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영양정보

조회 수 36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jpg

마그네슘은 우리 몸에 필수적인 미네랄. 면역 시스템을 지원하고 혈당 조절에 기여한다. 신경과 근육이 제대로 기능하도록 돕는 역할도 한다.

따라서 마그네슘이 부족하면 여러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불면도 그 중 하나. 신경 신호가 엉키는 한편 멜라토닌 같은 수면 유도 호르몬 수치가 낮아지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마그네슘 보충제가 숙면을 부르는 수단이 될 수 있을까?

2012년 이란의 식품 영양학자들은 만성적인 불면증으로 고생하는 노인 46명을 두 그룹으로 나눈 다음 한 그룹에게는 매일 마그네슘 500밀리그램을, 다른 한 그룹에게는 위약을 제공했다. 8주가 지나자 마그네슘 보충제를 먹은 이들은 불면 증상이 덜하다고 말했다. 전보다 쉽게 잠드는 반면 새벽에 깨는 횟수는 줄었다는 것. 그러나 이 연구는 규모가 작고, 주관적 평가에만 근거한 한계가 있다.

캐나다 달하우지대 연구진도 지난 4월, 불면에 시달리는 노인 151명을 상대로 마그네슘 보충제를 임상 시험한 결과를 발표했다. 역시 도움이 된다는 결론이 나왔으나 증거의 질이 매우 취약했다.

미국 ‘뉴욕 타임스’가 정리한 바에 따르면, 그간의 연구들은 대부분 규모가 너무 작거나 디자인에 구멍이 있어서 확실한 결론을 내리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하지만 그게 마그네슘 보충제가 불면증 치료에 아예 쓸모없다는 뜻은 아니다.

수면 의학 전문가 콜린 랜스 박사는 “밑져야 본전”이라고 말한다. 마그네슘 보충제가 불면에 좋다는 증거가 부족한 건 사실이지만, 하루 350밀리그램을 넘지만 않는다면 먹는다고 해로울 일도 없다는 것이다.

랜스 박사는 특히 하지 불안 증후군 때문에 잠을 설치는 환자들에게 마그네슘 보충제를 권한다. 하지 불안 증후군이란 신경 시스템에 장애가 생겨서 발이 멋대로 움직이는 질환. 밤이 되면 증상이 심해지기 때문에 푹 자기 어렵다. 그런데 마그네슘 보충제를 먹으면 자율 신경계가 제대로 돌아가면서 문제가 풀릴 수도 있다는 것.

랜스 박사는 “만성 불면증은 딱 떨어지는 원인을 캐기도 어렵고, 약으로 해결하기도 어렵다”면서 “잠 못 이루는 밤이 얼마나 괴로운지 생각하면 마그네슘 보충제 복용을 시도해서 손해 볼 일은 없다”고 말했다.

원문보기

http://kormedi.com/1353954/%eb%a7%88%ea%b7%b8%eb%84%a4%ec%8a%98-%eb%b3%b4%ec%b6%a9%ec%a0%9c-%ea%bf%80%ec%9e%a0%ec%97%90-%eb%8f%84%ec%9b%80-%eb%90%a0%ea%b9%8c/

 


  1. 멸치보다 칼슘이 많은 야채

    뼈 건강에 좋은 ‘칼슘’은 모든 연령대의 필수 영양소지만, 특히 완경기(폐경기)를 앞두고 있거나 이미 겪고 있는 중년 여성들에게 좋다. 갱년기 증상이 있는 중년 남성에게도 도움이 된다. 40대에 들어서면 부지런히 칼슘 식품을 먹어둬야 뼈를 ...
    Date2021.09.27 Byflexmun Views568
    Read More
  2. 비만 장내 세균에 비밀이 있다.

    똑같이 운동하고 똑같이 적게 먹는데, 나만 살이 안빠진다면? 당신의 장 속 세균이 체중이 빠지지 못하게 애써 막고 있는 것(저항)일 지도 모른다. 체중감량에 성공할 지 실패할 지 여부를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의 유전적 능력에서 찾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Date2021.09.16 Byflexmun Views340
    Read More
  3. 비만 얼마나 먹느냐보다 무엇을 먹느냐가 중요하다.

    과식은 과체중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상식을 뒤집고 ‘얼마나 많이 먹느냐’ 보다 실제로 ‘무엇을 먹느냐’가 비만을 초래하는 근본 원인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과식보다 메뉴 선택이 비만에 더 큰 책임이 있다는 주장이다. 가공식...
    Date2021.09.15 Byflexmun Views332
    Read More
  4. 저칼로리 음료 정말 체중조절에 도움이 될까?

    적절한 체중은 건강 유지의 필수요건이다. 체중관리를 위해서는 칼로리 섭취를 잘 조절해야 한다. 포화지방, 단 음식 등 칼로리가 높은 음식을 많이 먹고 운동도 하지 않으면 살이 찔 수밖에 없다. 체중이 지나치게 많이 나가면 이상지질혈증(고지혈증) 등 각...
    Date2021.09.13 Byflexmun Views324
    Read More
  5. 커피와 같이 먹으면 안되는 약

    커피는 식후 두 시간이 지나고 마시는 게 좋다. 그래야 철분 등 영양소를 제대로 흡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약과의 관계도 비슷하다. 커피는 약의 흡수, 분배, 대사, 그리고 배설에 영향을 미친다. 약효를 최대한 얻으려면 약을 먹고 어느 정도 시간을 둔 다...
    Date2021.09.08 Byflexmun Views429
    Read More
  6. 마그네슘 보충제 수면에 도움이 될까?

    마그네슘은 우리 몸에 필수적인 미네랄. 면역 시스템을 지원하고 혈당 조절에 기여한다. 신경과 근육이 제대로 기능하도록 돕는 역할도 한다. 따라서 마그네슘이 부족하면 여러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불면도 그 중 하나. 신경 신호가 엉키는 한편 멜라토닌 같...
    Date2021.09.01 Byflexmun Views369
    Read More
  7. 탄수화물을 끊으면 생기는 몸에 변화

    탄수화물은 우리 몸이 일할 에너지를 만드는 포도당 등이 함유된 기본 영양소다. 그러나 최근에는 비만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 탄수화물 섭취를 극단적으로 줄이는 다이어트 방법이 많이 사용된다. 그렇다면 탄수화물을 극단적으로 끊을 때 우리 몸에는 어...
    Date2021.08.31 Byflexmun Views427
    Read More
  8. 운동전후에 물과 바나나가 좋다.

    날씨가 선선해졌다. 운동하기 좋은 시기다. 코로나19 ‘집콕’에서 벗어나 운동 강도를 높여야 할 때다. 걷기도 좋지만 근력운동 등 힘든 운동도 해야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음식도 중요하다. 제대로 힘을 쓰고 피로 회복을 돕는 식단이 좋다. ...
    Date2021.08.29 Byflexmun Views1729
    Read More
  9. 연구결과 비타민 D 근육건강에 효과없다.

    비타민D 보충제가 근육 건강을 증진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새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다. 다양한 관찰 연구에서 비타민 D 보충제가 근육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시사한 것과 다른 내용이다. 덴마크 아르후스대 연구팀의 메타 분석에 의하면 비타민 D...
    Date2021.08.25 Byflexmun Views342
    Read More
  10. 칼로리는 높지만 다이어트에 도움이된다.??

    1칼로리(cal)는 물 1g의 온도를 섭씨 1도 올릴 때 드는 에너지양이다. 워낙 미미한 에너지라서 음식의 열량을 따질 땐 1킬로칼로리(kcal, 물 1kg의 온도를 1도 올리는 열량) 단위를 많이 쓰고 편의상 그걸 대문자 ‘C’를 써 1칼로리(Cal)라 부른다...
    Date2021.08.24 Byflexmun Views33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 119 Next
/ 119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