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영양정보

조회 수 204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합성비타민 효능에 대한 논쟁은 지금도 진행중이다.

아래에 글은 합성비타민이 사망률을 높인다고 해서 10여년전에 전세계를 긴장시킨 코펜하겐쇼크에 대한 글이다.

임상실험으로 검증한 것이 아니라 메타분석을 통해서 기존 논문을 통계화 한것인데

맞는지는 알수 없다 아마 앞으로도 임상실험을 통한 검증은 불가능할것으로 보인다.

 

결론은 균형잡힌 식사로 영양보충을 하고 건강보조식품은 부족한 부분을 보충해주는 정도로 먹는 것이 현명하겠다...

 

 

===========코펜하겐 쇼크에 대해 ===================

따로 복용할 경우엔 비타민 A는 16%, 비타민 E 4%, 베타카로틴 7% 사망률 높아져
합성 비타민, 천연 비타민과 체내에서 효능 달라… 야채·과일 등 음식 통해 비타민 섭취해야
직접적 메커니즘은 구명 못 해… 비타민 C는 사망률에 큰 영향 안 끼쳐


서양 의학계에 지난 3월은 잔인한 달이었다. 인체에 유해한 활성산소를 막아주고 신체의 노화를 방지해 준다는 이유로 ‘생명의 묘약’이라 불렸던 비타민 A, 비타민 E, 베타카로틴이 건강에 도움을 주기는커녕 오히려 “사망률을 5% 이상 증가시킨다”는 충격적인 연구결과가 나온 것이다.

비타민의 효능에 대한 기존 학설을 정면으로 반박, 서양 의학계에 파문을 일으킨 이 연구는 놀랄 만한 내용으로 인해 ‘코펜하겐 쇼크’라고까지 불렸다. 연구 주체는 덴마크 코펜하겐 대학병원 연구소의 고란 젤라코비치(Goran Bjelakovic) 박사팀. 이 연구소는 덴마크 코레인 그룹(Cochrane Hepato-Biliary Group)이 지원하는 비영리 연구기관이다.

연구팀은 무려 23만2606명(44.5%는 여성)의 피실험자를 대상으로 기존의 학술논문 68건을 통계학적 방식으로 재분석해 그 결과를 ‘미국 의학협회보(JAMA·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2007년 3월 1일자(현지시각 2월 28일)에 게재했다. 제목은 ‘항산화 비타민 보조제와 사망률에 관한 통계적 분석(Mortality in Randomized Trials of Antioxidant Supplements for Primary and Second Prevention;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이다. 미국 의학협회보는 1883년 창간, 124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세계적 권위의 의학저널이다.

연구팀은 논문을 통해 “비타민 A, C, E, 베타카로틴을 함께 복용했을 경우엔 ‘보수적으로 잡아도’평균 5% 이상 사망률이 높아진다”며 “이를 따로따로 먹었을 경우, 비타민 A는 16%, 비타민 E가 4%, 베타카로틴이 7% 사망률을 높인다”고 발표했다. 연구팀은 하지만 “비타민 C의 경우엔 사망률 증감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며 “사망률에 영향을 끼친 직접적 메커니즘은 아직 구명하지 못했다”고 덧붙였다.
시중에서 팔리고 있는 대부분의 비타민 보충제는 이번에 논란이 된 비타민 A, C, E, 베타카로틴 중 최소 한 가지 이상을 함유하고 있다. 현재 유통되고 있는 종합 비타민은 대부분 화학적 방법으로 제조되고 있다. 세포 재생을 촉진시켜 얼굴 주름을 펴준다고 알려진 ‘레티놀’은 비타민 A의 화학명이며, 노화를 막아주고 정력을 증강시킨다고 알려진 ‘토코페롤’은 비타민 E의 화학명이다. 베타카로틴은 사람의 몸속에서 비타민 A로 전환되는 물질이다.

코펜하겐 연구팀은 논문을 통해 “매일 또는 이따금씩 평균 2년7개월간 비타민 보충제를 복용한 피실험자를 대상으로, 향후 평균 3년3개월간 신체의 변화 상황을 통계적으로 분석해 이같은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대상자의 평균 복용량은 비타민 A가 2만219IU, 비타민 E는 569IU였으며, 베타카로틴은 17.8㎎이었다. 여기서 IU(International Unit)란 비타민 효과를 측정하는 국제 단위로, ㎎으로 표시하기 어려운 미량의 영양소를 따질 때 사용한다. IU의 절대량은 영양소마다 차이가 있는데, 비타민 A 1IU는 0.3μg이며, 비타민 E 1IU는 0.667㎎이다. 베타카로틴 1IU는 0.6μg이다. 참고로 1μg은 1000분의 1㎎이다.
연구팀의 크리스티안 글루드(Christian Gluud) 박사는 “연구 결과는 우리에게도 충격적이었다”며 “질병을 치료할 목적으로 비타민 보충제를 먹지 말고, 비타민을 섭취하기 위해 보충제를 먹지도 말라”고 권했다.
 

미국 비타민 시장 21조원 규모

코펜하겐팀의 연구 결과는 서양 의학계를 발칵 뒤집었다. 논문 결과를 놓고 학계는 찬·반 양론으로 나뉘어 격렬한 논쟁이 벌어졌다. 제약업계에선 즉각적으로 “말도 안된다”며 반박하고 나섰다. 언론도 가만히 있지 않았다. 미국의 워싱턴 포스트, USA 투데이, 보스턴 글로브, 로이터, 영국의 더 타임스 등 세계 유력 언론은 일제히 이 내용을 주요 기사로 보도했다. 워싱턴 포스트는 3월 7일자로 논문 내용을 소개하면서 “이 결과는 2006년 5월의 미국 국립보건원(NIH·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발표와 상통한다”고 보도했다. 미국 NIH는 “미국 성인이 매년 비타민 보충제 구입에 쓰는 금액이 무려 230억달러(약 21조7120억원)에 달한다”며 “그 비중이 너무 과하다”고 지적한 바 있다. 샌프란시스코의 시장평가기구 스핀스(SPINS)는 “미국 비타민 보충제 시장이 2005년 한 해만 무려 18%의 성장률을 보였다”고 발표했다.

워싱턴 포스트는 “미국 성인의 절반이 어떤 형태로든 비타민 보충제를 복용하고 있다”며 “미국과 캐나다, 유럽을 합쳐 보충제를 먹는 사람 은 8000만~1억6000만명에 달한다”고 밝혔다. 이 신문은 “코펜하겐 연구소의 연구 결과는 이렇게 막대한 돈을 비타민에 지불할 가치가 있느냐에 관한 논의로 직결될 수밖에 없다”고 보도했다. USA 투데이는 미국 소비자과학센터의 영양학자 데이비드 샤트의 말을 빌려 “코펜하겐팀의 통계적 접근은 일리가 있다(well accepted)”면서 “비타민이 사망률을 증가시킨다는 연구결과도 흥미롭지만, 비타민이 긍정적 효능을 보이지 않았다는 연구 결과 또한 흥미롭다”고 비꼬았다.
보스턴 글로브지 2월 28일자는 연구에 참여했던 글루드 박사의 입을 빌려 “비타민 산업을 주도하고 있는 제약업계는 이같은 연구를 달가워하지 않을 것”이라고 보도했다. 이 신문은 이어 미국 터프츠 대학(Tufts University) 식품영양학과의 앨리스 리히텐슈타인 교수의 입을 통해 “연구의 메시지는 간단하다”며 “비타민 보충제가 아니라 식품을 먹으라는 것”이라고 역설했다.

유럽 의학계도 가만히 있지 않았다. 연구 결과가 공개되자 영국심장재단(The British Heart Foundation)은 “비타민 보충제를 먹지 말고 식품을 통해 천연 비타민을 섭취할 것”을 권장하고 나섰다. 영국심장재단의 엘렌 메이슨 박사는 “항산화 비타민 보충제가 심장병을 예방할 수 있다는 과학적 이유는 있다”면서도 “하지만 결정적 증거는 아직 제시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영국영양학회도 가세했다. 학회의 프랭키 필립스 박사는 “여러 가지 제제를 조합해 화학적으로 만든 비타민 보충제는 결코 천연 비타민을 대체할 수 없다”며 “식품을 통해 비타민을 섭취할 것”을 권했다. 박사는 “비타민 보충제가 균형잡힌 식사를 대체할 수 없다는 것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라며 연구 결과를 당연한 귀결로 받아들였다.

숙명여대 식품영양학과의 성미경 교수는 “이런 방식의 연구는 기존의 수십 가지 유의미한 실험을 모아 다시 분석한 것”이라며 “이런 방식으로 하면 편견이 들어갈 여지가 없기 때문에 신뢰도가 매우 크다”고 말했다.
‘비타민 미네랄 사전’을 쓴 최현석 박사(전 삼성제일병원 내과 과장, 서울 현내과 원장)는 미국의학협회보(JAMA)에 대해 “학계에서 많이 인용하는 저널”이라며 “이 논문은 의과대학 교과서에 실어야 할 정도로 의미가 크다고 본다”고 말했다.



[출처] 본 기사는 조선닷컴에서 작성된 기사 입니다


  1. 칼로리의 노예가 되지 말자.

    칼로리의 노예가 되지 말자. 우리가 살이찐 상태를 과연 우리몸이 좋아할까요?싫어할까요? 어떤분은 맛있는걸 먹고 게으른게 인간의 본성아니냐, 살이찌는게 자연스러운게 아니냐고 말하시는 분도 있지만 틀렸습니다. 우리 몸은 날씬한 상태를 훨씬 좋아합니다...
    Date2016.03.16 Byflexmun Views1505
    Read More
  2. 운동전 식사?

    운동인들이라면 운동 전에 이런 고민 해본적이 있을 것이다. 그 고민은 바로 "밥을 먹고 운동을 해야 하나? 빈속에 해야 하나?"이다. 어떤 사람들은 밥을 먹고 배가 두둑해야 운동을 할 때 잘 된다고 하는 사람이 있는 반면, 어떤 사람들은 빈속에 운동을 해...
    Date2016.03.13 Byflexmun Views1556
    Read More
  3. 타임지 선정 세계 10대 슈퍼푸드

    Date2016.02.28 Byflexmun Views1427
    Read More
  4. No Image

    술은 근육에 얼마나 나쁠까?

    알콜은 1g 당 7칼로리를 가지고 있지만 영양소가 하나도 없는 빈 칼로리 입니다. 보드카 샷 한잔에 100칼로리 정도이니까 낮은 칼로리는 절대 아닙니다. 알콜의 빈 칼로리가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등의 3대 영양소에 비해 체지방으로 쉽게 축적되진 않지만 ...
    Date2016.02.23 Byflexmun Views1745
    Read More
  5. No Image

    Carb "Back-Loading" for Super Size Gains 7 reasons why you SHOULD load-up on carbs at night

    설득력은 있는데 아직 실행하기에는 위험한 방법이라고 합니다. 참고만하세요.. I’m a huge advocate of eating so-called “junk” carbs at night. Sticky white rice, pizza, cherry turnovers—I want you to eat all of that in abu...
    Date2016.02.22 Byflexmun Views8739
    Read More
  6. SOUTH KOREAS TOP SELLING PRODUCTS

    SOUTH KOREAS TOP SELLING PRODUCTS 1 FREE ITEM Optimum Nutrition Gold Standard 100% Whey Muscle Building Whey Protein Powder* 24g of Whey Protein with Amino Acids for Muscle Recovery and Growth* 9.2 out of 10 Excellent Rate Product Supported ...
    Date2016.02.20 Byflexmun Views39085
    Read More
  7. No Image

    코펜하겐 쇼크 비타민 독인가? 약인가?

    합성비타민 효능에 대한 논쟁은 지금도 진행중이다. 아래에 글은 합성비타민이 사망률을 높인다고 해서 10여년전에 전세계를 긴장시킨 코펜하겐쇼크에 대한 글이다. 임상실험으로 검증한 것이 아니라 메타분석을 통해서 기존 논문을 통계화 한것인데 맞는지는 ...
    Date2016.02.14 Byflexmun Views2041
    Read More
  8. 최고의 영양학교수가 말하는 다이어트영양 3

    인슐린 분비에 필요한 포도당은 최소15~20g
    Date2016.02.09 Byflexmun Views1511
    Read More
  9. 최고의 영양학교수가 말하는 다이어트영양 2

    과도한 식사 준비가 20%정도 열양을 추가로 섭취하게 한다. 선수가 아닌이상 4번까지가 적당하다 2000명에 여성을 대상으로 실험한결과 3끼와 6끼 다이어트에 결과는 비슷했으나 유지는 3끼로 다이어트 한경우가 월등했다. 6끼는 위산이 나오는 간격이 좁아져...
    Date2016.02.09 Byflexmun Views1591
    Read More
  10. 최고의 영양학교수가 말하는 다이어트영양 1

    이호욱 교수님 서울대 영양학 석사 식품연구원 역임 국가대표 장미란선수 전담영양사 역임 ㅎ현 몬스터짐 소속, 코치아카데미 영양학교수 항상성 을 유지하기 위해 체온이 떨어지면 근육을 초당10만번 진동시켜 체온을 유지한다. *갈색지방 : 추운지방 사람에 ...
    Date2016.02.09 Byflexmun Views214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Next
/ 119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