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교정운동

조회 수 75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20180327_002018-613x345.jpg[신경생리학]

- 교정운동에 접근하는 모든 방법을 이해하여야 함
  
   = 무의식적인 자세 불균형에 대해 이해

   -> 모든 불균형은 '무의식'적 이기 때문이다

- 어깨는 대부분 '극상근'이나 '회전근개 건염'이다

 ※ '외/내회전 운동은 비벼질 수 있기때문에   
     무조건 좋은 것이 아니다 
    
  -> 1차적 접근법임으로 근본적 문제를 찾기!

- 엄지를 손으로 잡고 들어 올리는 것

     -> '상완이두' 단축 확인법


- 발을 Inversion/Eversion 하고 서서 호흡  하였을 경우 '내번'으로 서서 호흡시 호흡이  잘 되지 않는다

  -> 후공골근이 아래쪽으로 내려가게 되고
    (+ 내전근, 장요근, 요방형근, 횡격막)    끌려내려가 숨이 잘 안 쉬어 진다

- 견갑이 전인되면 부상 위험이 높아진다

- 근본적 문제는 '발' 일 수도 있다

- 병원을 벗어난 곳에서는 치료목적의 행위를  할 수 없다

- 툴에는 감각신경이 없다 손이 Good!

- 보고 분석하고 풀고 운동을 지도 한다
  이 과정중 중요한 것은 설득 이다

- '러시안 트위스트' 동작시 큰 쪽(= 강한쪽)으로
  회전이 반대쪽 보다 제한된다 반대쪽으로  더 잘 돌아가는 이유는 근력이 잘 바텨주기  때문이다

- '오른손 잡이'의 경우 '러시안 트위스트' 동작시  왼쪽으로 잘 안돌아 가는 경향이 있다 이는  왼쪽 기립근의 우세를 의미하며 투수가 공을  던지는 동작을 생각하면 이해가 빠를 것이다

- 자세유지근은 지구성 근육이며 지근이 담당한다  '30% 이하' 강도의 운동을 할 때 사용된다

  ※ A타입 속근은 70%미만일때, 운동강도가   70%를 넘어가면 B타입 속근이 사용된다

- 속근 근섬유를 자유자재로 사용 할 수 있어야
  한다

- 체중이 앞으로 쏠려 있으면 트레이드밀 시
  쿵쿵 소리가 난다

- 숨을 잘 쉬어야 산소섭취가 잘 되고 이는  근육속에 산소를 더 잘 공급해 줄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줄 것이기 때문에
  (+ 젖산 분해 능력)

  '심폐지구력' -> '근 지구력' 순으로 운동하자

- 어깨 내회전 운동시 근육의 동원 순서는  지근인 '견갑하근'이 먼저 이용되어야 하고  그 뒤 속근인 '대흉근' 이 사용되어야 한다
  동작을 해보면서 '대흉근의 근방추 민감도가  상승해 있지 않은가' 를 느껴보자

※'견갑하근' 은 어깨 내회전의 역할을 수행한다

- 운동강도가 60~70%는 되어야 아드레날린이  나오고 이때 흥분율이 증가하게 되는데 
  '교정운동'은 주로 낮은강도에서 지근을 사용하기
  위한 목적이기때문에 재미가 없다

- 측면 삼각근이 개입이 되지 않으면 극상근이  개입 된다

  Ex) 주부들 빨래털거나 마트에서 장보다
       어깨가 않좋아 지는 경우


[Reference] : flexmun, 「교정운동 1주차 요약...../체형 교정 운동/......마포구 공덕동 염리동 애오개 래미안 헬스장 - 헬스장 이야기 - 마포구 공덕동 래미안헬스」 http://ptgym.co.kr/?mid=day&page=13&document_srl=6415.



  1. [교정운동] 신경생리학 및 해부학 / 공덕헬스

    [신경생리학] - 교정운동에 접근하는 모든 방법을 이해하여야 함 = 무의식적인 자세 불균형에 대해 이해 -> 모든 불균형은 '무의식'적 이기 때문이다 - 어깨는 대부분 '극상근'이나 '회전근개 건염'이다 ※ '외/내회전 운동은 비벼질 수 있기때문에 무조건 좋...
    Date2018.03.25 Byflexmun Views750
    Read More
  2. 관절 수용기

    Date2017.07.02 Byflexmun Views643
    Read More
  3. 머신과 프리웨이트 무엇을 해야할까?

    근육 발달을 위한 운동을 하는데 머신 트레이닝(Machine Training)과 프리 웨이트 트레이닝(Free Weight Training) 중 어느 것이 적합할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둘 다 해라' 이다. 과거 근육 발달을 위한 웨이트 트레이닝을 실시할 때 덤벨과 바벨 등...
    Date2017.06.28 Byflexmun Views847
    Read More
  4. 관절에 롤링과 슬라이딩

    Date2017.06.12 Byflexmun Views571
    Read More
  5. 교정운동전문가 교육 단체사진

    Date2017.05.28 Byflexmun Views346
    Read More
  6. IT16 17 18 원암 케이블 크로스오버 스미스벤치

    IT16 17 18 원암 케이블 크로스오버 스미스벤치 대흉근 차이가 날때 수평 내전근만 사용하여 나선선과 전방기능선에 균형을 맟준다. 케이블하기 전에 맨손으로도 가슴근육 MSFT를 하고 하면 효과 어느정도 한후에 밴치를 하면 효과적이다. 스미스벤치는 안정...
    Date2017.05.28 Byflexmun Views1010
    Read More
  7. IT13 14 15 랙 데드리프트 리버스익스텐션 로망체어익스텐션

    IT13 14 15 랙 데드리프트 리버스익스텐션 로망체어익스텐션 데드는 컨벤셔널을 먼저 가르치는것이 좋다. 표면 후방-기능선-후방표면상지선 활성화 기립근 하부가 약하면 후방경사가 쉽게 일어난다. 이런경우 하부섬유 위주에 등장성운동을 한다. 로망체어 상...
    Date2017.05.28 Byflexmun Views718
    Read More
  8. IT19원암덤벨 프레스

    IT19원암덤벨 프레스 능형근이 약하면 상방회전이 과도 하방회전이 안됨 팔을 거상할때 상부 승모에 힘이 안들어 가도록한다.
    Date2017.05.28 Byflexmun Views634
    Read More
  9. LEVEL2 IT 12 덤벨 데드 밴드저항 포함

    LEVEL2 IT 12 덤벨 데드 밴드저항 포함 팔을 바닥과 수직으로하고 마지막 골반 신전시 대퇴골 외회전과 동시에 둔근을 수축한다. 밴드저항을 이용하여 둔근에 수축감을 강화
    Date2017.05.28 Byflexmun Views672
    Read More
  10. MSFT 견갑이 거상된경우

    MSFT 견갑이 거상된경우 상부승모를 이완시키고 팔꿈치를 굴곡후 견갑을 후인 하강한후에 도수저항을 주고 버티기
    Date2017.05.28 Byflexmun Views154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 52 Next
/ 52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