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영양정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다이어트가 항상 실패하는 데는 ‘요요 현상’이 한 몫 한다. 죽어라 굶고 힘들게 운동을 해서 겨우 살을 뺐다. 계속 그렇게 살 수는 없다. 그래서 체중이 몇 킬로그램 빠지면 어쩔 수 없이 음식의 유혹에 넘어간다. 그럼, 순식간에 살을 빼기 전 체중으로 돌아온다. 심지어 조금 방심하면서 폭식을 몇 번 하면 다이어트 전보다 살이 더 찐다.
​​​​​​​stock-vector-doodle-design-style-concept-of-healthy-lifestyle-controlling-body-mass-weight-dieting-and-fitness-347769188.jpg

왜 이런 일이 생길까? 가장 큰 이유는 근육량이다. 다이어트에 도전하는 상당수는 애초 근육량이 부족한 상태다. 심지어 체중이 정상 범위인데도 체지방률이 정상 수치인 18~23%를 훨씬 넘는 경우도 많다. 흔히 ‘마른 비만’이라고 불리는 상태다. 볼록 나온 아랫배, 허리 옆구리 허벅지에 덕지덕지 붙은 살은 마른 비만의 상징이다.


이런 상태에서 다이어트를 한답시고 적게 먹고, 유산소 운동을 하면 몸에서 무슨 일이 생길까? 빠져야 할 지방 대신 근육이 빠진다. 국내 최고의 비만 명의 박용우 강북삼성병원 교수는 최근에 펴낸 ‘지방 대사 켜는 스위치온 다이어트’(루미너스 펴냄)에서 이렇게 명쾌하게 설명한다.


“우리 몸은 근육보다 ‘지방’을 더 소중하게 여긴다. 지방이 많을수록 기아 상태에서 더 오래 버틸 수 있다. 그래서 식사량을 줄이면 몸속 지방을 쓰기보다는 근육단백을 꺼내서 당으로 바꿔 사용한다. 물론 지속적으로 식사량을 줄이면 결국 지방을 끄집어 쓴다. 한없이 근육단백만 꺼내 쓸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근육은 이미 줄어든 후다.”

그러다 탄수화물이 들어오면 쓰고 남은 것을 지방으로 바꿔 다시 몸에 저장한다. 그 결과가 바로 요요 현상이다. “굻다가 다시 먹고, 굶다가 다시 먹고”의 악순환이 반복된다. 이런 악순환을 끊지 않으면 절대로 다이어트에 성공할 수 없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악순환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

다이어트, 단백질은 마음껏 먹어라!

다이어트의 기본은 식사량 조절이다. 여기까지는 모두 다 고개를 끄덕인다. 그런데 모든 먹을거리를 무조건 다 끊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밥, 빵, 설탕, 설탕이 들어간 청량음료, 커피믹스 등 탄수화물을 일단 끊어야 한다. 탄수화물은 몸에 꼭 필요한 에너지원이다. 하지만 쓸 만큼 쓰고 남은 것은 지방으로 비축된다. 다이어트의 주적이다.

다만 탄수화물을 끊은 대신에 단백질을 꾸준히 섭취해야 한다. 박용우 교수는 “단백질 섭취량은 평소보다 늘려야 한다”고 강조한다. 단백질을 ‘평소보다 많이’ 먹고 규칙적인 운동이 더해지면 근육량을 유지할 수 있다. 더구나 단백질은 적당한 포만감을 느끼게 해줘서 배고픔의 고통으로부터도 해방시켜 준다.

배고픔의 고통, 바로 이 대목이 중요하다. 박용우 교수는 “포만감이 들면 렙틴이 분비되어 식욕이 가라앉고, 혈당도 낮은 수준으로 유지되어 인슐린 수치도 떨어진다”며 “몸이 지방을 사용하기에 유리한 환경이 조성된다”고 설명한다. 근육 손실은 최소한으로 하면서 체지방을 빼는 다이어트의 목적에 맞춤한 환경이다.

이제 실패하지 않는 다이어트의 첫 번째 절대 비법을 공개할 차례다. 탄수화물 섭취를 줄여라. 단, 단백질 섭취는 오히려 늘려라!

박용우 교수의 팁 하나!

단백질 섭취를 늘리는 일이 말처럼 쉽지 않다. 끼니마다 단백질 먹을거리를 챙겨서 먹는 일도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가격 부담도 만만치 않다. 박용우 교수는 “단백질 보충제 즉 단백질 셰이크를 복용하라”고 권한다. 박 교수뿐만 아니다. 자기 몸의 다이어트에 신경 쓰는 의사는 열이면 열 단백질 보충제를 복용한다.

박용우 교수는 “단백질 보충제는 근력 운동을 하는 사람이 먹는 특별한 먹을거리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말 그대로 단백질을 충분히 섭취하기 어려울 때 간편하게 먹을 수 있게 개발된 제품”이라고 설명했다. 박 교수는 “나도 점심과 저녁 사이에 간식으로 단백질 보충제를 물에 타서 먹고 있다”고 덧붙였다.

단백질 보충제는 우유로 치즈를 만드는 과정에서 나오는 유청이나 대두(콩)에서 단백질만 뽑아서 만든다. 박용우 교수는 “유청 단백질을 권한다”며 “동물성 단백질은 빠르게 흡수되어 근육 합성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포만감을 오래 지속시켜서 식욕을 억제하는 효과도 있다”고 설명했다.


원문보기

http://m.kormedi.com/news/NewsView.aspx?pArtID=1226857#backPopup


  1. 몸에 좋은 채소 TOP10

    건강에 여러모로 좋은 채소들 중에서도 최고의 채소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치트시트닷컴'이 미국 농무부의 데이터를 토대로 칼로리와 비타민, 루테인, 칼륨, 섬유질 함량 등을 고려해 채소의 순위 정했다.​​​​​​​ 1위 케일 케일을 먹을 때는 가급적 생으로 ...
    Date2018.05.14 Byflexmun Views321
    Read More
  2. 밀가루보다 쌀을 먹어야하는 이유

    2016년 양곡 소비량 조사 결과에 따르면 한국 사람의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61.9kg으로 나타나 사상 최저치를 기록했다. 1985년 1인당 쌀 소비량이 128.1kg이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쌀 소비량은 30년 동안 절반 수준으로 줄었다. ​​​​​​​ 이런 추세는 현대인...
    Date2018.05.09 Byflexmun Views468
    Read More
  3. 못생긴 사람도 특별한 장점이 있다

    깎아 놓은 듯 조각 같은 얼굴을 가진 사람은 다른 사람의 많은 관심과 호감을 얻는다. 경제적으론 어떨까? 높은 수입을 얻는 데도 도움이 될까?​​​​​​​ 선행 연구에서는 외적인 매력과 수입이 비례 곡선을 그렸다. '아름다운 외모'라는 프리미엄과 '추한 외모'...
    Date2018.05.08 Byflexmun Views427
    Read More
  4. 칼로리 간편하게 확인하기

    날이 따뜻해지면서 옷차림도 가벼워지고 있다. 따뜻한 계절이 다가올 때마다 매번 ‘살을 빼야지’ 다짐하는 우리들. 오늘도 입으로만 다이어트를 외치고 의지가 부족해 실천은 못하는 사람에게 다이어트 팁을 소개한다. ◇밥 먹는 방법에 신경 써야 음식을 입에 ...
    Date2018.05.04 Byflexmun Views360
    Read More
  5. 격렬한 운동도 면역체계를 떨어뜨리지 않는다

    마라톤과 같은 격렬하고 높은 지구력을 요구하는 운동을 하면 인체 면역활동을 억제해 바이러스나 박테리아에 감염될 확률이 높다는 기존 주장을 30여년 만에 뒤집는 새로운 연구결과가 나왔다.영국 바스대학(University of Bath) 연구팀은 지난 수십 년 간 지...
    Date2018.05.02 Byflexmun Views384
    Read More
  6. 쉬어도 항상 피곤한 뜻밖의 이유 10가지

    주말에 푹 쉬어도 피로가 잘 풀리지 않는다. 왜 그럴까. '웹 엠디'가 그 원인을 짚었다. ​​​​​​​ 1. 수면 무호흡증 코골이 등으로 인해 자는 동안 호흡이 잠시 멈추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때마다 잠을 깨게 되고 당사자는 이를 알아채지 못한다. 8시간 동안 ...
    Date2018.04.27 Byflexmun Views403
    Read More
  7. 대장암의 신호 용종 왜 생기는걸까? 예방법은?

    운동은 만병통치약일까? 평소에 운동하는 사람은 대장용종의 발생 위험이 10배 가까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흔히 대장내시경 검사를 통해 발견하는 대장용종은 성인 3명 중 1명꼴로 생긴다고 알려져 있다. 용종의 50%는 대장암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
    Date2018.04.26 Byflexmun Views505
    Read More
  8. 아스피린과 소염진통제를 함께 먹으면 위험

    아스피린을 소염진통제와 섞어 먹으면 위험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아스피린은 ‘하루 한 알’로 심장마비와 뇌졸중 등 심혈관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고 알려지면서 최근 주목받았다. 그러나 미국의 비영리 의료기관 클리블랜드 클리닉 연구진은 다른...
    Date2018.04.24 Byflexmun Views656
    Read More
  9. 피곤을 만든 식습관과 폐에 좋은 음식들

    간밤의 숙면이나 규칙적인 운동이 몸에 활력을 불어넣어 준다. 하지만 그래도 몸이 처지고 기운이 없다면 당신의 식생활을 한 번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 '허프포스트'가 피로를 부르는 4가지 식습관을 소개했다. 1. 먹지 않고 장시간 운동 아무것도 먹지 않고...
    Date2018.04.20 Byflexmun Views450
    Read More
  10. 무조건 굶으면 다이어트 실패한다. 먹고 싶은 것을 먹으며 살을 뺄수 있다.

    다이어트가 항상 실패하는 데는 ‘요요 현상’이 한 몫 한다. 죽어라 굶고 힘들게 운동을 해서 겨우 살을 뺐다. 계속 그렇게 살 수는 없다. 그래서 체중이 몇 킬로그램 빠지면 어쩔 수 없이 음식의 유혹에 넘어간다. 그럼, 순식간에 살을 빼기 전 체중으로 돌아...
    Date2018.04.19 Byflexmun Views34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 119 Next
/ 119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