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영양정보

조회 수 44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a.jpg

 

췌장암은 환자 10명 중 1명만 5년 생존이 가능하다. 췌장암이 악명 높은 암인 이유는 암 생존율이 꼴찌이기 때문이다. 보건복지부 중앙암등록본부(2017년)에 따르면 췌장암 환자가 5년 이상 생존할 확률을 추정한 5년 상대생존율이 10.8%에 불과하다. 대장암(76.3%), 위암(75.4%)과 비교하면 예후가 얼마나 나쁜지 잘 알 수 있다.

췌장암의 생존율이 꼴찌인 이유는 암이 주변의 주요 장기로 퍼진 후에 병원을 찾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이다. 그만큼 증상을 알아채기 어려워 조기 진단이 쉽지 않은 대표적인 암이다. 확인이 됐을 때는 전이 된 경우가 많아 암 부위를 도려내는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1. 조금이라도 일찍 발견할 순 없을까

췌장암을 조기 발견하기 위해서는 평소 자신의 몸에 대해 관심을 가져야 한다. 사소한 통증이나 체중 감소 등 몸의 변화에 대해 잘 살펴 의심이 생기면 전문의를 찾아 상담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평소 건강 정보를 가까이 해 중요 질환에 대해 알아두는 것도 좋다.

류지곤 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교수는 "췌장암의 대표적인 증상은 복통, 황달, 체중 감소"라면서 "췌장암은 체력을 소모시켜 몸을 전체적으로 쇠약하게 만드는 질병이기 때문에 체중 감소가 발생, 대개 6개월 이내에 평소 체중의 10% 이상 줄어든다"고 했다.

2. 가장 흔한 명치 통증을 살펴라

췌장암 발병의 첫 신호는 통증으로, 가장 중요한 증상이기도 하다. 가슴 앞쪽 한가운데에 오목하게 들어간 곳이 명치인데, 이 부위의 통증이 가장 흔하다. 하지만 통증은 복부의 좌우나 상하를 가리지 않고 어느 곳에든 올 수 있다.

초기의 통증은 심하지 않을 수 있어 가벼운 속 쓰림으로 오인해 그냥 넘어가는 사람이 많다. 사실 복부의 통증은 췌장 주위로 암이 침투했다는 신호일 때가 상당수다. 통증이 없는 상태에서 병원을 찾은 환자보다 예후가 좋지 않은 이유다. 그래도 미세한 통증이 올 때 췌장암 전문의를 찾으면 빨리 대처할 수 있다. 통증이 심해진 후 병원을 찾으면 췌장암 치료의 경과가 좋지 않을 수 있다.

3. 통증으로 옆으로 눕게 된다

췌장 바로 뒤에는 척추가 자리 잡고 있다. 류지곤 교수는 "위를 보고 똑바로 누우면 췌장 종양이 척추에 눌려 통증이 발생, 바로 눕지 못하고 옆으로 눕게 된다. 통증은 복부의 위쪽에서 등으로도 전해져 동시에 아픔을 느낀다"고 했다.

췌장은 등 가까이에 있기 때문에 흔히 허리 통증을 호소한다. 하지만 국립암센터에 따르면 요통이 왔을 때는 병이 이미 꽤 진행된 경우가 많다. 암세포가 췌장을 둘러싼 신경으로 퍼지면 상복부나 등에까지 심한 통증이 온다.

4. 눈 흰자나 피부가 노랗게 변한다

눈 흰자가 노랗게 변하거나 소변색이 진해져 갈색 혹은 붉은 색을 띠면서 온 몸이 가려우면 췌장암을 의심해야 한다. 황달도 췌장암의 가장 흔한 증상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류지곤 교수는 "담도는 췌장 머리를 뚫고 지나가는데, 췌장 머리에 암이 생기면 담도가 눌리면서 담즙 분비에 장애가 생겨 황달이 생긴다"고 했다. 담도는 담즙(쓸개즙)을 운반하는 관을 총칭한 말이다.

황달에 걸렸다는 사실을 모르는 채 소변 색의 이상을 먼저 호소하는 환자가 많다. 대변의 색도 흰색이나 회색으로 변하고 피부도 누렇게 된다. 황달과 함께 열이 나면 막힌 담도에 염증이 발생했다는 신호다. 이때 막힌 부분을 신속히 뚫어 주지 않으면 패혈증으로 사망할 수도 있다.

5. 체중 감소, 소화 장애

뚜렷한 이유 없이 몇 달에 걸쳐 체중이 감소하는 증상도 흔히 나타난다. 평소 체중에서 10% 이상이 줄어든다. 암 때문에 췌액 분비가 적어지면서 흡수 장애, 식욕 부진, 통증으로 인한 음식물 섭취 감소, 그리고 췌장암의 전이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위나 대장에 이상이 없는데도 소화 불량 등이 지속될 때가 있다. 이는 종양이 자라면서 십이지장으로 흘러가는 췌액과 담즙의 통로를 막아 지방을 소화하는 데 문제가 생겼기 때문일 수 있다. 그럴 경우 대변이 물 위에 뜨고 옅은 색의 기름진 변을 볼 수 있다.

6. 췌장암은 어떻게 예방할까

암이 생기면 갑자기 당뇨병을 앓을 수 있고 이미 당뇨병이 있던 사람은 상태가 악화되기도 한다. 당뇨병은 췌장암의 원인일 수도 있지만 종양 때문에 생길 수도 있다. 따라서 가족력이 없이 갑자기 당뇨병이 생겼다면 췌장암의 발생을 의심해볼 수 있다.

그렇다면 췌장암은 어떻게 예방할까. 아직은 췌장암 예방 수칙은 따로 없다. 일상생활에서 위험요인들을 피하는 것이 최선이다. 흡연자가 췌장암에 걸릴 확률은 비흡연자의 1.7배 이상이다. 담배를 멀리 하고 간접흡연도 피해야 한다.

만성 췌장염도 췌장암 발생 위험도를 높이므로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 직계 가족 가운데 50세 이전에 췌장암에 걸린 사람이 한 명 이상 있거나, 발병 연령과 상관없이 두 명 이상의 췌장암 환자가 있다면 유전성을 의심하고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원문보기

http://www.kormedi.com/news/article/1227776_2892.html


  1. 비만이면 성질이 나빠진다.

    【미국 메릴랜드주 체비체이스】 비만남성에서 호르몬 변화와 성의 QOL은 비만도에 관련하지만 모두 감량 수술인 위우회로 수술을 받은 후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타대학 생식내분비학·불임증과 아마드 하무드(Ahmad Hammoud) 박사팀이 미국내분...
    Date2018.06.26 Byflexmun Views266
    Read More
  2. 살찌는 음식에만 끌린다면? 뇌 구조가 문제 (연구)

    육즙이 질펀한 숯불구이 꽃등심, 캐러멜 시럽을 듬뿍 얹은 아이스크림…. 건강에 해롭다는 걸 알지만, 거절하기 힘든 마성의 음식들이다. 죄책감을 느끼면서도 이런 음식에 탐닉하는 우리의 나약함을 뇌 과학으로 파헤친 연구가 나왔다. 결론부터 말하자...
    Date2018.06.26 Byflexmun Views374
    Read More
  3. 다이어트 할려면 8가지는 기본으로 지키자

    다이어트에도 전략과 전술이 필요하다. 무턱대고 굶기부터 시작하면 후유증으로 크게 고생할 수 있다. 먼저 기본 규칙을 세워 하루에 900칼로리 정도의 열량부터 줄이겠다는 목표를 세우는 게 좋다. 과도한 체중 감량 목표는 바람직하지 않다. 실생활에서 체중...
    Date2018.06.26 Byflexmun Views371
    Read More
  4. 뚱뚱하면 온몸이 염증물질로 가득, 운동으로 줄일수 있따.

    운동을 꾸준히 하면 비만한 사람의 혈액을 개선해 염증을 줄이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캐나다 오타와 대학교 연구팀은 뚱뚱한 것을 빼곤 건강에 이상이 없는 젊은 성인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팀은 이들에게 6주 동안 1주일에 세 ...
    Date2018.06.25 Byflexmun Views415
    Read More
  5. 달걀보다 단백질 많이 든 음식 8

    달걀에는 단백질이 풍부해서, 삶은 달걀 하나에는 단백질 6그램 들어 있다. 그러나 세상에는 달걀 외에도 매력적인 고단백 식품이 많다. 미국의 위민스 헬스(Women’s Health)가 ‘달걀보다 단백질이 풍부한 8가지 식품’을 추렸다. ◆ 말린 호...
    Date2018.06.17 Byflexmun Views291
    Read More
  6. 최악의 생존율, 췌장암의 징후 5가지

    췌장암은 환자 10명 중 1명만 5년 생존이 가능하다. 췌장암이 악명 높은 암인 이유는 암 생존율이 꼴찌이기 때문이다. 보건복지부 중앙암등록본부(2017년)에 따르면 췌장암 환자가 5년 이상 생존할 확률을 추정한 5년 상대생존율이 10.8%에 불과하다. 대장암(...
    Date2018.06.17 Byflexmun Views448
    Read More
  7. 미국 영양학회 학자들이 뽑은 질병 예방 식품 6

    미국 영양학회의 가장 큰 연례 학술회의인 ‘뉴트리션(Nutrition) 2018’이 질병에 도움이 되는 음식 여섯 가지를 꼽았다. ◆달걀= 당뇨병 위험을 낮춘다. 12주 동안 매일 한 알씩 먹은 당뇨 환자들은 공복 혈당과 인슐린 저항성이 개선됐다. 미국 ...
    Date2018.06.17 Byflexmun Views339
    Read More
  8. 다 같은 오메가? 종류별 효과 달라

    오메가 지방산은 불포화 지방으로, 포화 지방보다 건강에 좋다는 인식이 있습니다. 하지만 오메가 지방산의 종류, 또 종류별로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제대로 인지하는 사람들은 그리 많지 않습니다. 미국 영양 및 식이요법 학회(American Academy of Nutrition...
    Date2018.06.10 Byflexmun Views379
    Read More
  9. 살찌고 우울하고! 호르몬 이상 징후 9

    호르몬 수치가 급격하게 변하면 사춘기나 폐경, 어느 특정한 날과 연관시키기 쉽다. 호르몬 불균형은 남녀 모두에게 커다란 지장을 준다. 에스트로겐이나 프로게스테론 수치는 여성에게 테스토스테론은 남성에게 영향을 미친다. 호르몬은 나이와 운동 습관, 먹...
    Date2018.06.10 Byflexmun Views273
    Read More
  10. 설탕에겐 죄가 없다. 많이 먹는 게 문제

    - 당은 우리 몸에 꼭 필요, 넘쳐도 부족해도 건강 해쳐 #직장인 김지은(30)씨는 요즘 점심식사 후 식곤증에 시달립니다. 나른한 오후 4시, 졸음도 쫓고 당분도 보충할 겸 평소처럼 커피믹스와 초콜릿을 집어 들던 김씨는 망설임 끝에 결국 내려놓고 말았습니다...
    Date2018.06.10 Byflexmun Views35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 119 Next
/ 119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