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교정운동

20180327_002111-613x345.jpg[이끼섬유, Mossy fiber, 단일 분파]

-> 평소 늘 하던 움직임은 이끼섬유를 타고    들어온다(= 구심성)

[오름섬유, Climber fiber,    복합분파(= 멀티스파이크)]

-> 입력장치(= 구심성)


  Ex) 패턴화 된 것이 아닌 처음 동작시       오름 섬유를 타고 다시 올라오게 된다
       (= 위험 신호가 올라오는 것)   트렘블린에서 뛰게되면 지면반력 제거 됨
  -> 놀람 -> 오차수정 -> 신경 전달로 바뀜
  -> 점프가 더 잘될 수 있게 신경전달로 활성화

  ※계속 잘 하고 있다고 칭찬해야 연결로가  바뀌면서 새로운 근육을 사용하며 교정된다

[평행섬유, Parallel fiber]

- 감각들의 이동경로, 시냅스 중심부에 존재하며  소뇌 피질에서 신호를 교환한다

[조롱박 섬유, Purkinje cell]

- 유일한 출력장치, 운동신경을 통해 나가는 신호


※ 새로운 패턴의 움직임을
                 소뇌에서 학습하는 과정 연결.

-> 기존의 무의식적 움직임은 이끼섬유를 타고    올라오다 새로운 패턴이나 자극, 움직임을 
    포착시 오름섬유가 자극되며 감각 연결로가    바뀐다(+ 오차수정시) 바뀐 감각로에서
    평행섬유를 타고 가서 유일한 출력장치인   조롱박 섬유에 도달하게 되면 운동신경을 
    통해 신호가 전달 된다 이는 척수를 따라     신호가 전달하게 된다


[척수의 구조]

- '알고있다' 와 '이해했다' 의 차이를 알것

- 뒷 뿌리(= 뒷 뿔)- 감각신경    + 감각신경 절(= 뭉탱이)  
  = 종합하는 역할을 하며 '신경세포' 와    '핵' 이 있다

- 앞 뿌리(= 앞 뿔)- 운동신경

- 뒤에서 앞으로 나간다   = '감각신경'타고 들어와서 '운동신경'을 타고     나간다

- 몸의 감각은 '척수' 에서 '뇌' 로 이동한다

    = 반사적인 움직임을  통제할 수 있어야 한다

- '감각신경' 과 '운동신경' 사이에 '사이신경'이   있으며 반사적인 움직임을 만들어 낸다

- 무거운 움직임시 잘못된 자세는 '척수반사' 의  문제이다 이는 대뇌에 의해 수정이 가능하다

       -> 무엇을 통제하여야 하는가?




  1. 대흥동헬스 움직임에 대한 면과 축

    인간의 움직임을 정의하는 3가지 면과 축 관상면 (전후) 시상면 (측면) 수평면 (위아래) - 시상면(Y)에 존재하는 근육이 가장 많다. (좌우축) ex:) 앞 뒤로 움직임. - 관상면(X)의 근육은 시상면에 존재하는 근육들의 앞 뒤 움직임을 안정시켜주기 위해 존재...
    Date2023.03.03 Byflexmun Views554
    Read More
  2. 공덕피티 기능해부학적 움직임의 특성

    기능해부학적 움직임의 특성 - 인간의 몸 전체에서 제일 힘센 근육은 골반이다. - 인간의 눈은 앞쪽에 붙어 있기 때문에 앞을 향해 가게 되고(병진竝進운동), 앞으로 가야 하기에 인간의 가장 힘세고 두꺼운 근육은 모두 앞 뒤로 배치되어 시상면에 존재한다....
    Date2023.02.19 Byflexmun Views574
    Read More
  3. 공덕역헬스 기능해부학 관절과 근육의 기본 규칙 2

    기능해부학 관절과 근육의 기본 규칙 2 - 관절에서 멀리 위치한 근육은 가동성을 담당한다. (힘쓰기 담당) 표층 근육들은 힘을 쓸 때 사용하는 근육이라 에너지 사용이 많고, 지구력이 부족하여 안정성을 담당하는 심부근육보다 지근섬유가 적다. ex:) 표층근...
    Date2023.01.03 Byflexmun Views517
    Read More
  4. 공덕동헬스 기능해부학 관절과 근육의 기본 규칙 1

    기능해부학 관절과 근육의 기본 규칙 1 - 근육의 기능은 관절 각도에 따라 달라진다. 연결되는 관절의 개수가 2개를 넘어가는 2관절의 근육들은 기능의 변화도 그만큼 더 많아진다. ex:) 대요근 1. 달리기 달리기 자세는 다리가 뒤로 넘어가면서 고관절 구조...
    Date2022.12.19 Byflexmun Views604
    Read More
  5. 공덕헬스 근막경선 해부학 기본개념

    (1) 근막경선해부학 기본개념 1. -근육: ATP 에너지를 사용하여 근수축을 하면 장력(拉力) 발생. -인대&힘줄&근막 : ATP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고, 근육이 잡아당겨서 길어질 때(근수축시) 자동으로 장력이 발생한다. ex:) 팔 근육이 수축시 단단해지...
    Date2022.12.04 Byflexmun Views477
    Read More
  6. 염리동헬스 견갑골 상방회전 교정운동

    견갑골 상방회전 교정운동 견갑이 하강되는 경우는 흉추 후만이 평편한 경우가 많아 전거근과 상부승모 후섬유 운동을 한다. 뒤쪽에서 상방회전을 방해하는 근육은 대원근, 소원근, 광배근상부섬유, 능형근하부섬유등이 있다. 엎드려서 복횡근 수축하고 견갑...
    Date2021.02.28 Byflexmun Views1045
    Read More
  7. 마포헬스 하강된 어깨교정운동

    하강된 어깨 교정운동 견갑이 하강되는 경우는 흉추 후만이 평편한 경우가 많아 전거근과 상부승모 후섬유 운동을 한다. 앉은 자세에서 뒤에서 봤을때 견봉이 낮은 어깨를 확인한다. 낮은 어깨로 인해 흉추 굴곡이 있는지 먼저 확인하고 흉추 굴곡이 있다면 ...
    Date2021.02.28 Byflexmun Views869
    Read More
  8. 아현동헬스 어깨 테이핑

    무릎테이핑과 비슷하다 어느쪽이 아프든 통증감소에 도움이된다. 견봉앞뒤 모서리 표시하고 팔을 앞으로 한후 25센티 테이프를 견봉 뒤 모서리에 대고 삼각근 정지부와 팔꿈치 외측상과 일직선상에 부착하고 25프로 장력으로 견봉 뒤 모서리를 덮으면 테이핑 ...
    Date2021.02.28 Byflexmun Views610
    Read More
  9. 애오개헬스 후면삼각근과 중부승모라인

    후면삼각근과 중부승모라인 대흉근 중부승모 전거근 능형근이 견갑운동의 길항관계이다. 대원근과 하부승모 방향 소흉근과 상완이두단두 소흉근이 타이트하면 상완이두가 기지부가 늘어나고 정지부가 타이트해진다. 암벽간에는 광배보다 하부승모를 잘쓰는 것...
    Date2021.02.28 Byflexmun Views879
    Read More
  10. 공덕동헬스 어깨 관절 견갑거근 극상근

    어깨 관절 견갑거근 극상근 팔 다리 안쪽은 안정화 바깥쪽은 힘쓰는 근육이다. 승모가 근력을 담당하고 광배는 근력보다 흉추의 움직임과 상완에 기능적 움직임을 담당한다. 광배근이 타이트하면 야구나 골프할때 기능적 움직임을 방해한다. 전면삼각근과 승모...
    Date2021.02.28 Byflexmun Views96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52 Next
/ 52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