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교정운동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20180327_002646-613x345.jpg근방추란,,,?

- 하나의 근육을 추외근  (= Extrafusal muscle fiber) 라고 했을때  근육안에 존재하는 근방추를 
  추내근(= Intrafusal muscle fiber) 라고 한다

※신경이 돌돌 감싸고 있는 모습이 방추  (= 실타래) 모양과 비슷하다 해서 '근 방추'

쉽게 하나의 근육(= 겉부분) - 추외근근방추- 추내근

- 추내근중 가운대 통통한 부분이 감각정보를  척수로 전달 하는 부분

- 양쪽 끝부분은 수축할 수 있는 부분

●근방추 안에는 'Nuclear bag' 과 bag 처럼  생긴 핵들이 존재
(= 핵주머니 근육세포, 동적수용기,  속근이 늘어날 때 반응)

- '1a' 구심성(= 위로올라가는) 신경섬유를 통해  척수로 속도(= velocity)에 대한 정보를 전달


●근방추안에는 'Nuclear chain' 과 chain 처럼  생긴 핵들이 존재
(= 핵 사슬 근육세포, 정적수용기,  지근이 늘어날때 반응)

- '11' 구심성 신경섬유를 통해 척수로  길이변화(= Length)에 대한 정보를 전달

※ 이 두 섬유 모두 원심성(= 아래로내려오는)신경   섬유를 통해(= 알파&가마 운동뉴런) 수축과   이완을 하게 된다

  'Ib' 는 골지건에 많이 붙어있다고만 알고 있자  역시 길이 변화를 감지. 급격한 수축 감지.

- 알파 운동뉴런을 통해 추외근에서 근 수축이  일어나게 되면 추외근 안에있는 근방추(= 추내근)  도 함께 수축이 일어난다

- 앞서 말했듯 근방추는 그 자체가 스트레치  되어야만 그 근육의 정보를 척수로 보낼 수  있기 때문에 항상 일정한 장력을 유지 하고
  있어야 움직이거나 자세 조절이 가능하다

- 추외근의 수축으로 근장추(= 추내근)도 짧아지면  감마운동 뉴런은 근방추 양쪽 끝부분에 붙어  수축 시킨다

- 그로인해 근방추의 가운데 부분은 늘어나면서  근방추는 다시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며 활성화  되게 된다

※쉽게 알파운동뉴런은 추외근에 붙고 감마뉴런은  추내근(= 근방추)에 끝부분 붙어있어
  서로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도록 길항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조금이따 다뤄 보겠지만
  '알파운동 뉴런' 은 동적/정적 2가지 부분으로  나뉜다




  1. 대흥동헬스 움직임에 대한 면과 축

    인간의 움직임을 정의하는 3가지 면과 축 관상면 (전후) 시상면 (측면) 수평면 (위아래) - 시상면(Y)에 존재하는 근육이 가장 많다. (좌우축) ex:) 앞 뒤로 움직임. - 관상면(X)의 근육은 시상면에 존재하는 근육들의 앞 뒤 움직임을 안정시켜주기 위해 존재...
    Date2023.03.03 Byflexmun Views556
    Read More
  2. 공덕피티 기능해부학적 움직임의 특성

    기능해부학적 움직임의 특성 - 인간의 몸 전체에서 제일 힘센 근육은 골반이다. - 인간의 눈은 앞쪽에 붙어 있기 때문에 앞을 향해 가게 되고(병진竝進운동), 앞으로 가야 하기에 인간의 가장 힘세고 두꺼운 근육은 모두 앞 뒤로 배치되어 시상면에 존재한다....
    Date2023.02.19 Byflexmun Views580
    Read More
  3. 공덕역헬스 기능해부학 관절과 근육의 기본 규칙 2

    기능해부학 관절과 근육의 기본 규칙 2 - 관절에서 멀리 위치한 근육은 가동성을 담당한다. (힘쓰기 담당) 표층 근육들은 힘을 쓸 때 사용하는 근육이라 에너지 사용이 많고, 지구력이 부족하여 안정성을 담당하는 심부근육보다 지근섬유가 적다. ex:) 표층근...
    Date2023.01.03 Byflexmun Views522
    Read More
  4. 공덕동헬스 기능해부학 관절과 근육의 기본 규칙 1

    기능해부학 관절과 근육의 기본 규칙 1 - 근육의 기능은 관절 각도에 따라 달라진다. 연결되는 관절의 개수가 2개를 넘어가는 2관절의 근육들은 기능의 변화도 그만큼 더 많아진다. ex:) 대요근 1. 달리기 달리기 자세는 다리가 뒤로 넘어가면서 고관절 구조...
    Date2022.12.19 Byflexmun Views608
    Read More
  5. 공덕헬스 근막경선 해부학 기본개념

    (1) 근막경선해부학 기본개념 1. -근육: ATP 에너지를 사용하여 근수축을 하면 장력(拉力) 발생. -인대&힘줄&근막 : ATP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고, 근육이 잡아당겨서 길어질 때(근수축시) 자동으로 장력이 발생한다. ex:) 팔 근육이 수축시 단단해지...
    Date2022.12.04 Byflexmun Views477
    Read More
  6. 염리동헬스 견갑골 상방회전 교정운동

    견갑골 상방회전 교정운동 견갑이 하강되는 경우는 흉추 후만이 평편한 경우가 많아 전거근과 상부승모 후섬유 운동을 한다. 뒤쪽에서 상방회전을 방해하는 근육은 대원근, 소원근, 광배근상부섬유, 능형근하부섬유등이 있다. 엎드려서 복횡근 수축하고 견갑...
    Date2021.02.28 Byflexmun Views1051
    Read More
  7. 마포헬스 하강된 어깨교정운동

    하강된 어깨 교정운동 견갑이 하강되는 경우는 흉추 후만이 평편한 경우가 많아 전거근과 상부승모 후섬유 운동을 한다. 앉은 자세에서 뒤에서 봤을때 견봉이 낮은 어깨를 확인한다. 낮은 어깨로 인해 흉추 굴곡이 있는지 먼저 확인하고 흉추 굴곡이 있다면 ...
    Date2021.02.28 Byflexmun Views874
    Read More
  8. 아현동헬스 어깨 테이핑

    무릎테이핑과 비슷하다 어느쪽이 아프든 통증감소에 도움이된다. 견봉앞뒤 모서리 표시하고 팔을 앞으로 한후 25센티 테이프를 견봉 뒤 모서리에 대고 삼각근 정지부와 팔꿈치 외측상과 일직선상에 부착하고 25프로 장력으로 견봉 뒤 모서리를 덮으면 테이핑 ...
    Date2021.02.28 Byflexmun Views616
    Read More
  9. 애오개헬스 후면삼각근과 중부승모라인

    후면삼각근과 중부승모라인 대흉근 중부승모 전거근 능형근이 견갑운동의 길항관계이다. 대원근과 하부승모 방향 소흉근과 상완이두단두 소흉근이 타이트하면 상완이두가 기지부가 늘어나고 정지부가 타이트해진다. 암벽간에는 광배보다 하부승모를 잘쓰는 것...
    Date2021.02.28 Byflexmun Views883
    Read More
  10. 공덕동헬스 어깨 관절 견갑거근 극상근

    어깨 관절 견갑거근 극상근 팔 다리 안쪽은 안정화 바깥쪽은 힘쓰는 근육이다. 승모가 근력을 담당하고 광배는 근력보다 흉추의 움직임과 상완에 기능적 움직임을 담당한다. 광배근이 타이트하면 야구나 골프할때 기능적 움직임을 방해한다. 전면삼각근과 승모...
    Date2021.02.28 Byflexmun Views96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52 Next
/ 52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