 할지 고민이 된다. 운동해야 면역력이 올라가 금방 나을 수 있을 것 같기도 하고, 휴식을 취해야 회복할 수 있을 것 같기도 하기 때문이다. CNN에서 건강 운동 전문가로 저명한 스테파니 만수르(미국 공영방송 PBS 프로그램...
    Date2021.03.11 Byflexmun Views776
    Read More
  8. 운동이 편두통 빈도를 줄인다.

    일주일 2시간 30분의 운동으로, 편두통을 완화시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워싱턴대학교 메이슨 다이어스 박사팀은 편두통 진단을 받은 4647명을 대상으로 운동 시간과 편두통 사이의 연관성을 조사했다. 연구진은 한 달에 15회 이상 편두통이 ...
    Date2021.02.28 Byflexmun Views546
    Read More
  9. 근육 감소 노화가 아니라 건강의 적신호일수있다.

    근육은 우리 몸을 움직이게 하는 필수 요소다. 근육이 약해지면 일상 생활도 심대한 타격을 입는다. ‘근육 약화’ 현상은 근육이 허약해서 일어나는 피로 또는 탈진 현상으로 근육 또는 신경 근육 질환 증상이다. 근육이 약해지면 의자에서 일어나...
    Date2021.02.21 Byflexmun Views652
    Read More
  10. 노인 걸음을 보면 치매을 알수 있다.

    나이 드신 부모님의 걸음걸이를 유심히 살펴보자. 걸을 때 보폭의 크기가 일정치 않고, 발을 내딛는 시간차가 계속 다르다면 치매를 의심해 볼 수 있을지도 모른다. 노년층의 걸음걸이로 보다 정확하게 치매 유형을 진단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캐나...
    Date2021.02.18 Byflexmun Views543
    Read More
  11. 관절건강을 지키는 방법 다섯가지

    관절은 뼈와 뼈가 연결되는 부분을 말한다. 운동학적으로는 주로 가동 관절, 즉 윤활 관절(활막 관절)을 의미한다. 이런 관절이 나빠지면 활동에 지장이 생기고, 활동량이 줄어들면 전반적인 신체 건강에도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 관련해 ‘더가디언닷컴...
    Date2021.02.13 Byflexmun Views52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 105 Next
/ 105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