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교정운동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90210_142617_675-480x270.jpg



기능해부학 관절과 근육의 기본 규칙 1


- 근육의 기능은 관절 각도에 따라 달라진다. 연결되는 관절의 개수가 2개를 넘어가는 2관절의 근육들은 기능의 변화도 그만큼 더 많아진다.


ex:) 대요근

1. 달리기

달리기 자세는 다리가 뒤로 넘어가면서 고관절 구조때문에 약간의 외회전이 발생한다. 이 때 고관절 신전이 발생하게 되면 장골근보다 상대적으로 긴 대요근의 전섬유와 하부섬유가 늘어나면서 더 큰 장력이 발생하게 되고, 장력이 발생한 전섬유와 하부섬유는 탄성을 다시 회복하며 다리를 앞으로 내미는 힘으로 바꿔준다.


2. 레그레이즈

다리를 내렸다 올리는 동작에서 대요근의 전섬유를 많이 쓴다.

레그레이즈시 골반에서 소리가 나는 이유는, 장골근에 비해 대요근의 긴장도가 높고, 장골근을 밑으로 둔 대요근이 안쪽으로 튕기면서 소리가 나는 것이다. 


- 운동을 하면 근막의 장력이 좋아지는 이유

신장성 수축을 하게 되면 근막에 있는 섬유 아세포가 자극을 받게 된다. 섬유 아세포는 근막, 인대, 힘줄등 결합조직을 만드는데, 섬유 아세포가 자극을 받으면 근막이 더 두꺼워지고 튼튼해지게 된다. 길어지는 수축을 하면 신체가 찢어질까봐 근막은 더 튼튼하고 강하게 만든다.


- 관절에 가깝게 위치한 심부 근육들은 안정성을 담당한다.

심부근육은 뼈가 몸에서 떨어지지 않게 잘 잡아주는 것이 핵심 기능이다. 항상 작동되어야 한다. 심부근육은 미끄러짐을 담당한다. 굴러가려는 것을 굴러가지 못하고 제자리에서만 미끄러지게 해준다.

ex:) 회전근개(극상근, 극하근, 소원근, 견갑하근)는 팔을 움직일 때 위치에 고정되어 떨어져 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1. 용강동 피티 심부전방선 + 외측선 사각근

    요트의 돛을 팽팽하게 지탱하는 줄처럼 경추 좌우의 안정성을 담당한다. 전사각근과 중사각근은 늑골 1번에서 시작하고, 후사각근은 늑골 2번에 붙어있다. 전사각근 > 옆에서 뒤로 넘어가는 것을 억제 중사각근 > 옆으로 넘어가는 것을 억제 후사각근 > 앞쪽...
    Date2024.05.19 Byflexmun Views396
    Read More
  2. 도화동피티 내복사근 외복사근

    외측선 – 외복사근 & 내복사근 흉추회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근육이다. 회전시에 뼈의 분절마디가 서로 부딪치지 않게 해주는데, 이 과정을 안정시켜주는 근육이 다열근과 회선근이다. 흉추는 회전시에 체간의 앞쪽에서 탄성이 나오는데, 골반...
    Date2024.04.28 Byflexmun Views1046
    Read More
  3. 마포피티 외측선 요방형근

    외측선 – 요방형근 가로방향의 복횡근이 끝나는 부위에 세로 방향의 요방형근이 채워준다. 복횡근은 압력 조절 때문에 가로 방향이고, 요방형근은 요추의 안정성을 위해 세로방향이다. 상체를 앞으로 숙일 때 요추의 후관절이 너무 벌어지지 않게 잡아...
    Date2024.04.28 Byflexmun Views425
    Read More
  4. 대흥동피티 외측선 대둔근

    외측선 – 대둔근 인간 몸에서 힘이 제일 센 근육. 인간만 둔근이 엄청 발달되었다. 네 발 달린 동물은 엉덩이가 전부 햄스트링이다. 두 발로 직립 보행하는 인간은 앞 뒤 불균형 때문에 대둔근이 더 발달되었다. 서 있는 상태를 안정시키기 위해 뒤꿈치...
    Date2024.04.21 Byflexmun Views458
    Read More
  5. 염리동피티 외측선 중둔근

    골반은 벌어져 있는 상태로 중둔근이 위치해 있다. 중둔근은 전섬유와 후섬유의 기능이 극명하게 나뉜다. 대퇴골 뼈는 골반의 중간보다 앞에 있다. 다리를 앞으로 내밀어야 하기 때문에 다리의 앞쪽은 대단히 발달되어 있다. 후섬유는 하는 일이 많아서 전섬...
    Date2024.04.14 Byflexmun Views406
    Read More
  6. 공덕동피티 외측선 소둔근

    소둔근은 중둔근으로 덮여있다. 중둔근에 비해 기능이 떨어져서 문제 생기는 일이 별로 없어서 소홀하게 생각하는 근육이다. 골반 뒤보단 앞쪽에 근육이 많이 분포되어있고 횡단면이 두껍게 자리 잡았다. 보행시 뒤꿈치 닿기후 체중수용기의 과정에서, 다리가...
    Date2024.03.24 Byflexmun Views403
    Read More
  7. 공덕피티 외측선 장경인대

    외측선 – 장경인대(엉덩정강인대) 인간한테 가장 많이 발달된 조직이다. 한 쪽 다리로 서있기 위해 발달되었다. 그래서 양 다리로 서있을 땐 활성화되지 않는다. 앞으로는 대퇴근막장근, 뒤론 대둔근과 연결되고, 옆에선 중둔근을 덮고 있다. 1) 무릎이...
    Date2024.03.24 Byflexmun Views425
    Read More
  8. 아현동피티 발목염좌와 전거비인대

    거골뼈와 비골뼈를 연결시켜주는 전거비인대가 발목 염좌때 가장 많이 손상된다. 발목이 바깥쪽으로 돌아가면서 삘 때 거골뼈가 바깥으로 빠져나가려는 힘이 확 생긴다. 인대는 손상되면 원래 길이로 돌아오지 못한다. 전거비인대는 단 한번 삔 것만으로도 자...
    Date2024.03.17 Byflexmun Views481
    Read More
  9. 용강동피티 외측선 – 장비골근 & 단비골근

    외측선 – 장비골근 & 단비골근 비골뼈에 붙어 비골근이라고 한다. 장비골근과 단단비골근 둘 다 외측 복사뼈 뒤를 주행하여 붙는다. 근육이 뼈에 걸쳐서 움직이는 근육은 역학적으로 낼 수 있는 힘이 확 증가된다. 비골근도 발목 바깥쪽에서 복사뼈...
    Date2024.03.17 Byflexmun Views969
    Read More
  10. 도화동피티 표면전방선 흉쇄유돌근

    표면전방선 – 흉쇄유돌근 경추를 자유롭게 움직이기 위해 가장 이상적인 위치에 있다. 앞쪽에서 시작해서 옆쪽으로 끝나기 때문에, 경추 굴곡 외에도 외측굴곡과 회전이 가능하다. 복직근과 복사근을 합쳐놓은 것 같은 자유로운 움직임이 가능하지만 경...
    Date2024.03.10 Byflexmun Views39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2 Next
/ 52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