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운동정보

조회 수 39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살을 못 빼는 것은 의지력이 약한 탓일까? 
​​​​​​​stock-photo-woman-on-dieting-for-good-health-concept-close-up-female-using-hand-push-out-her-favourite-donut-1011447838.jpg

마른 사람이 살찌기 어려운 것처럼 뚱뚱한 사람도 살빼기 어려운 이유가 있다. 게으르고 의지력이 약한 탓만은 아니라는 것. 


다이어트 광고를 보면 살빼기는 무척 쉬운 일 같아 보인다. 하지만 다이어트가 쉬웠다면 누구나 환상적인 몸매를 가지고 있을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계속 다이어트를 시도하지만 실패할 확률이 높은 데는 이유가 있다. 

기업은 '반복 구매자'를 중시한다. 체중 감량에 실패해야 또 다시 다이어트 상품을 찾게 된다는 의미다. 다이어트 상품을 통해 이득(체중 감량)을 볼 수 있는 사람은 소수뿐이다. 소수만이 성공할 수 있는 패턴이 유지돼야 반복 구매자가 생긴다. 

이는 미네소타대학교 심리학과 트레이시 만 교수의 주장이다. 미국 '성격과 사회심리학회'로부터 도서상을 수상한 그의 저서 《야윈 돼지의 비밀》에 이 같은 다이어트 비밀이 담겨있다. 

다이어트 연구들도 내밀한 속사정이 있다. 연구 기간 실험참가자들은 체중이 줄어든다. 그런데 이들을 추적 조사해보면 어떨까? 결국 대다수가 다시 살이 찐다. 심지어 이전보다 체중이 더 늘어나기도 한다. 

정신신체의학(Psychosomatic Medicine)에 실린 연구가 한 사례다. 이 연구를 보면 다이어트 실험 종료 후 2년이 지난 뒤 실험참가자들을 추적 조사한 결과, 실험참가자의 83%가 실험 당시보다 살이 쪘다. 좀 더 많은 시간이 흐른 뒤 조사한다면 체중이 더욱 불어나있을 가능성도 있다. 

다이어트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보아야 할 문제라는 설명이다. 당장 체중을 줄이는데 성공했다 해도 결국 다시 살이 불어날 확률이 매우 높다.

이처럼 다이어트가 성공하기 어려운 이유는 '유전 암호(genetic code)'와 연관이 있다. 우리 몸은 유전자에 일생동안 '이런 체형과 몸무게를 유지하라'는 정보를 담고 있다. 일정한 체중 범위에 머무르려는 경향이 있는데, 트레이시 교수는 이를 '유전자에 설정된 몸무게 범위'라고 칭했다. 

즉 살을 빼도 다시 원래 몸무게로 돌아가려는 성질이 있다는 것이다. 마른 사람이 살찌기 어려운 것처럼 살이 찐 사람도 살빼기 어려운 유전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는 것. 


사람마다 자제력에도 차이가 있다. 트레이시 교수에 의하면 거식증을 앓는 사람은 음식을 자제하는데 있어 거의 완벽한 자제력을 발휘한다. 하지만 건강해지려는 관점에서는 오히려 의지력이 약하다. 

의지를 허무는 환경적 요인도 무시하기 어렵다. 스트레스가 많고 피로도가 높은 생활을 하는 사람은 자제력이 금방 소진되고, 다이어트에 대한 의지가 꺾인다. 즉 다이어트는 의지력에 의존하지 않아야 한다는 게 트레이시 교수의 조언이다. 식습관과 운동습관을 서서히 교정해나가면서 조금씩 변화를 꾀하는 현명한 전략을 써야 한다는 것이다. 


원문보기

http://m.kormedi.com/news/NewsView.aspx?pArtID=1226747&type=HealthNews#backPopup


  1. notice

    문관장 유투브 채널 바로가기

    유투브 채널 주소 https://www.youtube.com/channel/UCGuN1dYX5SGNCeT3RxhLYlw
    Date2021.10.07 Byflexmun Views3963
    read more
  2. 다이어트 의지력을 탓하지 마라!!!

    살을 못 빼는 것은 의지력이 약한 탓일까? ​​​​​​​ 마른 사람이 살찌기 어려운 것처럼 뚱뚱한 사람도 살빼기 어려운 이유가 있다. 게으르고 의지력이 약한 탓만은 아니라는 것. 다이어트 광고를 보면 살빼기는 무척 쉬운 일 같아 보인다. 하지만 다이어트가 쉬...
    Date2018.04.05 Byflexmun Views395
    Read More
  3. 뱃살빼는데 배스트 운동

    복부에 쌓여 있는 살을 빼면 건강을 확실하게 개선시킬 수 있다. 연구에 따르면, 뱃살은 심장 질환, 당뇨병, 몇 가지 암 위험 증가와 연관성이 있다.​​​​​​​ 영국의 트레이너이자 작가 줄리 버클리는 "뱃살을 뺄 생각으로 복부를 자극하는 크런치 같은 운동만 ...
    Date2018.04.03 Byflexmun Views426
    Read More
  4. 비만이 젊은 암환자를 늘리고 있다.

    50세 이후의 중장년층에서 많이 발생하던 암이 최근 들어 젊은 층에서 증가하는 이유가 비만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미국 케이스 웨스턴 리저브 대학교 연구팀에 따르면 미국에서 많이 발생하는 암 종류 20가지 중에서 9가지 암이 젊은 연령대에서 늘...
    Date2018.03.30 Byflexmun Views331
    Read More
  5. 자세만 바꿔도 기분이 바뀐다.

    혹독한 추위를 지나 포근한 봄이 찾아왔지만, 계속되는 미세먼지와 황사로 실망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이럴 땐 몸의 자세를 바꿔보자. 자세 변화만으로도 긍정적인 기분을 유도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파워 포즈(power posing)는 발을 적당한 너비로 벌...
    Date2018.03.29 Byflexmun Views441
    Read More
  6. 다이어트 성공여부는 방법이 아니라 유전적으로 정해져 있다.

    ​​​​​​​ 살을 아무리 빼도 살이 빠지지 않는데는 이유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4일 텍사스 A&M 대학 연구팀이 '유전학'지에 밝힌 새로운 연구결과에 의하면 어떤 다이어트법이 한 사람에서 효과가 있을지는 유전자 속에 이미 정해져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Date2018.03.28 Byflexmun Views393
    Read More
  7. 미세먼지 야외운동???? / 미세먼지 마스크 선택방법

    덴마크 연구진이 환경보건전망에 게재한 지난 연구에 의하면 공기오염이 심한 지역에서도 지속적인 야외운동을 즐기는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사망률이 낮은 것으로 보고됐다. 규칙적인 운동이 심장과 폐의 기능을 향상시키고, 각종 만성질환의 위험...
    Date2018.03.26 Byflexmun Views588
    Read More
  8. 족저근막염 비싼 깔창 무용지물이다.

    족저근막염 환자들은 고질적인 통증에 시달리지만 병원에 가도 뾰족한 대답을 듣지 못한다. 그러다보니 ‘독일 장인이 만든’ 류의 요란한 수식어가 달려 있는 기능성 보조물에 혹하기 마련. 하지만 그런데 돈을 쓰는 것은 낭비일 뿐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
    Date2018.03.22 Byflexmun Views519
    Read More
  9. 근육통이 없으면 근성장이 없는 것일까?

    운동을 하다 보면 가끔 컨디션이 좋을 때 운동이 정말 잘되었다고 느낄 때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를 제외하고는 운동이 잘 되었는지 잘 안되었는지를 가늠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역도나 크로스핏처럼 기록이나 최대 중량을 측정하는 운동이 아니라 웨이트 트레...
    Date2018.03.20 Byflexmun Views6292
    Read More
  10. 통증에 대한 잘못된 오해

    통증은 종류와 증상이 다양하다. 이 때문에 통증에 대해서는 잘못 알려진 사실도 많다. '프리벤션닷컴'이 통증 관련 통설의 진위 여부를 짚었다.​​​​​​​ 1. 허리 통증 치료에는 쉬는 게 좋다? 외상 후 회복 기간에는 침대에서 휴식을 취해야 한다. 하지만 아프...
    Date2018.03.14 Byflexmun Views477
    Read More
  11. 안티에이징 최선책은 운동이다

    나이가 들어가면서 일어나는 노화 증상을 막으려면 운동이 최선의 선택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아왔다.​​​​​​​ 영국 버밍엄 대학교 연구팀은 자전거 타기를 꾸준히 해오고 있는 남성 84명과 여성 41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대상자의 연령은 55~79세였다....
    Date2018.03.12 Byflexmun Views56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 101 Next
/ 101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