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교정운동

조회 수 97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20180327_182147.jpg[삼차 신경통]

- 삼차신경이란 감각신경이며 이마, 뺨, 턱  으로 가는 세가닥의 신경을 말한다
  5번 뇌신경(= 눈 신경(= 이마), 위 턱, 아래   턱)을 '삼차신경 이라고 한다 얼굴부위의
  감각, 음식을씹는 '저작'활동에 관여한다  60~70대 고령. 얼굴, 툭히 아래턱 쿡쿡 찌르는
  통증이 발생하게 된다(= 혈관이 신경을 압박)

-  7번 뇌 신경은: 안면근육 운동, 미각, 침분비      EX) 화투 칠때 표정변화(= 유머)


- 전완의 힘줄 손가락 까지 연결되어 있다

   -> '외측상과 염'시 손가락 스트레칭 하기
                         + 
           외측 상과쪽 근육잡고 풀기

- 학습시 뇌를 'RAM'에 비유할 수 있다 
  '측두엽'에서 중요하다고 판단하면 대뇌로  정보를 옮겨 기억을 저장한다

- 미국은 어릴때 부터 생활체육을 시행 하고 있어  운동법을 이미 숙지하고 있으며 개인화 되어있어  PT를 잘 받지 않는 경향이 있다

- '건운사 자격증' 면허화 될 것이다   문체부에서 보건복지부로 넘어가면서  병원에서 일 할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 질 것  이다 그리하면 돈을 더 벌 수 있게된다  이 또한 대학에서 원하고 있는 추세이다
   (= 수업중 교수님 의 의견)

- 한국 PT시장은 5조 가까이 된다[둘레 계통(= 변연계)의 구조]
 
  -> 변연계에서 호르몬이 나온다

- 해마체: 교정운동 방법 기억 및 학습

- 편도체: 스트레스,교정운동 거부(= 부정적 감정)

- 시상하부: 변연계를 중심으로 감정을 만든다


 Ex) 트레이너가 회원 스쿼트시 반복해서   무릎이 발 끝 선을 넘지 말라고 지적을 할때   회원 시선은 자꾸 무릎으로 가게 되는데
      이때 트레이너가 다시 시선을 정면을 보라고   지적을 하고 자꾸 회원은 신경이 쓰이고   온 몸이 경직되며 편도체가 자극 되어
      스쿼트와 운동에 거부감이 들게 된다

- 한국의 구조적 모순은 '모난 돌이 정 맞는다'고  우리나라는 '획일화'와 '통제화'를 강조하는 경향이 있는데( Ex) 군대) 이런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또다시 창조를 해야하는 모순이 있다

- 손으로 '베트맨' 만들기 test를 통해 손목의  '회외'능력 test를 할 수 있다

- 전완근은 비복근과 같은 '지근' 으로 잘  커지지 않는다 추가로 대둔근은 속근이지만  은근히 지근 처럼 잘 커지질 않는다

- 완벽한 움직임은 '소뇌'에서 나온다

- '소뇌'만 계속 사용하다보면 대뇌가 퇴화된다
  
  Ex) '생활의 달인' 보면 벽지 검사하는 사람    동체시력 아주 좋다 하지만 매일 반복!
       -> 대뇌의 퇴화 (= 길항)

- 두뇌가 발달한 사람은 표정을 잘 쓰고 말을  잘 한다


[소뇌]

- 무의식적 움직임의 조절자! 움직임의 90%를  사용하지만 부피뇌의 10%밖에 차지를 안한다

- 소뇌는 '움직임 오차 수정자' 이다

- 오차 수정을 가늠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는  검지손가락 끼리 맞닿게 하는 것이다
  처음엔 서로 엇갈리겠지만 1~2번 더 하다보면  결국 양 검지손가락 끼리 맞 닿게 될 것이다

- 촉각, 촉감좋운 강아지 계속 만지게 되는것   = 감정적, 뇌반사

- 후각, 테러가 빈번한 국가에서 화약냄새를  맞으면 기겁을 하게 된다

   = 척수 반사

- 속근은 반사적이여서 교정시 오래 걸린다

- 같은 일 계속 반복하면 치매에 걸릴 확률이  높아진다

- 처음엔 대뇌를 사용하게 되고 반복해서  동작이 익숙해지면 소뇌를 사용하게 된다

- 교정운동시 예를 들면 대둔근의 감각신경을  타고 올라가야하는데 여기서 내전근이 개입이
  되면 안된다 대둔근을 타고 올라갔다 대둔근을  타고 내려와야 한다

- 이는 처음 교정시 대뇌에서 사용되어서 그렇다  6~7주정도 적응기간이 필요하다


[소뇌의 3가지 구조]

- 운동 계획: 대뇌 소뇌

   -> 대뇌와 연결(= 피질 쪽) 자발적 활동의        계획의 시작

- 운동 실행: 척수 소뇌

   -> 근육조절, 숙련된 자발적 움직임의 조정- 평형유지: 전정 소뇌
   
   -> 다열근과 전정소뇌 연결, 중심잡고 서있게   만든다(= 아기때 많이 발달), 눈 운동 조절


- 침팬치의 걷는 모습을 보면 뒤뚱뒤뚱 걷고  서있을때 요추가 후만이 되어있다 이는  기립근 발달과 전정소뇌가 발달이 되지 
  않아서 그렇다

- 모든 움직임은 소뇌를 거쳐서 대뇌로 간다  익숙해 지면 바로 소뇌에서 처리한다

- 직장 적응하려면 6개월 정도 걸린다
  
    -> 월급은- 불만 , 사업은- 불안 리스크

- 처음부터 '밸런스 트레이닝'을 하게 되면  잘못된 보상 패턴이 나올 수 있다  적절한 체지방과 근육량을 먼저 만들고 
  기능체력 훈련을 실시하자

- 교정운동의 완성은 감각로를 바꾸는 것이다

    = 소뇌를 바꾸자




  1. [교정운동] 삼차 신경통, 소뇌 / 마포 헬스장

    [삼차 신경통] - 삼차신경이란 감각신경이며 이마, 뺨, 턱 으로 가는 세가닥의 신경을 말한다 5번 뇌신경(= 눈 신경(= 이마), 위 턱, 아래 턱)을 '삼차신경 이라고 한다 얼굴부위의 감각, 음식을씹는 '저작'활동에 관여한다 60~70대 고령. 얼굴, 툭히 아래턱 ...
    Date2018.03.25 Byflexmun Views976
    Read More
  2. [교정운동] 근막이완, 대뇌,간뇌 시상하부 / 염리동 헬스장

    [근막이완] - 블랙롤 볼: 시작전 셀프로, 매일 근막이완 필요 할때, 낮은강도의 근막긴장 운동 전/후로 실시 - 블랙롤 트위스터: 운동중에, 운동 전,중,후로 단시간내에 근막이완 필요시 높은 정도의 근막 긴장 - FLX: 운동 후, 반흔조직 생성시, 매우 높은 ...
    Date2018.03.25 Byflexmun Views1089
    Read More
  3. [교정운동] 구조변형, 교정운동시스템, 운동단위 활성화( OKC, CKC) / 아현동헬스장

    [구조적 변형이 일어나게 되는 3가지 단계] 1단계: '통증 증후군' - 경고 2단계: '저항성 발달 단계' - 통증에 적응 3단계: '소진 단계' - 구조적 변형 - 움직이지 않게 되면 대사기능이 저하되고 그러다보면 심폐지구력이 떨어지게 되며 삶의 질이 하락 되게...
    Date2018.03.25 Byflexmun Views1343
    Read More
  4. [교정운동] 신경생리학 및 해부학 두번째 / 애오개헬스

    신경생리학 및 해부학 두번째 - 근육의 경우 늘어난 경우는 평소에 아프고 찢어질 리스크가 있고 짦아지고 단축 된 근육은 눌러서 아픈 경향이 있다 - 전완 부상시 삼두를 풀고 견갑을 후인 시켜야 한다 [극상근] ▷기시: 견갑골의 극상와 ▷정지: 상완골의 대...
    Date2018.03.25 Byflexmun Views769
    Read More
  5. [교정운동] 신경생리학 및 해부학 / 공덕헬스

    [신경생리학] - 교정운동에 접근하는 모든 방법을 이해하여야 함 = 무의식적인 자세 불균형에 대해 이해 -> 모든 불균형은 '무의식'적 이기 때문이다 - 어깨는 대부분 '극상근'이나 '회전근개 건염'이다 ※ '외/내회전 운동은 비벼질 수 있기때문에 무조건 좋...
    Date2018.03.25 Byflexmun Views822
    Read More
  6. 관절 수용기

    Date2017.07.02 Byflexmun Views726
    Read More
  7. 머신과 프리웨이트 무엇을 해야할까?

    근육 발달을 위한 운동을 하는데 머신 트레이닝(Machine Training)과 프리 웨이트 트레이닝(Free Weight Training) 중 어느 것이 적합할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둘 다 해라' 이다. 과거 근육 발달을 위한 웨이트 트레이닝을 실시할 때 덤벨과 바벨 등...
    Date2017.06.28 Byflexmun Views919
    Read More
  8. 관절에 롤링과 슬라이딩

    Date2017.06.12 Byflexmun Views639
    Read More
  9. 교정운동전문가 교육 단체사진

    Date2017.05.28 Byflexmun Views405
    Read More
  10. IT16 17 18 원암 케이블 크로스오버 스미스벤치

    IT16 17 18 원암 케이블 크로스오버 스미스벤치 대흉근 차이가 날때 수평 내전근만 사용하여 나선선과 전방기능선에 균형을 맟준다. 케이블하기 전에 맨손으로도 가슴근육 MSFT를 하고 하면 효과 어느정도 한후에 밴치를 하면 효과적이다. 스미스벤치는 안정...
    Date2017.05.28 Byflexmun Views112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 52 Next
/ 52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