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교정운동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ceskorea

[2주차 학습 내용 핵심 정리- 2/3]


[거위발 활액 주머니염 or 건병증]

- 주로 여성에게 발생하며 물컹 물컹 염증이 있고
  건들면 통증이 있다

- 반막/반건 양근, 슬와근 염좌,,,,

- 경골과 대퇴가 회전되며 발생한다


※후천적 일 경우


대퇴 내회전 + 경골 외회전 = O다리

대퇴 내회전 + 경골 회전 X = X다리

        = '대퇴 내회전' 은 기본이다!!


[무릎이 좌우로 움직일시,,,]

- 경 대퇴 관절의 회전

- 원인은 발과 골반에 있다


[발과 발목 관절의 이해]

- 발은 26개의 뼈와 33개의 관절, 38개의 근육
  214개의 인대로 구성되어 있다

- 발은 건물의 1층이다

- 인솔을 쓰기 전 운동으로 좋아 질 수 있는 방법을
  배우자

- 보디빌더는 거의 평발이 많다

- 주상골(= Navicular)은 아치의 가장 윗 부분이다

- 중간설상골(= Intermediate couneform)을
  뽑으면 발이 와르르 무너질 것 이다
   
   = 중지손가락 연결뼈가 손모양 만들어 주듯
     발에선 2st 발가락이 그 역할을 한다

- 발목은 내측 인대가 강하다

- 인체 관절 300개중 230개가 가동관절이다

- 저측 굴곡근(= 아킬레스건, 비복근, 가자미근)
    
- 발은 ST(= 안정), 발목은 MT(= 움직)

- 배측굴곡(= dorsi flexion)시 거골(= Talus)이
  앞으로 굴러가며 뒤쪽으로 미끄러져야 한다
  
            = 안될 시 유착 가능성

  ※유착시 발목관절(= 거퇴관절) 앞에서 통증

- 유착시 발목을 꽉 묶어서 관절쪽으로 윤활액이
  흐를 수 있게 해준다 (= 관절낭을 늘려주는 것)
  그 상태로 움직여 준다 또는 눞힌다음 종골을
  잡고 뽑아준다
 
     EX) 손목을 꽉 잡으면 공간이 벌어지듯.

- dorsi : 20도 (= 26도)
  Plantar: 50도(= 48도) 가 정상 가동 범위 이다
            
          -> '새끼 발가락' 기준

[거퇴 관절]

= 'Talocurual Joint'

- 우리가 흔히 발목 관절이라 부르는 
  '원위 경비 관절' 과 '거골' 이 이루는 관절.

- 약 1도의 자유도를 보이며 주로
  dorsi & Plantar flexion 운동이 일어난다

- 거골의 활차면 및 양쪽 측면이 경골의 원위
  말단 부분 양 과에 의해 형성된 사각형의
  '강' 과 관절함으로 형성된다


[거골 하 관절]

= 'Subtalar Joint'

- 거골과 종골이 이루는 관절이다

- 주로 Inversion & Eversion 이 일어난다
          내번           외번


[발의 내번근]

= Invertors of the foot muscle.

1. 전경골근(= 앞정강근, Tibialis Anterior)

2. 후경골근(= 뒤정강근, Tibialis Posterior)


[발의 외번근]

= Evertors of the foot muscle.

1. 제 3비골근
  (= 셋째 종아리근, Peroneus Tertius)

2. 장비골근(= 긴 종아리근, Peroneus Longus)

3. 단비골근(= 짧은 종아리근, Peroneus Brevis)

 

횡아치: 안쪽부터 1,2,3st cuneform(= 설상골)
                          + 
         Cuboid 와 중족골(= Metatarsal) 5개가
                  만나는 선 정도로 정의.


- 내측 종아치에서 주상골 높이 16mm정도가 정상

- 족근동 에서 충격을 흡수한다
 (= Tasal sinus, 충격 흡수 할 수 있는여유 공간)

 

[거골 뼈에는 근육이 없다]

- 인대만 감싸고 있다 바구니 안에 든 것 처럼.
 
   = 혈액 공급이 안되서 발목 부상시 유착
     가능성이 있다
      Ex] 스쿼트시 발목 통증 -> 평발인경우


- 거골은 사람만 가지고 있다
  두다리로 지탱하고 서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손목은 거골이 없어 내/외번 이란 용어 안씀

- 'sprain'은 인대 'strain'은 힘줄,근육 염좌

- 전거비 인대가 뜯어지면 발목이 느슨해 질 것.
    
            = 또한 손상 비율이 높다

- 거골은 체중을 받아 뒷꿈치, 내측 종아치
  외측 종아치로 체중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 발목 움직임에는 3방향 축이 모두 섞여 있다

  회내(= Pronation)-외번, 외전, 배측굴곡 포함
  회외(= Supination)-내번, 내전, 저측굴곡 포함

- 내번각은 약 40도이다

- 외번각은 약 20도 이다

 

[발의 배측굴곡, dorsi Flx 가능하게 하는 근육들]


- 전경골근(= 앞 정강근, Tibialis anterior)

기시: 경골의 외측과, 경골의 외측연 위쪽 1/2,
       골간막

정지: 내측설상골(= 설상골,cuneiform bone)의 
       내측과 발바닥면, 그리고 제 1중족골의 기저

작용: 족관절에서 발을 배측굴곡 시키고 발을
       내번 시킨다

신경: 심비골신경(= L4, L5, S1)


- 장비골근(=긴 종아리근, Peroneus longus)

기시: 비골의 외측면의 위 2/3

정지: 내측설상골의 외측부 제 1중족골의 저부

작용: 발을 복측 굴곡시키고 외번시킨다

신경: 천비골신경(= L4, L5, S1)


- 단비골근(= 짧은 종아리근, Peroneus brevis)

기시: 비골의 외측면의 아래 2/3

정지: 제 5중족골의 저부의 측부

작용: 발을 외번시키고 저측굴곡 시킨다

신경: 천 비골신경(= L4, L5, S1)


- 제 3비골근(=종아리근, Peroneus tertius)

기시: 비골의 전면의 아래 1/3과 뼈 골간막

정지: 제 5중족골의 저부의 배면(등면)

작용: 발을 배측굴곡 시키고 외번시킨다

신경: 심비골신경( L4, L5, S1)


- 장무지 신근
(= 긴 엄지 폄근, Extensor hallucis longus)

기시: 비골의 전면의 중간 1/2과 골간막

정지: 무지(= 엄지발가락) 말절골의 바닥면

작용: 무지를 신전, 과신전시키며 발을 배측굴곡,
       내번시킨다(+ 뒤침, 회외)

신경: 심비골근 신경(= L4, L5, S1)

 

- 장지 신근
(= 긴 발가락 폄근, Extensor igitorum longus)

기시: 비골의 앞쪽면의 위 2/3, 골간막, 경골의
       외측과

정지: 4개의 외측 발가락의 배쪽(= 등쪽)면을 
       따라 부착 한 후 중간 발가락과 원위부
       발가락의 기저쪽에 부착한다

작용: 발가락을 신전시키고 족관절에서 발을
       배측 굴곡 시키고 외번 시킨다

신경: 심비골근 신경(= L4, L5, S1)
    


[발의 아치와 평발기능 평가 관련, 후경골근 
 건의 기능장애 평가 방법]

- 발 뒷꿈치 들어올리기 동작시 후경골근 건은 
  뒷 꿈치를 들면서 안쪽으로 돌아가게 하는데
  평발인 사람른 후경골근 건 문제시 돌아가지
  않는다. 경미한 손상시 1~2번 정도는 되니 
  후경골근 건 약화 의심시 여러번 시행 할 것

  또는 종, 주상 결합, 거종 결합, 주상설상 결합의
  문제 일 수도 있다

- 체중이 1kg만 늘어도 무릎에 가해지는 하중이
  2~3배는 늘어난다


[족저 근막염, Plantar fascitis]

  = 발 뒷꿈치 뼈 전내측과 다섯발가락 뼈를
    이어주는 역할을 하는 족저근막.

- 남자보다 여성이 2배 더 많이 발생한다

- 성인 발 뒷꿈치 통증의 가장흔한 원인이다
  발 뒷꿈치 내측~ 발바닥 안쪽까지 통증이
  이어지며 특히 아침에 일어나 첫 발을 디딜 때
  족저근막이 강하게 늘어나 펴질때 고통스럽다

- 원인은 과체중, 장시간 하이힐 착용, 평발
  요족, 지방패드가 적어지는 중년 이후, 족저근막
  아래로 지나가는 지배신경이 포착될때, 
  반복된 손상과 회복과정에서 발 뒷꿈치 뼈의
  돌기가 자라난 경우 등이 있다

- 인솔 브랜드 '스펜코' 검색(= 플레이어 사이트)
  
- 평발은 아킬레스건이 끊어질 가능성이 있다

- 거골뼈 머리부분 을 따라 선을 그엇을때
  엄지발가락이 나온다면 정상 각이다

- 후천적 평발을 '기능성 평발' 혹은 
  '유연성 평발' 이라고 하며 발바닥이 유연한
  특징이 있어 그냥 보았을때는 족궁이 있지만
  체중을 실어 발바닥이 땅에 닿으면 족궁이
  무너지며 발이 벌어진다

- 요족은 'high arch', 자동차로 'SUV' 에 비유
  슬관절 염의 가능성

- 평발은 'No arch', 자동차로 '람보르기니' 로
  비유. 충격흡수 안되어 족저 근막염의 가능성

- 주상골(= Navicular)과 지면이 이루는 높이는
  16mm가 정상 arch 높이

- 요족보단 평발이 더 많다

- 평발은 충격흡수가 안되지만 달리기시 빠름
  But 체력 소모도 빠름

   = 정상은 1.뒷꿈치 2.아치 3.발가락 순으로
     이동하지만 평발은 1.뒷꿈치 다음 바로     
     3.발가락으로 이동. 나무 판자를 생각


- 종골과 거골 사이 족근동
  (= Tarsal sinus, 발목뼈 굴)에서 충격을 흡수
  하는 역할을 한다
  
  ※ 'sinus'란 동, 
     뼈의 빈곳이나 움푹 파인곳을 의미함


[요족, Pes cavus, high arch] 

- 회내 동작을 제한하며 이로인한 지면의 충격
  흡수를 제한한다 발 앞꿈치의 외반
  (= Valgus, 발목의 휘어짐 정도)이 6도 이상
  이면 비복근에 직접적인 스트레스를 줄 수있다

- 종골요족의 경우 짧아져있는 종골이 수직으로
  세워져 있는 것이 특징이다
  방사선 측방사진을 통해 종골의 피치각
  (= calcaneal pitch angle, 종골의 바닥과
     발이 닿는 면 사이의 각도)이 30도 이상임을
  관찰하고 서 있는 상태에서도 발의 외반변형을
  살펴 볼 수 있다

  정상적인 양 벌의 각도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각각 15도 이며 만일 15도 이상일시 요족의
  가능성이 있다 요족의 경우 첫번째, 다섯번째
  발가락에 굳은살이 생기는 경우가 많다

  요족은 엄지발가락 중족골통의 주요원인중 하나
  이기도 하다 또 2,3,4번째 발가락에서 만성
  중족골통의 발생가능성이 생길수도 있다
  또한 엄지발가락 바로 밑 발바닥의 볼록한
  부분에 있는 뼈인 종자골(= sesamoid born)에
  염증을 일으키는 종자골염(= sesamoditis)이
  발생 할 수도 있다 만성 스트레스로 인한
  중족관(= metatarsal tunnel)에사 발생하는
  신경포착 또한 관찰해볼 필요가 있다

  발이 땅에 닿을때 바깥쪽으로 회전하는
  '회외(= supination)' 현상으로 인한
  변형은 무릎 외측 아래에 있는 비골두 근처에서
  장력 발생으로 인한 종아리의 '천 비골신경'
  포착 상태가 되어 결과적으로 '장/단 비골근'이
  약화되고 거골의 움직임 또한 제한되므로 
  이로인해 굴근지대의 압력이 높아진다

 ※ '천비골신경'이란 좌골신경이 슬와에서 
     이분화된 총비골신경외 종지의 하나로    
     하퇴부에 있어서 '비골근' 과 '장지신근'과의 
     사이를 하행하여, 장ㆍ단비골근에 분포하는   
     근지와, 족배의 피부로 분포하는 피지 등으로  
     분지하고 있다

  또한 발목 안쪽에 있는 복숭아뼈 아래 부위를
  지나는 '후경골 신경'이 눌려서 
  '족근관 증후군(= Tarsal tunnel syndrome)'
  이 유발할 가능성도 커진다

  추가로 이러한 발목, 거골 하 관절 및 족근관
  관절 운동의 제한에 대한 보상작용으로
  발목과 인접한 관절이 지나치게 신전되어
  무릎 전반부 or 후반부에 통증 가능성이 커진다

  원인: 1st 발가락의 중족골열의 족저굴곡 변형
        (= Plantar flexed 1st deformity)
       
           Ex) 작은 신발 착용했을 때를 생각.


[평발, pes planus]

- 아치를 유지하는데 가장 기본작인 것은 인대이다
  그리고 족저 근막이 이를 감아올리고 내재근의
  도움을 받는다

- 선천성 평발은 '강직성 편평족' 이라고도 부른다

- 내측 아치는 6~8세 이후에 완성되며 대부분
  소아의 편평족은 일시적인 '유연성 평발' 이며
  6~8세 이후 유병률이 낮아지는 특징이 있다
  이 시기는 성장기이기 때문에 일시적으로 
  과 체중이 발생하기 쉬운 시기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 발 뒤꿈치가 바깥쪽으로 기울어 지거나
  신발의 안쪽이 주로 닳는다

- 유연성 평발의 경우 서있을때 엄지발가락
  들어올리면 족저근막의 '감아올림 효과'로 
  아치가 생기지만 후천성 평발은 아치가
  생기지 않는다

- 또다른 후천성 평발이 올 수 있는 원인 으로는
  류마티스 관절염, 후경골근 건의 기능 상실
  아킬레스 건의 긴장, 거골 하 관절의 기능장애
  거주상관절, 내측설상주상관절, 1st 중족내측
  설상관절에서 발생한 퇴행성 관절염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ANATOMY TRAINS TEST BOOK]

T-2

1. 서서 한다리 들고 버티기에서 2가지를 관찰

  1. 아치가 16mm를 유지하는가
  2. 종골이 안으로 모이지는 않는가(= 지방패드)


[Arch 붕괴로 인한 연쇄작용]

- 아치 붕괴로 인한 체중 안쪽으로 쏠림

- 내측 비복근 후경골근 타고 늘어남
  (= 과사용, 누르면 딱딱하게 굳어있음)

- 대퇴의 심부전방선에 의한 내회전 발생

- 횡격막과 연결

- 흉곽 확장에 제한

- 숨찬 운동시 어깨가 들썩임

- 목,어깨가 결림

- 어지러움 호소


- '1st metartasal bone'의 distal head 와
  'Navicular born' 과 'medial malleolus'를
   잇는 선을 그엇을때 일직선 상에 있어야
  바른 정렬이다


T-9

[슬관절의 외회전 가동범위 검사]

 = 슬와근의 느슨함 정도를 가늠할 수 있는 척도

- 보상작용으로 대퇴골의 외전 발생

- 외회전 가동범위 30도가 정상. 넘어가면
  내측 반월상 연골이 아작난다

- 대퇴 내회전 + 경골 외회전인 상태
    
          -> 정강 넓다리뼈 증후군


[발바닥 안아프게 걷기]

1. 발 들어올리고

2. 발가락으로 누르고

3. 엉덩이 힘 주면서 골반을 펴는 연습을 하자


[골반에서 신전이 잘 안된다면,,,]

- 보폭이 작아진다

- '뒷꿈치 떼기(= Terminal stance)' 에서
  종아리를 70%정도 추진하는데 사용하게됨

   = 저측 굴곡근 유연성이 떨어진다
   (= 가자미근, 비복근, 족저근(=Plantaris))

    + 장무지 굴근, 후경골근, 장/단 비골근은
      도움을 주는 근육


[족저근, Plantaris]

- 비복근과 가자미근과 함께 발의 배측굴곡에 
  도움을 준다


기시: 대퇴의 외측 상과 선의 원위부, 슬와면의
      인접부, 무릎 관절의 비스듬한 슬와인대

정지: 종골의 후면

작용: 무릎 관절의 굴곡, 발목관절의 족저 굴곡


[걸음과 활보의 차이]

걸음(= step): 뒷꿈치를 들어서 다시 닿을 때까지
   
      Ex) Heart beat, 1번

활보(= stride): 2번 반복 이상

      Ex) HR  1분간 박동
  

[Gait Analysis, 보행분석]

- 엄청난 무기가 될 것, 무의식 적
  '듣고보니 그렇네?' -> 신뢰감 형성
  
- 시간을 따로 내지 않아도 된다는 이점

- 러닝분석도 가능하다

- 분석, 관찰후 이를 인지 시킨다

- CES 홈페이지에 13년~17년까지 누적데이터
  430개 있으니 여러 케이스 별로 참고하기

- '걷기'란 소뇌에서 내려와서 움직이는 무의식적
  패턴화된 움직임 이다

- 발이 작으면 보폭이 작고 발이 크면 보폭이 크다

- 구조적 문제를 바꾸려면 기능적 회복을 통해서
  교정해야 한다

- 입각기 60%와 유각기 40%로 구성

- '입각기(= Stance phase)' 는 바닥에 발이
  닿아있는 상태이고
  '유각기(= Swing phase)' 는 바닥에서 발이
  떨어진뒤 다시 뒷꿈치가 닿을때까지 이다


[보행의 7가지 단계]

1. 뒷꿈치 닿기(= Heel strike, initial contact)
                                     = 최초 접촉

2. 체중을 한쪽다리로 지탱&반응
   (= Loding response, foot flat)


※ 이 단계에서 하체의 불균형을 관찰 할 것.
    대둔근과 중둔근 -> 엉덩이 좌/우로 움직이면
   많이 움직일 수록 불안정
   (= 최고 피크가 특히 임신중에 골반이 
       많이 불안정 하다)
   터미네이터가 뛰듯이 골반이 온전히 이동해야
   정상이다

3. 중간 입각기(= Mid stance)

4. 뒷 꿈치 떼기(= Terminal stance, heel off)
  
    - 이때 종아리가 많이 쓰이고 전체근력중
      70%정도가 사용된다

5. 발가락 떼기(= Preswing, toe off)


※발가락이 떨어지는 순간부터 초기 유각기로
   넘어가게 된다 그 전까지가 보행중
  60%의 입각기

6. 초기,중간 유각기(= Initial & mid swing)

7. 말기 유각기(= Terminal swing)


[COM, Center of Mass], 신체 질량의 중심

"보행은 연속적인 균형의 상실과 
                          회복의 과정이다"

[보는 순서는]
  
   관상면 -> 시상면 -> 체질량 중심 순으로!

- 요추 3번, 흉추 7번이 힘을 잘 받는다
  (= L3와 T7)

- 불균형이 클 수록 외측선에 문제가 있는 것이다
  
   + 내전근의 불균형도 있을 것이다

      = 척추가 돌아감(회전) = 문제 심각

- 오른다리와 왼다리의 불균형을 찾는 것이
  보행분석의 시작이다

- 입각기가 긴 다리가 지탱하는 다리, 입각기가
  짧은 다리가 가동하는 다리 이다

- '뒷꿈치 닫기(= heel strike, Initial contact)'
  에서 흔들림이 발견되는 다리에는 어김없이
  '운동손상'이 발생한다 이는 '나선선'을 통해
  불균형이 상체로 연결 될 수도 있다


Center of Mass(= 신체의 질량 중심)의 움직임

- 전체적 수직이동은 5cm이다
   
    = 이상이면 무릎 펴져있는 경우가 많다

 ※Normal은 5도정도 구부러져 있어야 한다

- 5cm보다 작고 무릎굴곡이 크다면 거의 후방
  경사가 되어있는 경우이다 흉추와 요추가 1자
  였다가 경추에서 갑자기 굴곡이 생길것
  (= 경추는 원래 C커브이다)

- 전체적인 내/외측이동은 4cm 정도 이다(좌/우)
  
  = 이상일 경우 중둔근이 덜 활성화 되어있는것
     이 경우 대전자가 튀어나와 보인다

- 보디빌딩 하는 사람은 내전근이 많이 발달 해
  있어 안쓸리게 하려고 8자로 걷는 경우가 있으니
  잘 관측 하라

- 런닝화 아웃솔 높을수록 발을 잘 못잡아 준다
  (= 아웃솔이란 밑 바닥을 말합니다)

- 뒷꿈치 닿을때 체중사용이 가장높다 이때
  보상패턴이 많이 나온다


FP-1

- 아치(= 오른발)가 무너지고 대퇴골의 내회전을
  가진 여성이다 오른다리 입각기는 대퇴가
  내회전 되어있고 유각기에는 경골의 외회전이
  되어있고 대퇴가 내회전 되며 오금이 밖을
  바라보고 있으며 체중은 오른쪽으로 실려있다


- 구조적 문제시 기능적문제를 일으킨다

- 높은곳 올라가면 '오금이 저린다'
   
   -> 자세를 낮추어 기저면을 넓히려는 행위

- 오금은 원래 안쪽을 보고 있어야 정상이다

- 정상적으로 무릎은 유각기에서 5도정도의
  외전을 보인다
  + 'Heel strike'에서 내전근의 영향으로 
     5도의 내회전이 발생한다

※ 그러니 초기 유각기에서 과도한 외전과
   내회전을 관찰하다.


FP-2

- 이 남성의 경우 경골의 휨에 의해 발 안쪽으로
  체중이 전달되고 있다 이것은 구조적 문제이다
  또한 오른쪽으로 체중이 실리고 있다 증거로
  무릎 뒷 쪽 슬와선이 바깥쪽을 보고 있다
  (= 이는 경골의 휨 때문이다) 중심이 무너져
  있다

※ 경골이 휜사람들의 특징은 외전근이 뻣뻣하다는
   것이다


- 분석은 발, 골반부터 시작한다

- 한국인의 체형의 특징은 상체길고 골반 좁고
  하체가 짧다

- '페리의 보행분석' 책을 추천한다

정리 : 대한교정운동 전문가 협회 20기 이임철 선생님


  1. 마포헬스 척추기립근 통제 하기

    척추기립근통제하기 폼롤러 를골반에 대고 복횡근 힘을 주고 힘주고자 하는 기립근쪽 다리를 든다 이때 대둔근이 과도하게 수축하지 않게 한다. 골반이 거상될수록 기립근 힘주기 편하다. ​​​​​​​ 닫힌사슬형태의 기립근 통제 운동 누워서 기립근 운동 하고자...
    Date2021.01.24 Byflexmun Views420
    Read More
  2. 아현동헬스 체간 회전 조절 통제하기

    체간 회전 조절 통제하기 척추교정은 굴곡과 외측굴곡을 먼저 교정하고 회전을 교정한다 회전가동범위 검사 앉아서 팔을 앞으로 합장 대고 회전검사 강화은 누워서 회전이 안되는 쪽 무릎을 세우고 눕는다. 반대쪽 발을 들어올리고 경추굴고 흉추굴곡후 버티...
    Date2021.01.24 Byflexmun Views459
    Read More
  3. 애오개헬스 척추 외측굴곡 테스트

    ​​​​​​​ 척추외측굴국 테스트 흉추굴곡이 안되는 쪽으로 굴곡운동 경추와 흉추 굴곡후 흉추 굴곡이 있는 지점을 기준으로 외측굴곡운동 사이드 플랭크 동작에서 흉곽과 장골을 가깝게 해서 5초버티기 4세트후에 굴곡 테스트를 다시한다. -척추 굴곡시 좌우 차...
    Date2021.01.24 Byflexmun Views528
    Read More
  4. 공덕헬스 다리길이차이원인 / 인플레어와 아웃플레어

    다리길이차이원인 / 인플레어와 아웃플레어 *아치 주상골 기준 16mm정도가 일반적인데 이보다 낮아지면 다리길이가 차이나다. *경골의 휨으로도 다리길이가 차이난다. *무릎 과신전된 쪽 바깥쪽 통증과 골반이 하강된다. 인플레어와 아웃플레어 후상장골극이 ...
    Date2021.01.24 Byflexmun Views788
    Read More
  5. 염리동헬스 척추 측만 특발성측만 기능성측만

    척추측만 -특발성은 원인 없다. 회전이 동반 -기능성측만 회전이 없다. 잘못된 자세가 가장 큰요인 측정 goniometer Pro 어플로 측정한다. 극돌기를 중앙으로 측정 5도이상 되면 병원 진료를 받아 보는 것이 좋다. -서서 우선 어깨 높이 차이를 본다. -만약 장...
    Date2021.01.24 Byflexmun Views613
    Read More
  6. 마포헬스 흉추의 특징

    흉추의 특징 두개경부 영역을 조절하는 근육들의 안정된 부착점 흉곽 내부장기의 보호 호흡을 위한 역학적 공기통 구조 부착된 근육들의 면적을 결정짓는 최우선적인 요소 후만된 흉추는 능현근 및 회전근계 스트레스 유발 측만된 흉추는 기립근과 승모근의 ...
    Date2021.01.24 Byflexmun Views449
    Read More
  7. 아현동헬스 경추 회전과 굴곡 교정운동

    경추 회전과 굴곡 자리에 척추를 펴고 앉은 상태에서 고개를 회전해서 코를 기준으로 회전이 안되는 곳확인 -누워서 회전이 안되는 곳으로 돌리고 반대편 판상근 을 풀어준다 -똑바로 누워서 회전이 안되는쪽 후두하근을 풀어준다. 동일하게 앉아서 좌우 외측...
    Date2021.01.24 Byflexmun Views526
    Read More
  8. 애오개 헬스 기능해부학 경추와 후두부

    기능해부학 경추와 후두부 경추 1/2번은 회전만 가능 비 천형적인 경추 차축관절이다. 경추의 특징 -균일하게 45도 각동를 이루는 골단관절의 관절면 평면관절 -흉추와 요추를 합친것보다 더 큰 회전은 물론 굴곡을 제외하 모든 움직임이 크다. -경추 전인될...
    Date2021.01.24 Byflexmun Views593
    Read More
  9. 공덕헬스 기능해부학 천조인대

    천조인대 대둔근 하부섬유와 비슷한 방향이기 때문에 대둔근을 못쓰면 천조 인대 위주로 쓰게 된다. 햄스트링하고 기립근을 연결해준다. 운동후 항문 주변이 아프다면 천조인대가 스트레스를 받았을 것이고 요통을 유발한다. 척추기립근 요추3~흉추7번까지 가...
    Date2021.01.24 Byflexmun Views839
    Read More
  10. 염리동헬스 기능해부학 대퇴이두

    기능해부헉 햄스트링 서있는 동안 계속 일을 하고 앉으면 단축된다. 햄스트링이 타이트하면 허리 통증이 있을수 있다. 앉아서 한쪽다리를 펴고 체전굴했을때 안쪽/바깥쪽중 어느가 타이트한지 테스트 대퇴이두 단두와 반막양근은 무릎쪽이 두껍다(레그컬할때 ...
    Date2021.01.24 Byflexmun Views62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52 Next
/ 52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