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영양정보

조회 수 38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기름진 음식을 자주 먹거나 달달한 간식을 즐겨먹는다면 나쁜 식습관이 몸에 밴 상태다.

또 하나 잘못된 식습관은 ‘짜게 먹기’다. 건강한 성인 기준 하루 권장되는 나트륨 섭취량은 2300밀리그램 이하다. 미국심장협회는 보다 이상적인 기준으로 1500밀리그램 이하를 제시한다.

woman-chef-kitchen-preparing-vegetable-450w-659740363.jpg

소금에 대한 식탐이 있다면 설 연휴 국, 찜, 조림 등으로 한 상 가득 채운 상차림이 반갑겠지만 식사량 조절은 쉽지 않을 것이다. 이처럼 짭짤한 음식이 자꾸 당긴다면 여기엔 몇 가지 원인이 있을 수 있다.


◆ 과도한 운동량= 운동을 하고 땀을 흘리면 체내에서 나트륨이 빠져나간다. 운동을 심하게 할수록 고갈되는 나트륨의 양도 많아진다. 이럴 땐 혈청 나트륨 수치를 정상으로 회복하기 위해 소금이 당기게 된다.


장거리 달리기를 하거나 격렬한 신체활동을 요하는 노동을 하고 나면 전해질 불균형, 즉 칼륨과 나트륨의 균형이 깨지면서 짠 음식에 대한 식탐이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럴 때 스포츠 음료를 마시면 빠르게 전해질 균형을 정상으로 되돌릴 수 있다. 자신만의 스포츠 음료를 만드는 방법도 있다. 물에 소금을 넣고 약간 넣고, 꿀 한 스푼, 생강, 레몬즙이나 라임즙 등을 더하면 된다.


◆ 탈수 증세= 체내에 수분이 부족해도 소금이 당길 수 있다. 수분이 부족하면 몸이 정상적으로 기능하기 어려워 무언가를 더 먹거나 마시라는 신호를 보낸다. 특히 임신부에게 이런 현상이 많이 나타난다. 입덧으로 구토를 자주 하면 탈수에 이르기 쉽기 때문이다.


◆ 생리 전= 월경을 시작하기 전 짠 음식이 당기는 여성들이 있다. 월경전증후군의 한 증상으로 소금에 대한 식탐이 일어나는 것. 문제는 소금을 많이 먹으면 월경전증후군의 다른 증상들이 더욱 심해진다는 점이다. 소금 섭취량이 늘면 체내에 수분이 정체해 있게 되는데, 이로 인해 복부팽만감처럼 속이 더부룩하고 불편한 증상이 심해진다.


◆ 스트레스= 친구와 다툰 날 혹은 교통체증에 시달린 날 감자 칩 한 봉지를 사들고 집으로 귀가하는 사람들이 있다. 스트레스 혹은 지루함 등이 소금에 대한 식탐을 일으킨다는 의미다.


소금에 대한 이 같은 욕구는 소금 섭취가 일시적으로 기분을 좋게 만드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짠 음식을 먹을 때 뇌의 쾌락 중추에서 도파민이라는 행복 호르몬이 방출되면서 기분이 향상된다.


◆ 인간의 본능= 사람은 본능적으로 생존을 위해 소금을 찾기도 한다. 살기 위해 꼭 필요하지만 쉽게 찾을 수 있는 미네랄 성분은 아니었기 때문에 인류는 소금에 대한 욕구가 생겼다는 이론이다. 하지만 오늘날은 식당 테이블마다 소금 통이 놓여있을 정도로 흔한 조미료가 됐다. 그만큼 무의식적으로 과잉 섭취할 위험이 높으니 주의가 필요하다.


◆ 건강상 이슈= 드물지만 건강에 문제가 있어 소금이 당길 수도 있다. 호르몬 생산에 이상이 생기는 애디슨병에 걸리면 극도의 피로감, 근육이나 관절 통증, 탈모, 저혈당, 과다색소침착 등의 현상이 일어난다. 이 질환이 있는 사람 중 소금 식탐을 보이는 사람들이 있다.


미국희귀질환기구에 의하면 유전자 질환인 바터증후군이 있어도 짠 음식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신장 기능이 손상돼 나트륨 수치를 회복하는 능력이 떨어지면서 소금에 대한 식탐이 일어난다는 것.


◆ 소금 식탐 어떻게 극복할까= 소금을 과잉 섭취하면 당뇨, 신장병, 심장병, 고혈압 등의 위험이 높아진다. 소금 섭취량을 적절히 조절해야 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소금이 당길 땐 고춧가루처럼 매운 맛을 이용하거나 허브 같은 또 다른 향신료를 이용해 음식의 맛을 내도록 한다. 소금을 완벽히 대체할 수는 없지만 어느 정도 식탐을 해소하는데 도움이 된다. 처음에는 힘들지만 시간이 흐르면 점점 이 같은 새로운 맛을 즐기는 여유가 생긴다.


원문보기

http://kormedi.com/1281532/짭짤한-게-당기는데-이유가-뭐죠/

  1. 술먹는 순서와 숙취는 무관하다.

    술은 좋지만 숙취는 무섭다. 그래서 사람들은 저마다의 예방법을 가지고 있다. 물을 많이 마신다든지, 주종을 섞는 건 피한다든지, 독주에서 시작해 약한 술로 끝낸다든지. 그러나 미국의 주간지 ‘타임’이 8일(현지 시각) 보도한 바에 따르면, 적...
    Date2019.02.11 Byflexmun Views404
    Read More
  2. 식사량 조금만 줄여도 수면과 성생활이 좋아진다.

    식사량을 조절해 칼로리 섭취를 줄이면 체중 감량 이상의 효과가 있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동물을 대상으로 30년 동안 실시된 연구에서는 칼로리 섭취를 줄이면 수명을 연장하고, 만성 질환을 물론 몇 가지 암 발병 위험까지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
    Date2019.02.08 Byflexmun Views357
    Read More
  3. 약먹을때 주의해야할 음식들...

    약의 효과를 제대로 보려면 같이 먹는 음식에도 유의해야 한다. 약물과 음식 간 상호 작용으로 부작용이 생길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약사의 복약 지도에도 불구하고 무심코 약과 상충되는 음식을 먹을 수가 있다. ‘뉴스닷컴닷에이유’ 자료를 토대로 약 먹을 ...
    Date2019.02.07 Byflexmun Views390
    Read More
  4. 짭짤한 맛이 왜 당기는 걸까?

    기름진 음식을 자주 먹거나 달달한 간식을 즐겨먹는다면 나쁜 식습관이 몸에 밴 상태다. 또 하나 잘못된 식습관은 ‘짜게 먹기’다. 건강한 성인 기준 하루 권장되는 나트륨 섭취량은 2300밀리그램 이하다. 미국심장협회는 보다 이상적인 기준으로 1500밀리그램...
    Date2019.02.01 Byflexmun Views380
    Read More
  5. 항생제 내성이 생기지만 이렇때는 먹어야한다.

    항생제는 꼭 필요할 때만 먹어야 한다. 남용하면 내성이 생기기 때문이다. 그렇게 되면 정작 중요한 순간에 약이 듣지 않아 위험에 처할 수 있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감기를 포함해 대부분의 호흡기 감염에는 항생제가 필요하지 않다. 콧물이 흐르고, 재채기...
    Date2019.01.29 Byflexmun Views648
    Read More
  6. 해독에 도움이 되는 음식

    도시에 사는 현대인들의 신체는 각종 공해 물질로 오염이 돼 있다. 하지만 영양 전문가들은 “몸에 독성 물질이 많아도 과일, 채소, 유기농 식품 등을 먹으면 자연스럽게 해독할 수 있다”고 말한다. 몸속을 대청소하면 소화가 잘 될 뿐 아니라 전반적으로 행복...
    Date2019.01.28 Byflexmun Views264
    Read More
  7. 화제의 다이어트법 먹는 단식 FMD식단이란?

    ‘먹는 단식’인 FMD(Fasting-Mimicking Diet) 식단이 화제다. 20일 방송된 ‘SBS스페셜’에서는 음식을 먹고도 단식만큼의 효과를 낼 수 있다는 FMD 식단을 소개했다. 이 식단은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학교(USC) 대학의 발터 롱고 박사가 장수와 질병의 예방법으...
    Date2019.01.22 Byflexmun Views595
    Read More
  8. 살쨀려면 공복을 얼마나 유지해야할까?

    효과적으로 다이어트를 하려면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음식종류 및 섭취시간, 수면시간, 스트레스, 운동 등을 잘 조절해야 살빼기에 성공할 수 있다. 불규칙한 생활로 몸의 생체리듬이 깨지면 코르티솔, 멜라토닌, 렙틴, 인슐린 등의 호르몬이 제대로 ...
    Date2019.01.21 Byflexmun Views433
    Read More
  9. 미세먼지 대처법 눈꺼플을 씻자

    하루 반짝 하늘이 맑았다가, 오늘(18일) 오후부터 주말까지 다시 미세먼지 나쁨 상태로 접어든다. 최근 미세먼지가 연일 최악의 농도를 보이며 병원은 환자들로 붐볐다. 안과도 예외는 아니다. “눈이 너무 건조해요. 요즘 특히 심해진 것 같아요.” (라식수술을...
    Date2019.01.18 Byflexmun Views402
    Read More
  10. 유전자 변형 농산물GMO) 모를수록 반대한다.

    유전자 변형 농산물(GMO,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에 대해 과학자들은 대부분 먹어도 안전하다는 쪽이지만, 소비자들의 호오는 크게 갈린다. 그런데 유전자 변형 농산물에 극렬하게 반대하는 이들은 사실 그에 대해 아는 바가 거의 없다는 연구 결과가 ...
    Date2019.01.17 Byflexmun Views199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 119 Next
/ 119
위로