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영양정보

조회 수 199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유전자 변형 농산물(GMO,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에 대해 과학자들은 대부분 먹어도 안전하다는 쪽이지만, 소비자들의 호오는 크게 갈린다.

그런데 유전자 변형 농산물에 극렬하게 반대하는 이들은 사실 그에 대해 아는 바가 거의 없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hand-magnifying-glass-examining-broccoli-450w-649698616.jpg

미국의 콜로라도 대학, 캐나다의 토론토 대학 등의 연구진은 무작위로 모은 성인 501명을 대상으로 오엑스문제를 통해 유전자 변형 농산물에 대한 지식을 테스트했다. 생명체 복제는 유전적으로 동일한 개체를 만들어낸다(O), 동물의 유전자를 식물에 옮기는 것은 불가능하다(X) 같은 문제였다.


연구진은 또한 유전자 변형 농산물에 대한 참가자들의 입장을 물었다. 유전자 변형 농산물을 먹을 생각이 있는지, 아니면 규제를 하는 것이 옳다고 보는지, 만약 그렇다면 항의 시위에 참가하거나 반대 단체에 기부하는 등 적극적으로 행동할 뜻이 있는지 묻고 7점 척도로 입장의 강경함을 측정했다.


마지막으로 연구진은 참가자들로 하여금 유전자 변형 농산물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는지, 자신의 지식에 대해 직접 평가를 내리게 했다.


그 결과 유전자 변형 농산물에 대해 강하게 반대하는 사람일수록 그에 대한 지식은 부족하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또 아는 게 없는 사람일수록 자기가 제일 잘 안다고 여기는 경향이 강했다.


논문의 주 저자 필립 M. 페른바흐 교수는 “극단적인 신념은 자기 지식을 과대평가하는 것에서 생겨난다”면서 “우리는 생각만큼 많은 것을 알고 있지 못하며, 판단을 내리기 위해서는 더 깊은 공부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언제나 기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 결과(Extreme opponents of genetically modified foods know the least but think they know the most)는 ‘네이처 인간 행동(nature human behaviour)’에 게재되었다.


원문보기

http://kormedi.com/1261847/유전자-변형-농산물-모르는-사람이-더-반대-연구/



아래는 GOM에 관한 글입니다.
참고하세요
유전자변형생물체에 관한 모든 것!

제 4기 KBCH 대학생 기자단 김보선입니다.

이번에 다룰 주제는 바로


GMO의 장점과 단점입니다! 




그러기에 앞서 먼저 GMO란 무엇인지?!
그 정의에 대해 먼저 알아볼까합니다.

  
 GMO는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의 줄임말입니다.
해석하자면 유전자변형생물체가 되겠네요.

현대생명공학기술을 이용하여,
새롭게 조합된 유전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식물, 동물, 미생물을 뜻합니다.

LMO라는 단어도 혹시 들어보셨나요? 

Living Modified Organism의 약자인데,
이는 그 자체 생물이 생식, 번식이 가능한 것,
즉 살아있다는 것을 강조하는 용어입니다.

주로 생물다양성협약과 바이오안전성의정서 등
국제협약에서 주로 사용하는 용어지요!

두 용어의 차이점에 대해 예시를 들어 설명해드릴께요.



여기 유전자변형을 한 옥수수 낱 알이 있습니다.
이것을 심으면 새로운 옥수수가 자라지요. 
이렇게 생식, 번식을 하는 살아있는 개체 LMO라 합니다.

이 옥수수를 가공하여 가루로 만들어봅시다.
그럼 이 옥수수는 더 이상 생식과 번식이 불가능하겠죠?
이것이 바로 GMO 입니다!




이제 GMO의 장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저는 왜 GMO를 만들까? 
라는 문제에 초점을 맞췄고,

GMO를 만들어 활용하는 분야와 
각각의 장점에 대해 설명드릴께요.




1. 유전자변형작물 (GM작물)


많은 분들이 알고계시듯 
많이 알려지고 키워지는 GMO는 
보통의 경우 곡식 등의 작물이죠?



GM작물은 주로 기존 식물에게 
해충저항성 유전자나, 제초제내성 유전자를 주입하여 발현시킵니다.
이는 자연스레 작물의 생산량 증가로 이어집니다.

 생산량이 증가하다보니 전 세계적인 문제 중 하나인 
식량난을 극복할 효과적인 대안으로 각광받고있습니다.

 작물 자체적으로 해충에 저항 할 수 있어서,농약 사용이 감소합니다. 
이는 곧 환경오염문제에 대한 해결책이 될 수 있습니다.

 제초제 내성으로 잡초관리가 편해져 인건비가 절약되는 효과가 있습니다.
해충에 대한 관리 또한 줄어들어 앞서 말했듯 인건비 절감이 되겠네요.

인건비가 절감되고, 생산량이 증대되므로 자연스레 농가의 수익이 증대됩니다.

이렇듯 단위 토지에 대한 생산 효율이 증가된다면, 추가적인 식량을 얻기 위해 
산림이나 밀림을 파괴하고 농지로 개간하는것도 막을 수 있습니다.

이는 농약 사용 저감와 더불어 생물 다양성을 보전 할 수 있는 방안입니다.

영양적인 면을 개선한 GM작물도 개발되어 
인류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가 비타민A 성분을 함유한 '황금쌀' 입니다.
이는 영양이 부족한 상태의 사람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을것입니다.

기타 고부가가치의 작물들을 개발하여 
경제적인 이익도 노려볼 수 있을것입니다.

GM 작물 외에도 다양한 유전자변형생물체들이 있습니다. 



 2. 환경 문제해결 

최근에는 환경오염 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GMO를 이용한 시도를 하고있습니다. 

중금속 등의 오염원을 정화하는 식물, 기름을 흡수하는 미생물 등 
기존의 생물의 효율을 높이거나 새로운 효과를 갖도록 합니다.





3. 산업과 에너지 생산에 이용  

또한, GMO는 산업에도 이용됩니다.

기존의 석유화학제품 (플라스틱 수지, 화석연료) 등을 대체할 목적으로
GMO에서 유래한 새로운 물질들을 사용합니다. 

우리 주위에는 수 많은 플라스틱 제품들이 있습니다.
그러나  대부분 석유같은 화석연료에서 유래한 물질이죠.
그렇기에 자원 고갈로 인한 문제를 개선해 줄것이라 기대하고있습니다.  

또한 플라스틱의 경우 자연에서 분해되지 않아 
재활용만이 유일한 해답이었으나, 
최근 생분해성 플라스틱이 적극 개발되고 있습니다. 


또한 환경호르몬 등 인체에 유해한 물질을 함유한
 잉크나 접착제 등도 바이오 물질로 대체되는 중입니다.

 콩기름 잉크로 인쇄된 화장품 포장상자 - 본인 촬영 


대표적인 예로, 콩기름으로 만든 잉크가 있습니다.
콩기름 잉크는 기존 잉크로 인쇄 중 발생하는 대기오염물질인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발생을 현저히 줄일 수 있어 각광받고 있습니다. 

또한 기존의 화석연료를 대체할 바이오연료를 생산할때
효율을 높이기 위해 GMO를 이용합니다.

이렇듯 GMO를 통해 자원 절감 효과로 인한 지속가능한 개발과, 
환경보전의 효과를 동시에 기대 할 수 있습니다. 



 4. 의약분야에 활용


마지막으로 GMO를 통한 의약물질 생산입니다.

생명과학을 배워본 분들은 아시겠죠?
대표적인 예가 바로 대장균(E.Coli ) 입니다. 

1982년 유전자변형을 한 대장균을 이용하여,
인슐린생산에 성공하게 됩니다.
당뇨병 환자들에게 희망을 열어준것이죠.

현재까지도 다양한 의약품 생산에 GM미생물들이 쓰이고 있습니다.

GM작물이나 GM동물로부터도 
의약품이나 각종 치료물질들을 생산해내고 있습니다. 
 
GM 산양에서 생산하는 항혈액응고제, 
고셔병 치료제를 생산하는 GM 당근이 대표적입니다.

또한, 의약품은 아니지만 
전염병을 막기 위해 GMO를 이용하기도 하는데요.

지난 2016년, 지구촌을 강타했던 전염병들 중
지카바이러스가 있었지요.

이는 이집트숲모기를 통해 전파가 되는데,
GM 모기를 이용하여 유충들이 성충이 되는것을 막습니다.
최종적으로 모기의 개체군이 감소하게 되지요.

이렇듯 GMO는 질병의 예방과 치료 방법을 찾고,
여러 난치병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입니다.

대한민국은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의약바이오기술을 뽑기도 했지요. 






다음으로는, GMO의 단점에 대해서 소개드리겠습니다.


칼에는 양날이 있듯이, GMO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많은 시민단체(NGO)와 소비자들을 중심으로
GMO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는 중이죠.

지금부터 GMO의 여러 문제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첫째로는, GM작물이 오히려 제초제 사용을 증가 시킬 수 도있다는 것입니다.
 제초제 내성 형질을 가진 작물은 제초제에 죽지를 않지요.
그렇기에 농부들은 마음껏 제초제를 사용할것이고,
이는 곧 환경오염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MBC 무한도전 방송화면 캡쳐" 


또한 이런 제조체에 내성이 생기는 슈퍼잡초가 생길 가능성도 있습니다.

둘째, 해충저항성 형질도 마찬가지입니다. 
이로 인하여 내성을 가진 해충의 출현가능성이 있습니다.
심지어 박멸 목적이 아니었던 다른 곤충의 감소를 야기할 수 도있지요.

이는 곧 생태계를 파괴하는 것이며
자연 본래의 성질을 인위적으로 변화시킨것입니다.

셋째, 의도치 않게 유전자변형생물의 유전자가
비슷한 유전자를 가진 다른 생물에게 전이 될 수 도있습니다.

이로 인해 생태계가 교란되고, 토종 품종이 손실될 수 있습니다. 

이렇듯, GMO에는 환경에 위해를 끼칠 위험이 존재합니다.

넷째로, GM작물의 개발과 상업화에는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모됩니다.
그에 따라 몇 개의 다국적 종자기업에서만 GM작물을 파는 실정입니다.
이로 인하여, 독과점 현상이 벌어지고 있으며,
높은 로열티로 인해 농약과 종자를 사는 농민들에게 
경제적인 부담을 야기합니다.


전 세계적으로 재배되는 많은 종자들이
몬산토라는 기업의 특허권에 있습니다.
제초제와 그것에 내성을 갖고있는 
GM 작물의 종자를 같이 판매함으로써
막대한 이득을 취하는중입니다.


마지막으로 GMO의 가장 큰 우려되는 점은

바로 '인체안전성' 입니다.

GMO의 가장 논란이 되는 점 이기도 하지요.




"유전자변형생물체로 만든 식품이
우리의 밥상에 올라온다."




유전자변형작물의 역사는 그리 길지 않습니다. 

1996년 최초의 상업용 GM작물인 
'무르지 않는 토마토'가 만들어졌고,
1997년 최초로 GM옥수수와 GM콩을 상품화합니다.

그렇기에 장기간 섭취시 인체를 비롯한 생물에게 
어떠한 영향이 있을지 불확실합니다.

또한 기존에 존재하던것이 아닌 
인공적으로 변형된 작물이기에

알레르기를 유발할 수 도 있으며,
예기치 못한 독성물질이 발견될 수 도있습니다.

기존의 영양성분이 변화될 수도 있으며
인체에게 항상제 내성을 발생시킬 수 도 있습니다.

지금도 여러 과학자들이 GM작물의 인체 유해성에 관해서 연구중입니다.
그러나 아직까지 GMO는 확실한 안전성이 입증되지 않았습니다.



GMO는 이미 현실로 다가왔습니다.

GM작물의 재배는 현재진행형이며,

인류가 마주한 여러 위기를 극복하기위해 연구하고 개발되는중입니다.

새로운 의약품을 개발하고, 식량난을 해결하며
사람을 살릴 수 도 있지만


어쩌면 환경과 생태계를 교란시키며, 
인체위해성, 농업인의 경제부담으로
사람을 죽일 수 도 있습니다.

GMO는 앞으로도 끊임없이 논의될 것입니다.
인류의 미래가 달린 중요한 문제기 때문이죠. 

출처
​​​​​​​https://m.blog.naver.com/1st_starz/220971551534

  1. 술먹는 순서와 숙취는 무관하다.

    술은 좋지만 숙취는 무섭다. 그래서 사람들은 저마다의 예방법을 가지고 있다. 물을 많이 마신다든지, 주종을 섞는 건 피한다든지, 독주에서 시작해 약한 술로 끝낸다든지. 그러나 미국의 주간지 ‘타임’이 8일(현지 시각) 보도한 바에 따르면, 적...
    Date2019.02.11 Byflexmun Views404
    Read More
  2. 식사량 조금만 줄여도 수면과 성생활이 좋아진다.

    식사량을 조절해 칼로리 섭취를 줄이면 체중 감량 이상의 효과가 있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동물을 대상으로 30년 동안 실시된 연구에서는 칼로리 섭취를 줄이면 수명을 연장하고, 만성 질환을 물론 몇 가지 암 발병 위험까지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
    Date2019.02.08 Byflexmun Views357
    Read More
  3. 약먹을때 주의해야할 음식들...

    약의 효과를 제대로 보려면 같이 먹는 음식에도 유의해야 한다. 약물과 음식 간 상호 작용으로 부작용이 생길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약사의 복약 지도에도 불구하고 무심코 약과 상충되는 음식을 먹을 수가 있다. ‘뉴스닷컴닷에이유’ 자료를 토대로 약 먹을 ...
    Date2019.02.07 Byflexmun Views390
    Read More
  4. 짭짤한 맛이 왜 당기는 걸까?

    기름진 음식을 자주 먹거나 달달한 간식을 즐겨먹는다면 나쁜 식습관이 몸에 밴 상태다. 또 하나 잘못된 식습관은 ‘짜게 먹기’다. 건강한 성인 기준 하루 권장되는 나트륨 섭취량은 2300밀리그램 이하다. 미국심장협회는 보다 이상적인 기준으로 1500밀리그램...
    Date2019.02.01 Byflexmun Views380
    Read More
  5. 항생제 내성이 생기지만 이렇때는 먹어야한다.

    항생제는 꼭 필요할 때만 먹어야 한다. 남용하면 내성이 생기기 때문이다. 그렇게 되면 정작 중요한 순간에 약이 듣지 않아 위험에 처할 수 있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감기를 포함해 대부분의 호흡기 감염에는 항생제가 필요하지 않다. 콧물이 흐르고, 재채기...
    Date2019.01.29 Byflexmun Views648
    Read More
  6. 해독에 도움이 되는 음식

    도시에 사는 현대인들의 신체는 각종 공해 물질로 오염이 돼 있다. 하지만 영양 전문가들은 “몸에 독성 물질이 많아도 과일, 채소, 유기농 식품 등을 먹으면 자연스럽게 해독할 수 있다”고 말한다. 몸속을 대청소하면 소화가 잘 될 뿐 아니라 전반적으로 행복...
    Date2019.01.28 Byflexmun Views264
    Read More
  7. 화제의 다이어트법 먹는 단식 FMD식단이란?

    ‘먹는 단식’인 FMD(Fasting-Mimicking Diet) 식단이 화제다. 20일 방송된 ‘SBS스페셜’에서는 음식을 먹고도 단식만큼의 효과를 낼 수 있다는 FMD 식단을 소개했다. 이 식단은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학교(USC) 대학의 발터 롱고 박사가 장수와 질병의 예방법으...
    Date2019.01.22 Byflexmun Views596
    Read More
  8. 살쨀려면 공복을 얼마나 유지해야할까?

    효과적으로 다이어트를 하려면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음식종류 및 섭취시간, 수면시간, 스트레스, 운동 등을 잘 조절해야 살빼기에 성공할 수 있다. 불규칙한 생활로 몸의 생체리듬이 깨지면 코르티솔, 멜라토닌, 렙틴, 인슐린 등의 호르몬이 제대로 ...
    Date2019.01.21 Byflexmun Views433
    Read More
  9. 미세먼지 대처법 눈꺼플을 씻자

    하루 반짝 하늘이 맑았다가, 오늘(18일) 오후부터 주말까지 다시 미세먼지 나쁨 상태로 접어든다. 최근 미세먼지가 연일 최악의 농도를 보이며 병원은 환자들로 붐볐다. 안과도 예외는 아니다. “눈이 너무 건조해요. 요즘 특히 심해진 것 같아요.” (라식수술을...
    Date2019.01.18 Byflexmun Views402
    Read More
  10. 유전자 변형 농산물GMO) 모를수록 반대한다.

    유전자 변형 농산물(GMO,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에 대해 과학자들은 대부분 먹어도 안전하다는 쪽이지만, 소비자들의 호오는 크게 갈린다. 그런데 유전자 변형 농산물에 극렬하게 반대하는 이들은 사실 그에 대해 아는 바가 거의 없다는 연구 결과가 ...
    Date2019.01.17 Byflexmun Views199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 119 Next
/ 119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