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영양정보

조회 수 52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깎아 놓은 듯 조각 같은 얼굴을 가진 사람은 다른 사람의 많은 관심과 호감을 얻는다. 경제적으론 어떨까? 높은 수입을 얻는 데도 도움이 될까?
​​​​​​​stock-photo-diverse-people-collage-of-diverse-multi-ethnic-and-mixed-age-people-expressing-different-emotions-289427012.jpg

선행 연구에서는 외적인 매력과 수입이 비례 곡선을 그렸다. '아름다운 외모'라는 프리미엄과 '추한 외모'의 패널티가 재정 상태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 외모가 아름다운 사람에게는 거절이나 무시의 반응을 보이기 어려운 반면, 호감이 떨어지는 외모를 가진 사람에게는 가혹한 평가를 내린 결과라는 설명이다.


최근 영국과 미국 공동 연구팀이 이를 부분적으로 반박하는 연구 결과를 내놓았다. 가장 외모 호감도가 떨어지는 집단이 곧 가장 재정적으로 어려운 집단은 아니라는 것이다.


연구팀은 2만 명의 젊은 미국인을 대상으로 종적 연구를 진행했다. 실험 참가자가 16세 때를 시작으로 29세에 이를 때까지 총 3차례에 거쳐 인터뷰를 실시한 것.

각 인터뷰 때마다 연구팀은 신체 특징을 기준으로, 실험 참가자의 외모 매력도를 평가했다.

이번 연구에서도 이전 연구와 마찬가지로 외모 매력도와 수익은 비례했다. 그런데 한 가지 이 같은 맥락에서 벗어난 부분이 있었다. 외모가 '가장 매력적이지 않은' 부류에 속한 사람은 이 공식을 따르지 않았다.

연구팀은 외모 매력도와 수익의 비례 관계는 진화 심리학적 관점에서 해석했다. 매력적인 외모는 건강 상태가 양호하다는 지표로 작용하기 때문에 진화론적인 관점에서 좋은 평가로 이어지고, 더 많은 수입을 얻게 된다는 것.

하지만 외모와 수익의 상관성을 이처럼 진화론적인 관점으로만 볼 수는 없다. 연구팀은 외모 매력도가 가장 떨어지는 집단의 재정 상태가 최악이 아닌 것을 '경험에 대한 개방성'과 연관해 설명했다.

좋은 외모를 가진 사람은 경험에 개방적이다. 이런 경험은 삶에 긍정적으로도 작용하지만 부정적인 영향도 미친다. 반면 외모 매력도가 떨어져 개방성이 떨어지는 집단은 집중을 방해하는 오락적인 요인에 거리를 두고 자기 분야에만 집중할 수 있다. 나쁜 외모가 자기 분야의 성취를 이루는데 기여할 수 있었다는 해석이다.

단, 이번 연구에서 외모 매력도가 가장 떨어지는 집단에 속한 사람의 수가 매우 적었다는 점에서 실험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런 내용(Is There Really a Beauty Premium or an Ugliness Penalty on Earnings?)은 '비지니스 심리학 저널(Journal of Business Psychology)' 4월호에 실렸다.


원문보기

http://m.kormedi.com/news/NewsView.aspx?pArtID=1227076



  1. 인공감미료 혈당 수치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인공 감미료가 혈당 수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일리노이 대학교 어바나-샴페인 캠퍼스 식품 과학 및 인간 영양학과 연구팀이 인공 감미료에 관한 무작위 통제 시험 29가지를 분석한 결과, 인공 감미료만으로는 혈당에 영향을 주...
    Date2018.05.31 Byflexmun Views496
    Read More
  2. 다이어트에 도움이 되는 먹거리 8가지

    ​​​​​​​ 몸에 불필요한 지방이 쌓이는 걸 막기 위해서는 칼로리 섭취량을 조절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지방 소모량을 높이는데 도움을 주는 음식이 있긴 하지만 이런 음식을 먹는다고 해서 적극적으로 지방이 빠지는 건 아니다. 포만감을 갖게 해 덜 먹...
    Date2018.05.30 Byflexmun Views413
    Read More
  3. 뚱뚱하면 전염병에 걸리 확률이 낮다.

    비만은 만병의 근원으로 꼽힌다. 하지만 이와는 달리 감염병(전염병)에 걸렸을 때는 과체중이거나 비만인 사람이 정상 체중인 사람보다 사망할 확률이 훨씬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덴마크 오르후스 대학교 연구팀은 2011~2015년 감염 질환에 걸려 병원에 입원...
    Date2018.05.28 Byflexmun Views455
    Read More
  4. 부족한 주말에 몰아 자도 보충된다. 연구결과

    평일에 부족한 잠을 주말에 벌충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스웨덴 스톡홀름 대학교 연구진은 65세 이하 성인 3만8000명을 13년간 추적 조사, 하루에 5시간 이하만 자는 사람은 6~7시간 자는 사람에 비해 사망 위험이 65%나 높다고 밝혔다. 그러나 주중...
    Date2018.05.25 Byflexmun Views389
    Read More
  5. 지방을 먹는데 두려운 이유가 1950년대 가설 때문이라니

    1950년대 안셀 키스의 지질 가설이 발표된 후 현재까지도! 지방을 먹는 것에 대한 공포는 우리 식탁(혹은 무의식이랄까)을 점령할 만큼 상식으로 자리 잡고 있어요 (***지질 가설 1줄 요약 : 고지방 식습관이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높여 심장마비에 걸릴 확...
    Date2018.05.24 Byflexmun Views402
    Read More
  6. 미세먼지 지중해 식단으로 막아보자

    지중해식 식단을 따르면 대기오염으로 인해 건강에 미치는 폐해를 상쇄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뉴욕 대학교 연구팀은 6개 주의 성인 54만8699명을 대상으로 17년 동안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팀은 이 기간 동안 이산화질소와 미세 먼지를 비...
    Date2018.05.23 Byflexmun Views367
    Read More
  7. 몸에 좋은 채소 TOP10

    건강에 여러모로 좋은 채소들 중에서도 최고의 채소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치트시트닷컴'이 미국 농무부의 데이터를 토대로 칼로리와 비타민, 루테인, 칼륨, 섬유질 함량 등을 고려해 채소의 순위 정했다.​​​​​​​ 1위 케일 케일을 먹을 때는 가급적 생으로 ...
    Date2018.05.14 Byflexmun Views387
    Read More
  8. 밀가루보다 쌀을 먹어야하는 이유

    2016년 양곡 소비량 조사 결과에 따르면 한국 사람의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61.9kg으로 나타나 사상 최저치를 기록했다. 1985년 1인당 쌀 소비량이 128.1kg이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쌀 소비량은 30년 동안 절반 수준으로 줄었다. ​​​​​​​ 이런 추세는 현대인...
    Date2018.05.09 Byflexmun Views533
    Read More
  9. 못생긴 사람도 특별한 장점이 있다

    깎아 놓은 듯 조각 같은 얼굴을 가진 사람은 다른 사람의 많은 관심과 호감을 얻는다. 경제적으론 어떨까? 높은 수입을 얻는 데도 도움이 될까?​​​​​​​ 선행 연구에서는 외적인 매력과 수입이 비례 곡선을 그렸다. '아름다운 외모'라는 프리미엄과 '추한 외모'...
    Date2018.05.08 Byflexmun Views521
    Read More
  10. 칼로리 간편하게 확인하기

    날이 따뜻해지면서 옷차림도 가벼워지고 있다. 따뜻한 계절이 다가올 때마다 매번 ‘살을 빼야지’ 다짐하는 우리들. 오늘도 입으로만 다이어트를 외치고 의지가 부족해 실천은 못하는 사람에게 다이어트 팁을 소개한다. ◇밥 먹는 방법에 신경 써야 음식을 입에 ...
    Date2018.05.04 Byflexmun Views45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 123 Next
/ 123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