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교정운동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20180327_003033-613x345.jpg20180327_003109-613x345.jpg [슬관절 과신전 증후군]

- 임상에선 'Back Knee' 라고 부른다

- Sway Back에서 흔히 나타난다

- 햄스트링의 과도한 우세

- 둔근, 대톼 사두의 활성이 극도로 저하되어있다

- 무릎의 후방(= 오금)은 과도한 늘어짐에 의한  통증이 야기되며 전방은 과도한 압박에 의한
  통증이 야기된다

- 평지보행이나 계단 보행시 무릎 과도하게 뒤로  잡아빼며 걷는 패턴을 보인다

- 둔근, 대퇴사두, 햄스트링 중 햄스트링만 우세종합

- 과도하게 전방 편위되어있는, 동시에 후방 경사  되어있는 골반 교정이 필요. 과도하게 족저
  굴곡된 족관절의 교정또한 필요하다
  외복사근의 후.외측 섬유 강화와 장요근을  강화 시켜 주어야 골반의 정렬이 바르게
  위치한다 추가로 과도하게 족저 굴곡 된  비복근과 가자미근을 스트레칭 한다

  이 증후군은 상당히 만성적인 경향이 강하여 비록 슬관절에서만 통증을 느낀다 할지라도
  골반이나 족관절까지 함께 치려하는 보다  광범위한 시야를 가지고 접근하여야 한다





  1. 도화동헬스 심부안정근 회선근 후두하근

    회선근(심부 안정근) 단분절 극근이다. 뼈 하나씩 붙어있다. 늑골에서부터 척추의 횡돌기에 부착되어 있다. 장회선근과 단회선근으로 나뉜다. 몸통을 회전하는 상황에서 주변의 힘센 근육들(복사근, 척추기립근, 광배근)이 척추를 회전하는 과정에서 흉추에서...
    Date2023.05.29 Byflexmun Views451
    Read More
  2. 대흥동헬스 표면후방선 척추기립근 / 심부안정근 다열근

    척추기립근 척추기립근은 여러개의 분절이 건너 붙어 있는 다분절 극근이다. 세로로 붙어있어서 척추를 세우는 것이 가능하다. 힘줄의 특징: 근육이 조금만 수축하면 힘줄은 빡 잡아당겨서 허리를 자동으로 편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에너지를 훨씬 적게 사...
    Date2023.05.29 Byflexmun Views483
    Read More
  3. 염리동헬스 표면후방선 햄스트링 (대퇴이두 장두 단두/ 반막양근 반건양근) 2

    햄스트링>대퇴이두 장두 대퇴이두의 장두는 정지부(무릎)쪽으로 갈수록 힘줄이 발달된다. 힘줄은 에너지를 절약하며 쓸 수 있지만 해당 관절의 디테일한 조절은 어렵다. 그래서 미세한 조절을 담당하는 것은 대퇴이두의 단두이다. 대퇴이두의 장두는 사선방향...
    Date2023.05.29 Byflexmun Views519
    Read More
  4. 공덕헬스 표면후방선 햄스트링 (대퇴이두 장두 단두/ 반막양근 반건양근) 1

    햄스트링>반막양근 내측 햄스트링. 넓적한 막의 형태. 아치가 무너지면 내측 가자미근이 긴장되면서 내측 비복근을 더 잡아 당기게 되는데, 이 때 내측 햄스트링도 과긴장하게 된다. 반막양근은 무릎쪽과 가깝게 발달되어 무릎을 굽힐때 많이 쓰게 된다. 운동...
    Date2023.05.21 Byflexmun Views541
    Read More
  5. 아현동헬스 표면후방선 아킬레스건

    아킬레스건 아킬레스건이 폭발적인 힘을 쓸 때 끊어지는 이유: 점프 점프 하고 뛰어나가게 되면, 플라이오메트릭 원리가 적용되어 근육의 신장성 수축과 단축성 수축 그 사이에 공간이 생기게 되는데, 이 때 강하게 척수반사가 일어나게 되어 근육에 반사적 ...
    Date2023.05.21 Byflexmun Views447
    Read More
  6. 용강동헬스 표면후방선 비복근

    비복근(무릎 관절 굽힘 안정) 보폭이 넓은 걷기나 달리기를 할 때 더 많이 사용되는 근육이다. 즉, 발목 관절의 배측굴곡과 저측굴곡이 더 증가 되었을 때 비복근의 동원율이 더 증가된다. 비복근은 저측굴곡과 슬관절 굴곡을 함께할 수 있는 2관절 근육이다....
    Date2023.04.28 Byflexmun Views476
    Read More
  7. 도화동피티 표병후방선 가자미근

    가자미근 (발목관절 안정성) 발목관절에 가깝게 붙어 안정성을 담당한다. 평상시에 서 있는 상태에서 몸이 앞으로 기울어지지 않게 잡아주는 근육이다. 가자미근의 기능은 발목관절의 저측굴곡에 개입한다. 가자미근은 비복근을 덮는 표층 근육이다. 발목 가...
    Date2023.04.28 Byflexmun Views549
    Read More
  8. 대흥동피티 표면후방선 족저근막

    족저근막 아치는 충격 흡수를 하여 상위 관절을 보호한다. (발목,무릎,골반) 아치는 종방향과 횡방향이 있다. 종방향 아치를 유지하게 해주는 핵심은 족저근막이다. 족저근막 기능이 떨어져 족저근막의 길이가 원래보다 늘어나게 되면 주상골뼈가 아래로 하강...
    Date2023.04.14 Byflexmun Views480
    Read More
  9. 공덕피티 안정성관절과 가동성 관절에 대해서

    (5) 안정성과 가동성 관절 가동성관절의 가동성이 나오지 않으면 안정성관절의 안정이 떨어진다. 가동성 확보를 한 다음에 안정성 운동을 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안정성 관절들이 피해를 본다. 우리 몸은 중력을 받아내야 하기 때문에 필요한 만큼의 근육...
    Date2023.03.31 Byflexmun Views448
    Read More
  10. 염리동헬스 기능해부학적 움직임의 형태

    기능해부학적 움직임의 형태 굴곡 신전 내전 외전 수평모음 수평벌림 외회전 내회전 휘돌림 움직임이 한가지 면에서만 발생 : 자유도1 움직임이 2가지 면에서 발생 : 자유도2 움직임이 3가지 면에서 모두 발생 : 자유도3 - 구상관절: 골반, 어깨. 자유도3. 모...
    Date2023.03.24 Byflexmun Views56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52 Next
/ 52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