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교정운동

외측선 능형 전거 판상근


회전운동하면서 표면 전후방선 연결

1.보행시 오른다리와 왼팔을 쌍으로 움직임

2.보행시 활성화 최저운동강도엣 활성화

3.30%미만에 운동강도

20170507_123134-619x619.jpg


몸통회전 테스트

윗몸일으키기 자제에서 

발은 붙이고 무릎은 벌린 상태로 좌우 회번

20170507_123115-619x619.jpg20170507_122737-619x619.jpg

왼쪽보고 왼쪽으로 몸을 회전

1,왼쪽 두판상근 수축

2.오른쪽 능형근 이완

3.온른쪽 외복사근/전거근 수축

4.왼쪽 장골부분 복사근 수축

왼쪽으로 회전이 잘 안되는 경우 왼쪽 전거근을 풀어준다.


등이 자주 결리는 회원님에게 테스트한다.

왼쪽회전이 잘된다면 오른쪽 등이 아플수 있다.

늘어난 능형근때문이다.


전거근과 능형근을 누른후에 견갑을 전후인시켜 근육을 풀어준다.20170507_125353-619x619.jpg



20170507_125422-619x619.jpg

능형근과 전거근

어깨 후인 전인에 길할근관계


1.견갑을 전후인한후에

2.안되는곳에 트리거 포인트를 찾는다

3.견갑을 전인하고 몸통도 회전해서 

능형근을 최대한 이완시킨다.

4.압박후 전후인시킨다.


두/경판 상근

플랭크자세에서  좌우 회전확인후

오르쪽으로 회전이 안될경우

앉아서 오른쪽으로 회전한후에 후두하근 옆으로 촉진후 눌러서 푼다.

경판상근은 두판 상근아래로 승모 위에 있다.20170507_131224-619x619.jpg


20170507_131219-619x619.jpg


나선선은 교차가 없다 30%미만 강도

오른발이 문제면 오른쪽 허리가 아프다.




20170507_133004-619x619.jpg

흉요근막

팔벌리고 엎드려서 

1.오른쪽 다리를 들면 대둔근와 반대쪽 흉추기립근이 수축한다

2.오른다리를 내회전한후 들면 오른요추기립근이 수축한다.

3.한쪽만 수축한다면 불균형인거이고 그 부위가 부상이 생긴다

20170507_133025-619x619.jpg


  1. [공덕피티 교정운동] 운동단위 속근 지근 수축과정

    근수축과정 전기적신호-칼슘이온분비-잠금해제-트로포신에 마이오신 헤드가 접촉하여 액틴을 당겨 수축한다. 30%지근(무의적움직임 소뇌통제) 자세유지근 안정근(골반:외회전근, 무릎:슬와근, 척추:다열근) 안정근이 불안하면 표층근이 쓰이게된다. 70%속근a(...
    Date2019.01.13 Byflexmun Views719
    Read More
  2. [공덕헬스 교정운동] 운동단위

    중추신경이 근력을 조절하는 단위"운동단위" 최대강도의 1.30% 앉아있는경우나 호흡만 하는 경우 100% 지근위주로 쓰인다. 무의식적 조절로 소뇌가 관리한다. 이러한 근육에 문제가 생긴다면 환자다. 심부근조절을 목적으로 치료관점이다 2.70% 중간강도 수준...
    Date2019.01.13 Byflexmun Views659
    Read More
  3. [염리동피티 교정운동] 교정운동완성, 척수구조

    일반적으로 교정운동은 4~6주정도면 결과가 보이기 시작한다. 1.교정운동은 민감하게 반응하는 사람일수록 빠르게 교정된다. 2.안좋은 습관이 있는경우 교정에 시작이 더많이 걸린다. 3.무감하거나 둔감한경우 교정운동에 시간이 더많이 걸린다. 척수구조 회...
    Date2019.01.13 Byflexmun Views586
    Read More
  4. [염리동헬스 교정운동] 소뇌의 구조, 교정운동완성

    1.척수소뇌:근육조정 숙련된 자발적 움직임의 조정 2.대뇌소뇌:자발적 활동의 계획과 시작 '한쪽다리를 들려면 반대쪽으로 체중이동을 해야된다' 저장 3.전정소뇌:균형유지 눈운동이 조절 코어머슬관리 가동성을 위한 근육보다 안정성을 위한 근육통제 소뇌 ...
    Date2019.01.13 Byflexmun Views669
    Read More
  5. [마포피티 교정운동] 무릎관절

    무릎굴곡시 통증 슬개대퇴관절 -펴고 있을경우는 거의 접촉이 없다. -60~90도까지 접촉면적이 가장 넓다. -접촉면적이 넓을 수록 연골이 받는 스트레스가 적다. 서있을때 통증 경대퇴관절 과간구 0다리인경우 비골두가 아플수 있다. *75kg 성인남성 뼈무게 3....
    Date2019.01.06 Byflexmun Views815
    Read More
  6. [마포헬스 교정운동] 족관절

    족관절의 가동범위 배측관절 20도 저측관절50도 내번20도 외번10도 배측굴곡이 안되는 경우 전경골근을 타이트하게하고 슬개골을 잡아당겨 통증을 유발한다. 배측굴곡시 거골이 앞으로 굴러 경골과 충돌이 될때 통증이 유발한다. 거골 인간만 가지고 있는 특...
    Date2019.01.06 Byflexmun Views689
    Read More
  7. [아현동 피티 교정운동] 근골계 해부학과 정렬평가

    발 26개의 뼈 33개의 관절 38개의 근육 214개의 인대 -주상골 바닥으로 부터 16mm정도가 보통이다. 내측복사뼈 다음으로 튀어나오 뼈로 낮은 위치면 통증을 유발할수 있다. 종골과 아킬레스건이 수직이 아닌경우 부상에 위험이 있으면 평발일 가능성이 크다 선...
    Date2019.01.06 Byflexmun Views906
    Read More
  8. [아현동헬스 교정운동] 보행분석 두번째

    뒤꿈치닿기 체중수용기 입각기 중간입각기 뒤꿈치 떼기 저측굴곡(보폭) 발가락 떼기 장요근이 잠깐 쓰인다. 초기중간 유각기 굴곡근이 많이 쓰임 밀기 유각기 -근막의 외측선이 발달한 이유 발바닥 바깥쪽이 닿아야 발달된 외측선을 통해서 진동이 전달된다. ...
    Date2019.01.06 Byflexmun Views702
    Read More
  9. [애오개피티 교정운동] 보행분석 첫번째

    의식적움직임 -대근육 -표층근육 -속근섬유 =>Functional Movement System (FMS) 는 주로 운동선수의 움직을 분석한다. 1rm자세분석이 효과적이다. 무의식적 움직임 (소뇌) -소근육 -심부근육 -지근섬유 -행동패턴이나 보행분석 *정적인 자세분석은 오류가능...
    Date2019.01.06 Byflexmun Views701
    Read More
  10. [애오개헬스 교정운동] 운동신경 생리학 전/측/후두엽

    후두엽-시각정보분석 측두엽-음성정보분석 두정엽-느끼고 행동을 만들어냄 전두엽-사고의 종합 모든신호 전달은 운동신경이 한다. 대뇌-12개신경중 7번신경은 안면신경으로 표정을 담당한다.
    Date2019.01.06 Byflexmun Views66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 52 Next
/ 52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