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운동정보

조회 수 47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JPG

 

 

체중을 한 달 만에 10㎏을 줄이는데 성공했다는 사람들을 보면 괜히 주눅이 든다. 하지만 그럴 필요가 없다. 살은 천천히 빼는 것이 좋다.

급격한 체중 감량은 근육 소실을 일으키고, 피부 탄력이 떨어지며, 탈모가 발생할 수 있고, 영양 결핍으로 건강상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엄격한 다이어트는 배가 고프고 무기력해지는 원인이 돼 금방 포기하기도 쉽다.

심리적으로도 힘들다. 다이어트에 성공했다 해도 요요현상으로 금방 원래 체중으로 돌아갈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극단적인 다이어트를 실천하기보다는 서서히 체중을 조절해나가는 게 좋다.

이를 위해서는 다이어트 방법에 너무 고심할 필요 없다. 일상에서 작은 하지만 의미 있는 변화를 실천하는 것으로 지속적인 체중 감량을 유도할 수 있다. 다이어트의 가장 큰 장벽은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의 목표다.

일상적인 생활 패턴을 유지하면서 지금보다 약간의 수고가 더 필요한 정도의 변화만 주어 다이어트를 진행하도록 한다. 전문가들은 “현실성 있는 다이어트를 해야 성공 가능성이 높다”며 “빠듯한 다이어트 계획을 세웠다면 한발 물러서서 매일 실천 가능한 작은 계획들을 세우라”고 말한다.

사람마다 신진대사 능력에 차이가 있고, 건강 상태도 다르지만 누구나 실천 가능한 건강한 체중 감량 방법이 있다. ‘웹 엠디’ 등의 자료를 토대로 이에 대해 알아본다.

1. 3~4시간에 한 번씩 먹기

1일 1식 혹은 2식 다이어트를 하는 사람들이 많다. 공복이 지속되는 동안 체지방이 감소하면서 살이 빠지고, 장수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 보고도 있다. 문제는 하루 한 끼를 먹으면 해당 한 끼를 과하게 먹을 확률이 높다는 점이다.

실제로 하루 한두 번 먹는다는 사람의 상당수가 과식을 한다. 이럴 경우 결국 소비 칼로리보다 섭취 칼로리가 높아져 1일 1식 혹은 2식의 의미가 무색해진다. 보다 현실적으로 실천 가능한 방법은 식사를 거르지 말고, 3~4시간에 한 번씩 단백질과 식이섬유 등이 풍부한 음식을 먹는 것이다.

아침식사를 건너뛰어서도 안 된다. 삶은 달걀 한 개를 먹든, 사무실에 도착해 라떼 한 잔을 마시든, 바나나 한 개를 먹든 에너지를 채워줄 수 있는 무언가를 먹는 것이 좋다. 그 자체로 살이 빠지는 건 아니지만, 단백질 등이 풍부한 영양가 있는 아침을 먹으면 이후 과식이나 군것질을 할 가능성이 줄어든다.

2. 먹는 양의 절반은 채소로

채소와 과일 등으로 영양소와 식이섬유를 채우면 포만감이 형성되고 영양학적으로도 유익해 건강한 다이어트를 지속하는데 도움이 된다. 식사를 할 때 먹는 양의 절반 정도는 채소로 채우도록 한다.

한 접시를 먹는다면 접시의 절반은 채소로 채우라는 것. 한식을 먹는다면 나물 반찬, 김치 등으로 채워도 되고, 서양식 식사를 할 때는 샐러드로 절반을 채우도록 한다.

심지어 간식을 먹을 때도 마찬가지다. 월경주기 등으로 식욕을 도저히 제어하기 어려울 땐 초콜릿과 같은 군것질거리를 먹되, 접시의 절반은 채소와 과일로 채워 과도한 빈 칼로리 음식(영양가 없이 칼로리만 높은 음식) 섭취를 막도록 한다.

3. 5분씩 틈틈이 운동하기

성인은 중간강도 운동을 주 150~300분해야 한다. 일주일에 5번 운동한다면, 하루에 30분에서 1시간 운동해야 한다는 의미다. 그런데 30분이나 1시간 운동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면 부담이 되고 하기 싫어진다.

최근 세계보건기구(WHO)가 공개한 운동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운동은 끊어서 해도 된다. 따라서 한 번에 30분 한다는 생각보다는 일을 하거나 공부하는 중간 5분에서 10분 정도 틈틈이 운동을 시도해보도록 한다.

작은 양 같지만 모이면 하루 30분이 되고 이를 지속하면 다이어트 효과가 생긴다. 운동은 수면의 질을 개선하고, 불안감 등 정신장애를 개선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는 점에서 코로나19 팬데믹 국면에선 특히 더 필요하다.

운동을 시작하는 첫 주는 150분을 채우지 못하더라도 하지 않는 것보단 하는 편이 나으니 꾸준히 시도해보도록 한다. 한두 시간에 한 번씩 알림이 울리도록 핸드폰 설정을 해두고, 그때마다 일어나 스트레칭을 하거나 걷는 방법도 있다.

원문보기

https://kormedi.com/1381334/%ec%b2%b4%ec%a4%91-%ec%a4%84%ec%9d%b4%eb%8a%94%eb%8d%b0-%eb%8f%84%ec%9b%80-%eb%90%98%eb%8a%94-%ec%9e%91%ec%9d%80-%eb%b3%80%ed%99%94-3/


  1. notice

    문관장 유투브 채널 바로가기

    유투브 채널 주소 https://www.youtube.com/channel/UCGuN1dYX5SGNCeT3RxhLYlw
    Date2021.10.07 Byflexmun Views3963
    read more
  2. 오십견 예방운동

    어깨 질환으로 병원을 찾는 사람들이 많다. 특히 어깨 질환은 50대 환자들이 많은데, 실제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다빈도질병 통계를 살펴보면, 지난 2020년 50대의 경우 어깨질환으로 병원에 환자 수가 전체 질환 중 세 번째로 많았다. 어깨질환의 증상은 ...
    Date2022.02.24 Byflexmun Views522
    Read More
  3. 피곤할때 수면과 운동중에 어느것이 좋을까?

    바쁜 현대인이라면 출근 전 새벽 6시에 일어나 시간을 쪼개 운동을 하는 것이 좋을까? 아니면 피곤하니까 30분이라도 푹 더 자는 게 좋을까? 꾸준한 운동과 질 좋은 수면 모두 건강을 위해서는 꼭 필요하다. 운동하는 것과 푹 자는 것. 어느 쪽이 건강에 더 ...
    Date2022.02.23 Byflexmun Views1159
    Read More
  4. 혈액순환에 도움이 되는 방법들

    믿기 어렵겠지만, 우리 몸 속 혈관의 길이는 약 96,561km에 달한다. 심장과 다른 근육들과 함께, 혈관은 몸의 순환계를 구성한다. 이 혈관 도로망은 혈액을 몸 구석구석으로 운반하는데, 만일 혈액 순환이 잘 안 되면 혈류가 느려질 수 밖에 없다. 결국 몸의 ...
    Date2022.02.22 Byflexmun Views500
    Read More
  5. 상황에 따라 올바른 자세로 자는 방법

    사람마다 잠을 잘 때 선호하는 자세가 다르다. 천장을 보고 똑바로 누워 자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꼭 옆으로 누워 웅크리고 자는 사람도 있다. 나에게 익숙한 자세가 있다고 하더라도 꼭 건강에 좋다고 할 수 없다. 건강 상태에 따라 더 바람직한 수면 자세가...
    Date2022.02.21 Byflexmun Views1344
    Read More
  6. 근육양이 중요한 이유

    별다른 질병이 없는 사람이라도 중년 이후 매년 1% 정도의 근육량이 줄어든다. 이는 노화와 함께 일어나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근육량은 우리 몸의 건강을 떠받드는 주춧돌이나 다름없다. 근육이 부실하면 몸의 여러 부위에서 비상신호가 켜진다. 젊었을 때...
    Date2022.02.19 Byflexmun Views485
    Read More
  7. 심장건강 지키는 방법 9가지

    신체에서 가장 중요한 장기를 꼽아야 한다면 1순위는 심장일 것이다. 심장이 기능을 멈추는 순간 생명도 끝나기 때문이다. 심장은 보통 자기 주먹보다 약간 크고, 근육으로 이루어진 장기다. 주된 역할은 산소와 영양분을 싣고 있는 혈액을 온몸에 흐르게 하...
    Date2022.02.16 Byflexmun Views493
    Read More
  8. 골다공증 여성보다 비만 남성이 더 위험

    골다공증은 뼈가 약해지고 부서지기 쉬운 상태를 말한다. 골다공증을 앓는 환자들에게는 가벼운 낙상 혹은 허리를 굽히는 동작이나 심한 기침을 하는 것도 골절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뼈는 신체가 끊임없이 분해하고 대체하는 살아있는 조직이다. 골다공증 환...
    Date2022.02.15 Byflexmun Views502
    Read More
  9. 3가지만 바꿔서 살을빼자

    체중을 한 달 만에 10㎏을 줄이는데 성공했다는 사람들을 보면 괜히 주눅이 든다. 하지만 그럴 필요가 없다. 살은 천천히 빼는 것이 좋다. 급격한 체중 감량은 근육 소실을 일으키고, 피부 탄력이 떨어지며, 탈모가 발생할 수 있고, 영양 결핍으로 건강상 문...
    Date2022.02.14 Byflexmun Views475
    Read More
  10. 플라스틱을 살을 찌게 만든다?

    몸무게를 줄이기 위해 건강한 식습관을 하기로 결심했다면 가능하면 플라스틱 용기와 포장에 담긴 음식은 피하는 것이 좋겠다. 플라스틱 제품에 든 물질이 지방 세포의 크기와 수를 증가시킬 수 있음을 시사하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 연구에 의하면 냉동식...
    Date2022.02.12 Byflexmun Views515
    Read More
  11. 밤에 한시간 더 잘자도 살이 빠진다.

    밤에 잠을 1시간 더 잘수록 칼로리 섭취량이 270kcal 감소해 충분한 수면이 체중 감량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시카고 의과대학 수면센터(UChicago Sleep Center) 에스트라 타살리 박사가 이끈 연구진은 21세에서 40세 성인 80명을 ...
    Date2022.02.09 Byflexmun Views36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 101 Next
/ 101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