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운동정보

조회 수 42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jpg

여성은 남성보다 오래 산다. 하지만 건강하게 장수(건강수명)하는 것이 큰 과제다.  오래 사는 기간을 거의 투병생활로 보낸다면 장수의 의미가 퇴색할 수밖에 없다. 여생을 활기차게 보내야 진정한 장수라고 할 수 있다. 몸조차 제대로 가누지 못하고 치매까지 있다면 가족들도 고통이다.

보건복지부가 19일 발표한 ‘OECD 보건통계(Health Statistics) 2021’를 보면 우리나라 여성의 기대수명은 86.3세로 남성의 80.3년에 비해 6년 더 길다. 이 통계에서도 여성이 남성보다 오래 산다는 사실이 다시 확인됐다. 기대수명은 해당연도에 태어난 아이가 앞으로 살 것으로 기대되는 연수다. 우리 국민 전체의 기대수명은 83.3년(2019년)으로 OECD 국가 평균보다 2.3년 길었다.

그러나 오래 사는 여성의 삶은 평탄하지가 않다. 통계청과 여성가족부의 자료(2020년)를 보면 여성은 병을 앓는 기간(유병기간)이 남성보다 5.1년 더 길었다. 남녀의 기대수명 차이 6년을 감안하면, 여성은 남성보다 더 오래 사는 기간의 대부분을 질병에 시달리고 있는 셈이다. 오래 사는 만큼 인생을 즐겨야 하는 데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는 것이 새삼 확인된 것이다.

여성은 노후에 어떤 병으로 고통 받는 것일까? 우리나라 여성의 10대 사망원인은 암, 심장 질환, 폐렴, 뇌혈관 질환, 알츠하이머병(치매), 자살, 당뇨병, 고혈압성 질환, 패혈증, 만성하기도(기관지-폐) 질환 순이다. 특히 국내 치매환자는 최근 10년간 약 4배로 늘어나 65세 이상에서 84만 명이나 앓고 있다(보건복지부 중앙치매센터). 65세 이상 10명 중 1명꼴로 치매를 앓고 있는 셈이다.

사망원인과 별도로 여성의 안정된 노년을 위협하는 것은 관절염, 우울증 등이다. 여성은 남성에 비해 골다공증이 5배, 류머티즘 관절염이 3배, 갑상선암 6배, 치매 2배, 우울증이 2배 정도 더 많이 걸린다. 관절이 나쁘면 바깥 활동에 제약을 받게 된다. 관절 건강은 농촌 여성들이 더 좋지 않다. 농림축산식품부의 자료(2020년)에 따르면 여성농민의 근골격계 질환 유병률은 70.7%이나 된다. 여성농민은 주로 밭농사를 담당하기 때문에 쪼그려 앉거나 숙이는 동작이 많다. 무릎 관절, 허리 건강에 큰 부담을 준다. 도시 여성들도 나쁜 자세나 무리한 운동으로 무릎 관절 등이 나빠지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여성은 폐경 후 여성호르몬 감소로 골밀도가 악화될 수 있다. 보건복지부의 ‘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을 보면 여성은 칼슘 섭취량이 낮아 50세 이상 여성의 골감소증 유병률이 매우 높다. 넘어지면 골절로 이어져 오래 입원하고 삶의 질도 나빠진다. 조금이라도 젊을 때 칼슘 섭취에 신경 쓰고 근력 운동을 통해 근육을 지켜야 한다. 칼슘 음식으로는 콩, 두부, 우유-유제품, 뱅어포, 멸치, 해조류, 채소 등이 꼽힌다. 콩으로 만든 두부 1/5모에는 칼슘이 145mg 들어 있다. 뱅어포 1장의 칼슘 158mg에 비해 만만치 않은 양이다.

노후를 가장 불행하게 하는 병은 치매다. 갈수록 늘고 있어 큰 사회문제화 되고 있다. 치매 가운데 가장 많은 알츠하이머병 예방을 위해 젊을 때부터 좋은 생활습관을 가져야 한다. 그림 그리기, 자수 등 세밀한 손동작이 필요한 취미를 갖고 글을 자주 읽고 쓰는 것이 도움이 된다. 두뇌를 쓰는 외국어 배우기는 더욱 좋다. 음식을 잘 씹는 것도 효과를 낼 수 있다. 씹으면 뇌신경을 자극해 뇌 혈류를 늘리고 인지 기능을 높여줄 수 있다. 걷기 등 운동을 하고 금주, 금연도 필수다.

노년에는 우울증을 특히 조심해야 한다. 남편과 사별 후 혼자 사는 여성은 노인성 우울증 위험이 증가한다. 화병이 생기지 않도록 스트레스도 관리해야 한다. 우울증이 깊어지면 치매 위험이 높아진다. 가족, 친구들과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고 사회 활동을 많이 하는 게 좋다. 건강수명의 요건 중 친구가 꼭 들어간다. 친구가 없으면 외롭고 뇌 활동도 위축된다.

‘6년 더 살지만 5년 더 아프다’는 의학 보고서는 남이 아닌 나의 얘기가 될 수 있다. 한 살이라도 젊을 때 건강을 관리해야 한다. 건강하게 오래 사는 것은 준비한 사람에게만 오는 것이다.

원문보기

http://kormedi.com/1346695/%ec%97%ac%ec%84%b1%ec%9d%80-6%eb%85%84-%eb%8d%94-%ec%82%b4%ec%a7%80%eb%a7%8c-6%eb%85%84-%eb%8d%94-%ec%95%84%ed%94%84%eb%8b%a4-%ea%b9%80%ec%9a%a9%ec%9d%98-%ed%97%ac%ec%8a%a4%ec%95%a4/

 


  1. notice

    문관장 유투브 채널 바로가기

    유투브 채널 주소 https://www.youtube.com/channel/UCGuN1dYX5SGNCeT3RxhLYlw
    Date2021.10.07 Byflexmun Views3963
    read more
  2. 부상 방지를 위한 달리기 자세

    달리기를 할 때 상체를 앞으로 기울이는 각도가 부상 위험과 관련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콜라라도대 연구팀에 의하면 달릴 때 몸을 과도하게 앞으로 숙이면 부상에 취약해 진다. 발이 지면에 더욱 세게 착지하게 되면서 엉덩이 무릎 다리 발에 ...
    Date2021.07.27 Byflexmun Views510
    Read More
  3. 허리통증 콩팥이 문제일 수 있다.

    허리가 아프면 콩팥을 의심하기 쉽다. 여러 매체에서 그렇게 경고한 탓이기도 하지만, 심각한 질병부터 의심하는 건강염려증의 발로이기도 하다. 그러나 허리 통증 대부분은 근육 경직 또는 경련 탓이고 더러 척추에 문제가 생겼을 때 발생한다. 미국 ‘...
    Date2021.07.22 Byflexmun Views670
    Read More
  4. 여성이 6년 더 살지만 5년 더 아프다.

    여성은 남성보다 오래 산다. 하지만 건강하게 장수(건강수명)하는 것이 큰 과제다. 오래 사는 기간을 거의 투병생활로 보낸다면 장수의 의미가 퇴색할 수밖에 없다. 여생을 활기차게 보내야 진정한 장수라고 할 수 있다. 몸조차 제대로 가누지 못하고 치매까...
    Date2021.07.20 Byflexmun Views421
    Read More
  5. 유산소와 근력운동 효율적으로 하는 방법

    최근 근육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걷기 등 유산소운동과 함께 근력운동을 같이 하는 사람들이 많다. 다이어트 뿐 아니라 건강수명(건강하게 장수)을 위해서는 이 두 가지 운동을 함께 하는 게 좋다. 그렇다면 어떤 것을 먼저 해야 할까? 짧은 시간에 효율을 ...
    Date2021.07.18 Byflexmun Views496
    Read More
  6. 균형감각을 좋게 하는 운동법

    나이가 들수록 ‘고유수용성 감각’(proprioception)을 활성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몸의 위치, 자세, 평형, 움직임을 인식하는 감각으로 흔히 ‘운동 감각’으로도 알려져 있다. 공간에서 위치를 감지하고 몸과 팔다리를 자유롭게 ...
    Date2021.07.15 Byflexmun Views547
    Read More
  7. 수면이 부족하다면 더 움직이어야한다.

    수면이 부족한 경우 되도록 몸을 많이 움직이도록 노력하는 것이 좋겠다. 호주와 영국의 공동 연구팀에 의하면 높은 수준의 신체 활동을 하는 경우 수면 부족으로 인한 해로운 영향을 상쇄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활발한 신체 활동에 양질의 수면이...
    Date2021.07.09 Byflexmun Views466
    Read More
  8. 5분 운동으로 혈압약만 만큼 효과를 보인다.

    날마다 5분간 호흡근육을 강화하는 훈련을 하는 것이 유산소 운동이나 약물 만큼 혈압을 낮추는 등 건강증진 효과가 있다는 새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볼더 콜로라도대 연구팀에 의하면 고저항의 흡기근육훈련(IMST)이 고령층의 심혈관 질환 예방에 중...
    Date2021.07.04 Byflexmun Views492
    Read More
  9. 책상에 건강하게 오래 앉아 있는 방법

    사무직 업무를 보는 사람들은 신체적으로 활동적인 생활을 하기 어렵다. 오히려 체지방은 늘고 근력은 소실되는 마이너스의 결과를 얻기 쉽다. 하지만 업무를 위해선 선택의 여지가 없다. 장시간 앉아있는 라이프스타일을 택할 수밖에 없는 상황. 이는 비만, ...
    Date2021.06.23 Byflexmun Views533
    Read More
  10. 만보걷기 정말 마법같은 효과 있을까?

    하루 만 걸음 걷기를 목표로 운동하는 사람들이 있다. 걷기 운동을 하려면 적어도 만 걸음은 채워야 하는 걸까? 만 걸음 걷기는 사람에 따라 채우기 쉬울 수도 있고 어려울 수도 있다. 배달 관련 직업군이나 운동 관련 직업군에 속하는 사람이라면 일상에서 ...
    Date2021.06.20 Byflexmun Views435
    Read More
  11. 지방에 대한 오해 3가지

    복부비만은 배에 과도한 지방이 축적돼 아랫배가 불룩 튀어나온 상태를 말한다. 이런 복부비만은 보기에도 안 좋을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질환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꼽힌다. 복부비만은 허리둘레 기준으로 남성 90㎝(35.4인치), 여자 85㎝(33.5인치) 이상인 ...
    Date2021.06.17 Byflexmun Views40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 101 Next
/ 101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