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교정운동

#ceskorea

1주차 정리내용 2/2 

- 폭발적인 힘 생성시 '외회전 토크'가 발생한다

    Ex) 우사인 볼트 달리기시 살짝 내회전 
         되었다가 외회전 되면서 폭발적인
         힘을 낸다


- 조건반사(= 뇌 반사) -> '대뇌' 에서 일어남

※'뇌 반사'란 어떠한 자극에 대해서 
  무의식적으로 뇌를 통해서 일어나는 반사를   
  말한다

   Ex) '레몬'을 보면 입 안에 침이 고인다


[운동 신경을 통한 골격근 수축 과정]

- 척수 
   -> 뇌간[중뇌, 뇌교, 연수(= 소뇌와 연결)]
   -> 대뇌

- 근육의 반이 다리에 있다
           (= 상체에는 장기가 있다)

- 뇌 신경 11번(= acceysory nerve),
  '악세사리 신경'은 'SCM' 과 '승모근'에 연결
  되어 있어 스트레스 받으면 목이 뻣뻣해진다

- 중추신경이 근육을 조절하는 단위를
  '운동 단위' 라고 하며 운동단위 1개당
  근방추가 1개씩 연결 되어있다

- 평소 아픈근육은 늘어났을때 아프고 단축된
  근육은 눌러서 아프다

- 말초신경이 잘리면 재생이 되지만 중추신경이
  잘리면 재생이 안된다

- 'Trigger point' 옆에 근방추가 있다

- 시험문제 25문제중 5문제가 '신경 생리학'에서
  나온다 

- 근육의 섬세한 조절은 근방추가 많고 활성화
  되어있으며 운동단위는 적어야 한다

      Ex) 다열근, 후두하근

- 2~3초간 자세 정지해도 반사작용이 일어나지
  않는다

- 몸의 80%가 '지근'이다

- 지근과 속근은 항상 같이 쓰인다 
  
       -> 사용되는 비율의 차이 일 뿐!

- 사진으로 근육을 보았을때 
  짙은 빨강색이 '지근' 이고 중간색은
  'Type A' 흰색으로 보이는 것이 'Type B' 섬유
  이다 이는 '미오글로빈' 함량에 따라 색이
  다르게 보인다

※'미오글로빈' 이란 근 세포 속에 있는 
  헤모글로빈과 비슷한 헴 단백질로 적색 색소를
  함유하고 있어 조류나 포유류의 근육을 붉게 염색
  하는 기능을 한다

- 후두하근은 운동단위 1g당 36개를 가지고 있고
  대흉근은 운동단위 1g당 0.7개를 가지고 있다고
  한다

   -> '대흉근' 조절이 힘든 이유

- 지근은 아무리 자극해도 잘 커지지 않는다
   운동시 모세혈관이 발달한다 

 -> '지근'은 '자세유지근' 으로 오래 사용해야
     하는데 속근이면 에너지가 많이 쓰이기 때문

- 복근 힘이 부족하면 운동시 허리가 아프다

- 뻣뻣항 근육은 센 근육이 아닌 약해진 근육이다

- 마라톤 대회에서는 흥을 돋구고자 선수를 앞에
  세우니 따라가다 허덕이지 말자

- 회전근개 운동시 흉근개입이 안되는 범위 내에서
  운동늘 하자 특히 극하근과 후면 삼각근보다
  먼저 동원되면 견갑이 전인된다

※ CPT 운동 꿀 팁

- 운동시 먼저 흉근 먼저 풀어주고
  견갑을 뒤로 모아서 후인 하강 하는 연습을 먼저
  선행하여 '중 하승모근' 의 개입을 높히자
  후면삼각근은 프레스 운동시 뒤에서 잡아주는 
  흉근의 든든한 백 같은 역할을 한다
  또한 중승모근은 어깨운동시 후면삼각근의 
  든든한 백 역할을한다(= 연쇄적)
  운동 순서는 능형근,극하근 먼저 강화시킨 뒤
  그 뒤 중승모근 하고 후면삼각근
  강화시켜준다 중승모근과 후면삼각근은 근막으로
  연결되어있기때문에 첫번째로 중승모근 먼저       
  단련하지 않으면 견갑후인이 안되고 어깨에서
  외전만 되고 그러다보면 상관절과 상완인대   
  손상이 올수 있다 이는 벤치 프레스시 통증이 
  생길 수 있는 원인중 하나이다그래서 패턴을 
  견갑 후인, 어깨 외전 하는 것이 좋은 패턴이다

- 횡격막, 복횡근, 골반 기저근
 
        -> 'In core muscle'!!

- 외/내 복사근, 복직근, 척추 기립근

        -> 'out core muscle'!!


- 논문에 책을 보태는 것이 아니라 책에 논문을
  보태야 한다 보통 논문을 필요한 부분만 보는
  경향이 있는데 논문 끝부분에 '조금 더 연구해볼
  필요가 있다,,,' 라고 적혀 있을 수도 있으니
  주의!!

- 심부의 근육들은 '자세유지근'이다 -> 국소적

   Ex)다열근, 복횡근, 기립근,,,

     = 운동시 뼈끼리 안 부딪히게 만든다

- 나사가 한쪽이 더 조여져 있으면 먼저 풀어
  주어야지 반대 쪽을 더 조이면 안된다 
  근육도 마찬가지 이다!

​정리 : 대한교정운동 전문가 협회 20기 이임철 선생님


  1. 마포헬스 척추기립근 통제 하기

    척추기립근통제하기 폼롤러 를골반에 대고 복횡근 힘을 주고 힘주고자 하는 기립근쪽 다리를 든다 이때 대둔근이 과도하게 수축하지 않게 한다. 골반이 거상될수록 기립근 힘주기 편하다. ​​​​​​​ 닫힌사슬형태의 기립근 통제 운동 누워서 기립근 운동 하고자...
    Date2021.01.24 Byflexmun Views420
    Read More
  2. 아현동헬스 체간 회전 조절 통제하기

    체간 회전 조절 통제하기 척추교정은 굴곡과 외측굴곡을 먼저 교정하고 회전을 교정한다 회전가동범위 검사 앉아서 팔을 앞으로 합장 대고 회전검사 강화은 누워서 회전이 안되는 쪽 무릎을 세우고 눕는다. 반대쪽 발을 들어올리고 경추굴고 흉추굴곡후 버티...
    Date2021.01.24 Byflexmun Views459
    Read More
  3. 애오개헬스 척추 외측굴곡 테스트

    ​​​​​​​ 척추외측굴국 테스트 흉추굴곡이 안되는 쪽으로 굴곡운동 경추와 흉추 굴곡후 흉추 굴곡이 있는 지점을 기준으로 외측굴곡운동 사이드 플랭크 동작에서 흉곽과 장골을 가깝게 해서 5초버티기 4세트후에 굴곡 테스트를 다시한다. -척추 굴곡시 좌우 차...
    Date2021.01.24 Byflexmun Views528
    Read More
  4. 공덕헬스 다리길이차이원인 / 인플레어와 아웃플레어

    다리길이차이원인 / 인플레어와 아웃플레어 *아치 주상골 기준 16mm정도가 일반적인데 이보다 낮아지면 다리길이가 차이나다. *경골의 휨으로도 다리길이가 차이난다. *무릎 과신전된 쪽 바깥쪽 통증과 골반이 하강된다. 인플레어와 아웃플레어 후상장골극이 ...
    Date2021.01.24 Byflexmun Views788
    Read More
  5. 염리동헬스 척추 측만 특발성측만 기능성측만

    척추측만 -특발성은 원인 없다. 회전이 동반 -기능성측만 회전이 없다. 잘못된 자세가 가장 큰요인 측정 goniometer Pro 어플로 측정한다. 극돌기를 중앙으로 측정 5도이상 되면 병원 진료를 받아 보는 것이 좋다. -서서 우선 어깨 높이 차이를 본다. -만약 장...
    Date2021.01.24 Byflexmun Views613
    Read More
  6. 마포헬스 흉추의 특징

    흉추의 특징 두개경부 영역을 조절하는 근육들의 안정된 부착점 흉곽 내부장기의 보호 호흡을 위한 역학적 공기통 구조 부착된 근육들의 면적을 결정짓는 최우선적인 요소 후만된 흉추는 능현근 및 회전근계 스트레스 유발 측만된 흉추는 기립근과 승모근의 ...
    Date2021.01.24 Byflexmun Views449
    Read More
  7. 아현동헬스 경추 회전과 굴곡 교정운동

    경추 회전과 굴곡 자리에 척추를 펴고 앉은 상태에서 고개를 회전해서 코를 기준으로 회전이 안되는 곳확인 -누워서 회전이 안되는 곳으로 돌리고 반대편 판상근 을 풀어준다 -똑바로 누워서 회전이 안되는쪽 후두하근을 풀어준다. 동일하게 앉아서 좌우 외측...
    Date2021.01.24 Byflexmun Views526
    Read More
  8. 애오개 헬스 기능해부학 경추와 후두부

    기능해부학 경추와 후두부 경추 1/2번은 회전만 가능 비 천형적인 경추 차축관절이다. 경추의 특징 -균일하게 45도 각동를 이루는 골단관절의 관절면 평면관절 -흉추와 요추를 합친것보다 더 큰 회전은 물론 굴곡을 제외하 모든 움직임이 크다. -경추 전인될...
    Date2021.01.24 Byflexmun Views593
    Read More
  9. 공덕헬스 기능해부학 천조인대

    천조인대 대둔근 하부섬유와 비슷한 방향이기 때문에 대둔근을 못쓰면 천조 인대 위주로 쓰게 된다. 햄스트링하고 기립근을 연결해준다. 운동후 항문 주변이 아프다면 천조인대가 스트레스를 받았을 것이고 요통을 유발한다. 척추기립근 요추3~흉추7번까지 가...
    Date2021.01.24 Byflexmun Views839
    Read More
  10. 염리동헬스 기능해부학 대퇴이두

    기능해부헉 햄스트링 서있는 동안 계속 일을 하고 앉으면 단축된다. 햄스트링이 타이트하면 허리 통증이 있을수 있다. 앉아서 한쪽다리를 펴고 체전굴했을때 안쪽/바깥쪽중 어느가 타이트한지 테스트 대퇴이두 단두와 반막양근은 무릎쪽이 두껍다(레그컬할때 ...
    Date2021.01.24 Byflexmun Views62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52 Next
/ 52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