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교정운동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20180522_105757.jpg

 

20180522_105801.jpg

 

20180522_105810.jpg

 

[발과 발목 관절의 이해]

- 발은 26개의 뼈와 33개의 관절, 38개의 근육  214개의 인대로 구성되어 있다

- 발은 건물의 1층이다

- 인솔을 쓰기 전 운동으로 좋아 질 수 있는 방법을  배우자

- 보디빌더는 거의 평발이 많다

- 주상골(= Navicular)은 아치의 가장 윗 부분이다

- 중간설상골(= Intermediate couneform)을  뽑으면 발이 와르르 무너질 것 이다
   
   = 중지손가락 연결뼈가 손모양 만들어 주듯 발에선 2st 발가락이 그 역할을 한다

- 발목은 내측 인대가 강하다

- 인체 관절 300개중 230개가 가동관절이다

- 저측 굴곡근(= 아킬레스건, 비복근, 가자미근)
    
- 발은 ST(= 안정), 발목은 MT(= 움직)

- 배측굴곡(= dorsi flexion)시 거골(= Talus)이  앞으로 굴러가며 뒤쪽으로 미끄러져야 한다
  
            = 안될 시 유착 가능성

  ※유착시 발목관절(= 거퇴관절) 앞에서 통증

- 유착시 발목을 꽉 묶어서 관절쪽으로 윤활액이  흐를 수 있게 해준다 (= 관절낭을 늘려주는 것)
  그 상태로 움직여 준다 또는 눞힌다음 종골을  잡고 뽑아준다
 
     EX) 손목을 꽉 잡으면 공간이 벌어지듯.

- dorsi : 20도 (= 26도)
  Plantar: 50도(= 48도) 가 정상 가동 범위 이다            
          -> '새끼 발가락' 기준

 

 


  1. [교정운동] 발과 발목의 이해 , / 마포구 헬스장

    [발과 발목 관절의 이해] - 발은 26개의 뼈와 33개의 관절, 38개의 근육 214개의 인대로 구성되어 있다 - 발은 건물의 1층이다 - 인솔을 쓰기 전 운동으로 좋아 질 수 있는 방법을 배우자 - 보디빌더는 거의 평발이 많다 - 주상골(= Navicular)은 아치의 가장...
    Date2018.03.25 Byflexmun Views928
    Read More
  2. [교정운동] 거위발건 , O/X 다리, / 아현동 헬스장

    [Toms test 시 TFL의 단축증상] 1. 고관절 신전의 대퇴 외전 2. 대퇴의 내회전 3. 슬개골의 외측 변위 4. 대퇴골 중심 하퇴 외회전 [ITB 마찰 증후군] - 대퇴의 외측상과와 걸려서 마찰 - 염증은 아주심하지 않은이상 X-ray로 나오지 않는다 초음파 검사를 받...
    Date2018.03.25 Byflexmun Views848
    Read More
  3. [교정운동] 도마스 테스트, TOMAS TEST, ITB 마찰 증후군 / 애오개 헬스장

    [Toms test 시 TFL의 단축증상] 1. 고관절 신전의 대퇴 외전 2. 대퇴의 내회전 3. 슬개골의 외측 변위 4. 대퇴골 중심 하퇴 외회전 [ITB 마찰 증후군] - 대퇴의 외측상과와 걸려서 마찰 - 염증은 아주심하지 않은이상 X-ray로 나오지 않는다 초음파 검사를 받...
    Date2018.03.25 Byflexmun Views909
    Read More
  4. [교정운동] 발아치 족궁을 위한 근육 3가지 / 공덕동 헬스장

    [발 바닥 아치를 살려주는 3가지 중심 근육] 1. 후경골근(= posterior tibial muscle) 기시: 경골의 뒷쪽면의 외측. 골간막, 비골의 뒤쪽 면의 근위부(= 몸쪽) 1/2 정지: 주상골의 조면, 입방골, 설상골, 2~4 중족골 종골의 제거 돌기(= 목말 받침돌기) 작용:...
    Date2018.03.25 Byflexmun Views1382
    Read More
  5. [교정운동] 발에 감각신경 / 염리동 헬스장

    [발에 감각신경이 많은 이유는,,,] -> 돌다리도 두들겨 보고 건너라 '지면의 불안정을 감지하기 위해' - 1분당 평균 110걸음, 보폭평균은 72cm이다 - 신경은 총 72km이다 - 발 먼저 잡아야 골반이 잡힌다. 문제가 발인 경우가 많다 원인은 움직이지 않...
    Date2018.03.25 Byflexmun Views867
    Read More
  6. [교정운동] 슬관절 신전 증후군 / 마포구 헬스장

    [슬관절 신전 증후군] - '슬관절 과신전 증후군'과 완전히 다른, 반대 되는 측면이 많다 - 슬개골, 슬개건, 경골 결절을 과도하게 잡아 당기는 대퇴사두근의 단축이 동반된 통증 증후군 ※ 과신전 증후군은 대퇴사두의 신장 약화가 원인 - 대퇴사두의 ...
    Date2018.03.25 Byflexmun Views877
    Read More
  7. [교정운동] 슬관절 과신전 증후군 / 아현동 헬스장

    [슬관절 과신전 증후군] - 임상에선 'Back Knee' 라고 부른다 - Sway Back에서 흔히 나타난다 - 햄스트링의 과도한 우세 - 둔근, 대톼 사두의 활성이 극도로 저하되어있다 - 무릎의 후방(= 오금)은 과도한 늘어짐에 의한 통증이 야기되며 전방은 과도한 압박...
    Date2018.03.25 Byflexmun Views1126
    Read More
  8. [교정운동] Q앵글, ASIS,PSIS,, 내반슬 넙다리뼈 돌림증후군 / 애오개 헬스장

    [What's Q - angle?] 1. ASIS - patella 중심선 2. Patella - tibial tubercle = 두선을 그엇을 때 이루는각 - 외반슬: 170도 이하 - 내반슬: 180도 이상 - 내반슬과 관련하여 쉽게 내반이 동반된 정강 넙다리뼈 돌림 증후군 = 외반이 동반된 정강 넙다리뼈 증...
    Date2018.03.25 Byflexmun Views1509
    Read More
  9. [교정운동] 정강 넙다리뼈 돌림증후군 / 공덕동 헬스장

    [Tibio femoral rotation syndrome] = 정강 넙다리뼈 돌림 증후군 - 내반/외반이 동반된 으로 경우가 2가지 이다 ※내반: 원위 뼈 끝부분이 몸통에 중심으로 가까워 지는 것 외반: 내반의 반대 - 구조적x 근육 불균형에 의한. [외반이 동반된 정강 넙다리 뼈 돌...
    Date2018.03.25 Byflexmun Views1238
    Read More
  10. [교정운동] 콥스각,ACL,PCL / 염리동 헬스장

    콥스각(= cob 's angle) - Johon Robert cobb(1903~1967) 정형외과 의사에 의해 고안 - 측만각도를 측정할때 쓰인다 - UEV(= Upper End Vertebra) - LEV(= Lower End Vertebra) - 척추 분절의 위/아래에 가장 많이 휘어진 곳에 선을 긋고 계속 그으면 좌측으로...
    Date2018.03.25 Byflexmun Views142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 52 Next
/ 52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