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영양정보

조회 수 33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싱겁게 먹는 게 건강에 도움이 된다는 증거가 희박한데도, 의료기관이 사람들에게 저염식을 강권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woman-chef-kitchen-preparing-vegetable-450w-659740363.jpg

미국 인디애나 의과대학 애런 캐롤 교수는 뉴욕 타임스에 보낸 칼럼을 통해 저염식의 효과에 의문을 제기하는 연구가 최근 몇 년간 잇따랐지만 의료 기관들 대부분은 여전히 저염식을 강력하게 권고하는 건 문제라고 밝혔다.


예컨대 심부전증과 관련, 저염식이 효과적이라는 증거는 거의 없다. 심부전은 심장이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해 몸에서 필요로 하는 혈액을 충분히 보내지 못하는 상태다. 미국의 경우 570만 명이 이 병을 앓는다. 의사는 환자들에게 대개 심근의 수축을 강하게 해주는 약이나, 이뇨제를 처방한다. 여기에 ‘싱겁게 먹어야 한다’는 권고를 반드시 붙인다.

 

그러나 달 초 미국 의사협회지(JAMA)에 실린 영국 옥스퍼드 대학의 연구에 따르면 소금 섭취를 줄이는 것이 심부전 환자에게 효과가 있는지 불투명하다.


기존 연구들을 분석한 결과, 어떤 연구도 소금 섭취를 줄여서 조기 사망이나 심장 질환에 걸릴 위험이 줄었다는 걸 명쾌하게 입증하지 못했다는 것.


캐롤 교수는 “현재까지 나온 증거들은 저염식을 강력하게 권고하기에 부족하다”면서 “진행 중인 다른 연구들이 효과를 입증할 때까지 저염식을 강권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과학적 근거가 부족하더라도 소금을 덜 먹는 게 특별히 해가 될 건 없지 않을까?

 

이에 대해 캐롤 교수는 아직 확실하게 검증된 것이 없는 상황에서 저염식만 강조하면, 자칫 잠재적으로 유용한 다른 식이요법을 놓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예컨대 칼륨이나 섬유질이 그렇다. 칼륨과 섬유질은 나트륨의 배출을 돕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나트륨에 집착하는 저염식만 강조하면, 칼륨이나 섬유질 등 다른 식이요법의 장점을 간과하기 쉽다는 것.


건강에 좋다는 과학적인 근거가 뚜렷한 운동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지중해식 다이어트를 권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 적어도 소금 한 가지에만 집착하는 것보다는 훨씬 포괄적으로 건강한 생활습관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캐롤 교수는 “그러나 소금뿐만 아니라, 지방, 고기, 설탕 등과 관련하여 확신에 찬 권고를 하려면 그에 상응하는 과학적 증거가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원문보기

http://kormedi.com/1259657/저염식-과연-건강에-좋을까/

  1. 저염식 건강에 좋다는 근거가 없다.

    싱겁게 먹는 게 건강에 도움이 된다는 증거가 희박한데도, 의료기관이 사람들에게 저염식을 강권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미국 인디애나 의과대학 애런 캐롤 교수는 뉴욕 타임스에 보낸 칼럼을 통해 저염식의 효과에 의문을 제기하는 연구가 최근 몇 년간 잇따랐...
    Date2018.12.26 Byflexmun Views330
    Read More
  2. 대사질환있는 젋은 남성 전립선암 위험

    생활습관병이 전립선암 발병 위험을 높인다. 특히 젊은 남성에게서 영향이 크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암병원 비뇨기암센터 하유신 교수팀이 2015년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를 이용해 대사성 질환과 전립선암 발병 위험을 조사했다. 전립선암으로 진...
    Date2018.12.19 Byflexmun Views285
    Read More
  3. 연구결과 모유수유가 다이어트에 도움이 된다.

    아기에게 6개월 이상 모유를 먹인 엄마는 그렇지 않은 엄마에 비해 허리둘레가 날씬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아기에게 생후 6개월은 젖만 먹이는 것이 최선이라고 권장하고 있다. 그러나 모유 수유가 엄마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
    Date2018.12.18 Byflexmun Views242
    Read More
  4. 술마시고 먹으면 안좋은 음식들

    술을 마시면 식욕이 증가한다. 알코올이 식욕을 억제하는 뇌의 시상하부에 직접적으로 지장을 줘 고칼로리 음식에 대한 욕구를 증가시키기 때문이다. 하지만 술에 취한 상태에서 먹는 음식 가운데 건강에 해로운 것들이 있다. ‘코스모폴리탄닷컴’이 술을 마신 ...
    Date2018.12.13 Byflexmun Views412
    Read More
  5. 영화관에서 대장균에 오염된다.??

    극장에서 팝콘을 먹는 건 커다란 즐거움이다. 친구 또는 연인과 함께라면 즐거움은 배가된다. 2017년 6월 영화진흥위원회의 발표에 따르면 CGV, 메가박스, 롯데 시네마 등 복합영화상영관은 지난해 대비 관람객 수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전체 매출은 증가하는 ...
    Date2018.12.12 Byflexmun Views256
    Read More
  6. 겨울철 몸도 따뜻하게 하고 다이어트도 도움이 되는 먹거리

    몸속에서 열을 발산시키는 음식은 몸을 덥힐 뿐만 아니라 낙상을 예방하고, 다이어트를 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 몸이 따뜻해지면 근육이 유연해지고 탄력이 생겨 부상이 줄고, 신진대사가 활발해져서 에너지를 많이 소비하게 되기 때문이다. ‘푸드닷엔디티브이...
    Date2018.12.11 Byflexmun Views328
    Read More
  7. 비만이 금연도 어렵게한다.

    비만인 사람은 금연도 어렵다. 정상 체중보다 비만인 사람이 흡연 욕구가 2배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7일 미국 콜로라도 의과 대학 정신건강의학과 아만다 윌슨 교수팀이 40세서 69세의 성인 500명을 대상으로 비만도와 흡연 중독성을 비교 분석했다. 비만...
    Date2018.12.07 Byflexmun Views307
    Read More
  8. 빈혈이 있다면 커피보다 녹차를 마셔라

    빈혈 환자는 커피보다는 녹차를 마시는 것이 좋겠다. 커피를 많이 마시면 철 결핍성 빈혈이 심해질 수 있다. 4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커피를 많이 마시면 철 결핍 빈혈에 악영향을 미친다. 페리틴은 철분 저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단...
    Date2018.12.05 Byflexmun Views365
    Read More
  9. 운동과 함께 먹으면 내장지방이 줄어드는 먹거리

    배에 과도한 지방이 축적돼 아랫배가 불룩 튀어나온 상태를 복부 비만이라고 한다. 복부 비만은 내장 지방이 많은 것을 뜻한다. 이런 내장 지방이 많으면 우리 몸의 인슐린 작용을 방해하고 염증을 일으키는 물질이 늘어나 여러 가지 질병을 일으킬 수 있다. ...
    Date2018.12.03 Byflexmun Views411
    Read More
  10. 암보다 더 무서운 심혈관 질환 20대부터 조심하자

    송년 모임이 잦아지고 날씨가 추워지면서 바짝 긴장해야 할 사람들이 있다. 혼자서 등산을 즐기거나 흥분을 잘 하는 사람도 조심해야 하는 질환이다. 바로 협심증이다. 병이 심해지면 심근경색증으로 진행해 돌연사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협심증은 심장에 혈...
    Date2018.11.30 Byflexmun Views43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 119 Next
/ 119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