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운동정보

조회 수 45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jpg

갑자기 코피가 터지거나 화상을 입었을 때 어떻게 대처하면 좋을까. 건강과 안전을 지키는 올바른 응급조치를 하려면 해야할 일과 하지 말아야 할 일이 있다. 코피 염좌 화상 등이 발생했을 때 잘못된 응급조치로 증상을 악화시키는 경우도 있다. 미국 건강 매체 ‘프리벤션 닷컴’이 응급처치방법에 대한 오해를 정리했다.

오해 1: 코피를 멈추려면 머리를 뒤로 젖혀라.

뒤로 젖히면 피가 목구멍으로 흘러내려 위를 자극하고 메스꺼움을 느낄 수 있다. 전문가들은 고개를 약간 앞으로 숙이는 것이 낫다고 말한다. 코를 막고 입으로 숨을 쉬며 10분 동안 가만히 앉아 있는다. 도중에 코피가 멈췄는지 확인하고 싶은 충동을 참아야 한다. 안정적이고 꾸준한 압력이 혈액 응고를 촉진할 수 있다.

코피는 겨울에 더 흔히 발생한다. 실내의 더운 공기가 민감한 콧속을 건조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코를 많이 푸는 것은 도움이 되지 않는다. 가습기를 사용하면 콧속을 촉촉하게 유지할 수 있다.

오해 2: 화상을 입었을 때 바셀린이나 버터를 바른다.

득보다 실이 많을 수 있다. 화상을 입었을 때 피부 열기를 빠르게 식히는 것이 손상을 줄이는 열쇠다. 바셀린이나 버터 같은 기름진 물질은 피부에 열기를 가둘 수 있고 감염 위험을 높이는 박테리아를 유입시킬 수 있다. 미국응급의학회 대변인 션 맥간 박사는 20분 동안 화상 부위에 차가운 물이 흐르도록 하는 것이 피부 온도를 낮추고 추가적 손상을 막을 수 있다고 말한다. 대부분의 가벼운 화상은 집에서 치료할 수 있지만 눈 입 손 생식기 부위에 화상을 입었을 때는 즉각적인 치료를 받아야 한다.

오해 3: 저체온증은 바깥 날씨가 추울 때만 발생한다.

저체온증은 실내에서도 생길 수 있고, 기온이 화씨 40도 이상(섭씨 4도)에서도 걸릴 수 있다. 저체온증은 체온이 섭씨 35도 이하로 떨어질 때 발생하는 것으로 몸을 따뜻하게 유지하기 위해 제한된 저장에너지를 모두 사용했을 때 일어난다.

매우 추운 날씨에 흔히 발생하지만 바람이 많이 불거나 습한 날씨에는 극히 낮은 온도가 아니라도 발생할 수 있다. 열 손실은 공기보다 물을 통해 20배 이상 더 빨리 일어나기 때문이다. 노인과 아기들은 체온 조절을 잘 못하기 때문에 더 위험하다. 저체온증은 떨림으로 시작해 신체 장애, 방향감각 상실, 의식 상실로 진행된다. 몸이 떨릴 때는 따뜻한 음료와 포근한 담요가 필요하다는 신호로 받아들인다.

오해 4: 관절을 삐었을 때 온찜질을 한다.

열이 아니라 얼음이 필요하다. 얼음은 염증을 감소시키는 반면, 열기는 그 부위로 혈류를 몰리게 해 붓기를 더할 수 있다. 미국 국립보건원은 하루나 이틀 동안 하루 4~8회씩 20분간 냉찜질을 권한다. 2~3일 후 붓기가 사라지면 약하게 열을 가해도 좋다. 이때는 혈류를 증가시키고 치유 과정을 가속화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것. 온찜질은 근육 경련, 관절염 통증, 오래된 부상에도 효과적이다.

오해 5: 정확히 하지 않으면 흉부압박은 위험할 수 있다.

미국심장학회에 의하면 심폐소생술이 즉시 시행되면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이 두 배 또는 세 배가 될 수 있다. 심폐소생술을 배웠다면 누군가가 의식이 없거나 숨을 쉬지 않을 때 119에 전화를 걸고, 즉시 흉부압박을 시작하는 것이 좋다. 한 연구에서 피해사례를 연구한 결과, 주변 사람이 심폐소생술을 실시한 26건 중 3건 만이 합병증을 일으켰다. 합병증도 치료를 요하는 정도는 아니었다.

원문보기

https://kormedi.com/1368473/%ec%82%90%ec%97%88%ec%9d%84-%eb%95%8c-%ec%98%a8%ec%b0%9c%ec%a7%88-%ec%9d%91%ea%b8%89%ec%b2%98%ec%b9%98%eb%b2%95-%eb%b0%94%eb%a1%9c-%ec%95%8c%ea%b8%b0/

 


  1. notice

    문관장 유투브 채널 바로가기

    유투브 채널 주소 https://www.youtube.com/channel/UCGuN1dYX5SGNCeT3RxhLYlw
    Date2021.10.07 Byflexmun Views3963
    read more
  2. 운동간에 얼마나 칼로리 연소가 될까?

    다이어트 시 중요한 건 섭취하는 칼로리보다 소비하는 칼로리를 늘리는 것이다. 나는 하루에 얼만큼의 칼로리를 소모하고 있을까. 미국 건강정보 포털 웹엠디(WebMD)에서 소개한 평소 활동 칼로리에 대한 정보를 통해 알아본다. ◆자동차 연료와도 같은 우리 ...
    Date2021.12.08 Byflexmun Views488
    Read More
  3. 나이들어도 병이있어도 운동이 좋다.

    나이를 떠나 육체적으로 활동적인 사람은 더 오래 산다. 규칙적인 운동은 질병 위험을 낮추고 간병 가능성을 줄인다. 내가 병이 들면 가족도 고생한다. 운동을 싫어하는 사람도 병으로 입원하면 병원 복도라도 걸어야 한다. 의사가 권하기 때문이다. 나이 들...
    Date2021.12.05 Byflexmun Views425
    Read More
  4. 잘못된 응급처지 의학상식

    갑자기 코피가 터지거나 화상을 입었을 때 어떻게 대처하면 좋을까. 건강과 안전을 지키는 올바른 응급조치를 하려면 해야할 일과 하지 말아야 할 일이 있다. 코피 염좌 화상 등이 발생했을 때 잘못된 응급조치로 증상을 악화시키는 경우도 있다. 미국 건강 ...
    Date2021.12.03 Byflexmun Views456
    Read More
  5. 내몸에 만성염증이 있다는 신호

    염증은 생체 조직이 손상을 입었을 때 체내에서 일어나는 방어적 반응이다. 급성 염증과 만성 염증으로 나뉘는데, 이 중 만성염증은 오랫동안 뚜렷한 증상이 없다가 상태가 악화되면 나타나기 때문에 문제가 된다. 고혈압, 심혈관질환, 알츠하이머병 등 여러 ...
    Date2021.12.01 Byflexmun Views494
    Read More
  6. 여성 근육을 만드는 효과적인 방법

    규칙적으로 근력 운동을 하는데 눈에 보이는 결과는 거의 없다. 그래서 답답함을 느끼는 여성들이 있다. ‘여자는 근육 만들기가 힘들다’는 고정관념때문에 아예 근육 증강을 포기하는 사례도 있다. 여성들은 어떻게 해야 보기 좋은 근육을 만들 ...
    Date2021.11.27 Byflexmun Views764
    Read More
  7. 운동을 하면 식욕이 생길까?

    활발하게 몸을 움직이면 입맛이 돌아 더 많이 먹게 될까? 반대로 식욕을 누그러뜨려 덜 먹게 될까? 지금까지 나온 연구 결과는 엇갈린다. 2012년 영국 연구에 따르면 몇 시간 동안 지속하는 고강도 운동은 입맛을 잃게 한다. 이듬해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운...
    Date2021.11.26 Byflexmun Views546
    Read More
  8. 만성두통 식단으로 해결할수 있다.

    쿵쿵, 맥박처럼 이마에서 느껴지는 고통, 통증 지수 10점 만점으론 부족해 12점이라고 답하는 극심한 두통이 한 달이면 보름이 넘었다. 그렇게 12년을 앓았던 두통이 식단을 채식 위주로 바꾼 지 3개월 만에 사라졌다. 《영국의학저널(BMJ)》 최신호의 &lsquo...
    Date2021.11.25 Byflexmun Views500
    Read More
  9. 잠 한시간만 못자도 생체리듬 혼란

    코로나 시국에서 발생하는 불면증을 ‘코로나섬니아(coronasomnia)’라고 한다. 코로나로 인한 불안과 우울 등으로 수면의 질이 떨어지는 현상이다. 현대인은 이미 스트레스와 늦은 밤 업무 및 취미활동 등으로 수면 패턴이 망가진 사람들이 많다. ...
    Date2021.11.22 Byflexmun Views547
    Read More
  10. 거울만 자주봐도 살이 빠진다.

    과체중 혹은 비만인 사람들은 거울 속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수시로 보는 것이 체중 감량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새로운 연구에 의하면 거울을 보는 것이 더 건강한 활동에 참여하는데 촉발 요인이 된다는 것. 미국 텍사스여대 연구팀은 1600여명이 참여한 5건...
    Date2021.11.21 Byflexmun Views482
    Read More
  11. 일상에서 목과 허리에 위험한 자세

    올바르게 서 있는 자세는 턱은 살짝 아래로 당기고 목은 C자 형태의 커브 상태다. 가슴은 앞을 향해 열려 있으며 허리는 완만한 아치 형태다. 꼬리뼈는 살짝 둥글게 말려있어 옆에서 봤을 때 바깥 복사뼈 앞쪽, 무릎뼈 옆, 어깨뼈, 귓불이 일직선인 상태가 이...
    Date2021.11.17 Byflexmun Views56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 101 Next
/ 101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